[ERP][전사적자원관리]ERP(전사적자원관리)에 관한 분석 고찰(ERP(전사적자원관리)의 기능, ERP(전사적자원관리) 구성모듈, ERP(전사적자원관리) 시장동향, 성공적인 ERP(전사적자원관리) 방안)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ERP][전사적자원관리]ERP(전사적자원관리)에 관한 분석 고찰(ERP(전사적자원관리)의 기능, ERP(전사적자원관리) 구성모듈, ERP(전사적자원관리) 시장동향, 성공적인 ERP(전사적자원관리) 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ERP시스템 개요
1. MRP
2. MRPII
3. CIM
4. ERP

Ⅲ. ERP의 기능
1. 다양한 사업에 대한 복합적 지원
2. 분산․통합적 지원을 통한 전체 업무 지원
3. 설치 및 시스템 설정의 용이함
4. 패키지 수정과 변경
5. BPR 지원
6. 시뮬레이션
7. GUI 및 멀티미디어 지원
8. 최신컴퓨터/정보기술
9. C/S의 분산유형에 따른 분류

Ⅳ. ERP를 구성하는 모듈
1. 재무관련 모듈
1) 재무회계 모듈 (Financial Accounting: FI)
2) 관리회계 모듈 (Controlling: CO)
3) 자금관리 모듈 (Treasury: TR)
4) 고정자산관리 모듈 (Asset Management: AM)
2. 물류관련 모듈
1) 영업관리 모듈 (Sales & Distribution: SD)
2) 자재관리 모듈 (Material Management: MM)
3) 생산관리 모듈 (Production Planning: PP)
4) 품질관리 (Quality Management: QM)
5) 공장관리 (Plant Management: PM)
6) 프로젝트 관리 (Project System: PS)
3. 기타의 모듈
1) 인사관리 모듈 (Human Resources: HR)
2) 사무자동화 모듈 (Office & Communication: OC)

Ⅴ. ERP 시장동향
1. ERP시장 주요동향
1) ERP시장 정의
2) ERP시장 동인요소와 저해요소
3) ERP애플리케이션별 시장동향
4) ERP 서비스 시장구성
2. ERP 시장현황 및 전망

Ⅵ. ERP공급사 및 제품 소개
1. 외산 ERP Vendor 및 제품소개
1) SAP Korea
2) 한국 Oracle
3) J.D.Edwards
4) Baan Korea
5) SSA GT 코리아
6) 한국 QAD
2. 국산 ERP Vendor 및 제품소개
1) 코인텍(Kointech)
2) 삼성 SDS
3) 영림원소프트랩
4) 한국하이네트
5) 소프트파워
6) 한국정보시스템
7) 두산 ERP BU
8) 지앤텍
9) 대한데이타시스템
10) 상아데이타시스템
11) 뉴소프트기술

Ⅶ. ERP시스템 구축 방법

Ⅷ. ERP시스템 도입 방법

Ⅸ. 성공적인 ERP 방안
1. 성공전략
2. ERP의 실패요인

Ⅹ. 결론

본문내용

지 말라.
프로젝트 관리자와 팀 구성원의 자질과 의지를 충분하게 키워라.
단기간의 효과위주로 구현하지 말라.
ERP는 단순히 정보를 쉽게 조회하거나 업무처리를 간편하게 하는 것이 아니다. 전사적인 차원에서의 통합을 의미하는 것인만큼 단기간에 이루어 지는 것이 아니다.
기존 업무에 대하나 고정 관념에서 ERP를 보지 말라.
ERP는 업무 혁신이 수반되어야 하는 작업이다. 이를위해 업무와 자료의 표준화는 물론 업무절차와 처리기준 양식, 기초 데이터를 정비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프로젝트 팀 멤버를 현업을 중심으로 구성하라.
ERP 프로젝트가 단순히 전산시스템을 교환하는 정도로 끝나는 위험을 피하기 위해서는 IT 전문가 보다는 현업경험이 많고 현업을 리드할 수 있는 멤버를 주축으로 추진해야 한다.
최고경영층을 프로젝트에서 배제하지 말라.
업무개선 및 부서간/업무간의 통합을 이루기 위해서는 부서장 레벨의 관리자선에서 방향이 결정되거나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이 제시되는 것은 피해야 한다.
2. ERP의 실패요인
ERP 패키지가 실패했다고 생각되는 경우, 고려하여야 할 문제는 ERP패키지가 기업의 요구에 얼마나 부응했는지를 판단하여야 한다. 그러나 100% 실패하였다고는 말할 수 없다.상용화된 패키지가 가지고 있는 기능과 수정/보완된 사항이 애초에 기대했던 것과 미치지 못하여 일부 기능의 미비가 있을 뿐이다. 이러한 실패요인은 제공사와 도입기업 양측에 모두 문제가 있어 실패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ERP시스템의 실패는 어느 한 쪽의 잘못이라고 쉽게 판단 내릴 수는 없다. 주로 발생할 수 있는 실패요인을 정리하여 본다.
1. 기능부족 :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면에서 관련 지원 기능이 부족한 경우 부분적인 활용이 불가능할 경우가 있다. 그리고 만약 이러한 기능을 수정/보완하는 경우 추가적인 시간적, 금전적 손실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2. 사용자 능력의 부족 : 사용자의 패키지 운용 능력이나 이해 부족으로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3. 자질부족 : 프로젝트 참여인원의 자질 부족으로 원하는 목표로 이끄는 데 실패하는 경우가 있다.
4. 기업의 관심 부족 : 시스템 구축 후에 사용에 대한 거부감이나 기존 프로세스의 고집 등으로 시스템 사용을 꺼리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실패요인을 미리 방지하고 발견되는 즉시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바로ERP시스템의 성공적인 구축에 대한 바른 길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위에 요약한 고려사항이나 실패요인 이외의 많은 사항들이 각각 기업의 업무 특성 관계로 다양하게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성공하겠다는 마음가짐과 ERP도입에 대한 세심한 사려, 지속적인 관심 등으로 성공적인 ERP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결국 ERP시스템을 구축하면서 경영자의 관심, 기업전원이 참여하는 공조된 분위기, 우수한 인력과 ERP패키지 도입,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 등을 병행한다면 성공적인 ERP시스템 구축은 반드시 가능하리라 생각한다.
Ⅹ. 결론
기업에서 ERP를 구축하고자 할 때 시간이나 노력, 금전적으로 많은 투자가 병행되어야 함은 앞에서 이야기한 그대로이다. 이렇게 많은 투자를 들여 구축하는ERP 시스템이 만약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한다면 기업이 입는 타격은 상당하리라고 생각되고, 또 그러한 경우를 우리는 주위에서 종종 볼 수 있었다. 그러한 타격은 단순히 후유증으로 끝나는 것이 아닌 기업전체의 침체로까지 몰고 갈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성공적인 ERP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가? 어떠한 요인이 ERP시스템을 실패로 몰고 가는지를 알면 그 요인들을 제거하면 될 것이다. 그리고 성공요인을 안다면 성공요인과 상반되는 제반 요인들은 과감히 제거하며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할 것이다.
ERP도입검토 단계에서의 전략
여기서 이야기하는 도입검토 단계란, 기업이 ERP시스템을 도입하고자 하는 욕구를 느끼는 단계부터 ERP제품 및 서비스의 공급자 선정을 마치는 단계까지를 말한다. 이 도입검토 단계는 앞으로의 ERP구축의 방향을 잡는 가장 주요하고도 기초적인 단계이므로 절대 간과할 수 없는 단계라 하겠다.
위기의식을 공유하라.
ERP시스템은 매끄럽게 현장에서 받아들여질 그런 시스템이라고는 말할 수 없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과거의 타성에 젖어 현재를 과거의 연장에서 처리하려는 경향이 강하고, 그렇게 때문에 개혁적인 성격을 가진 ERP시스템이 현장에서 모두 달갑게 받아들여 질 것이라는 것은 가장 좋은 결과일 수도 있지만 그만큼 달성하기 힘든 목표일수도 있다. 이러한 현장의 저항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ERP시스템을 도입하려는 목적을 현장의 인원들과 함께 공유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가장 설득력 있는 자료 중의 하나가 바로 이 회사에 대한 미래의 위기의식이다. 많은 경우에서 이러한 전략을 사용하겠지만, ERP시스템의 구축에서도 마찬가지로 이러한 전략은 기업 집단 구성원의 결속력을 강화시켜주는 하나의 구심점이 된다는 점에서 중요하고도 효과적인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최고경영자의 관심과 우수한 PM
앞에서 이야기한 것처럼 최고경영자의 결단이 ERP시스템 구축의 성공의 열쇠가 되는 경우가 많다. 그렇게 때문에 항상 최고경영자가 프로젝트에 관심을 가질 수 있게 하는 여건이 중요하다. 최고 경영자의 관심을 불러일으키기 위해서는 먼저 상세한 프로젝트의 상황 보고와 현장의 저항 등에 대한 빠른 보고, ERP시스템 구축 중의 여러 행사시에 반드시 최고경영자가 참석하게 하는 것, 최고경영자의 의지를 실을 수 있는 공정의 준비 등을 미리 염두에 두고 모양을 갖추어 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로젝트를 진두 지휘하는 PM과 ERP컨설턴트를 선정 시에도 능력과 경험을 충분히 고려하고 프로젝트를 진행함에 있어 주위와 마찰이 생기지 않을 관리자/외부 컨설턴트를 임명하는 것이 중요하다.
- 도입 예정ERP제품의 품질과 성능 검토
ERP의 도입 작업에는 실제로 사용하는 ERP패키지의 선정작업도 중요하다. 그러나 패키지 소프트웨어의 선정이라는 것은 실제로 해보면 상당히 어려운 작업이다. 더욱이 성패에 따라서 기업의 미래가 결정되기 때문에 신중해야 한다.
  • 가격7,5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7.04.18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54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