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떡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의 떡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시대별 분류
(1) 삼국시대 이전
(2)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시대
(3) 고려시대
(4) 조선시대

2. 만드는 방법에 따른 분류
(1) 찌는 떡
(2) 치는 떡(搗餠)
(3) 빚는 떡
(4) 지지는 떡(油煎餠)

3. 통과의례
(1) 삼칠일
(2) 백일
(3) 돌
(4) 혼례
(5) 회갑
(6) 제례

본문내용

는 속처럼 속이 꽉 차고 혹은 속이 빈 송편과 같이 뜻이 넓으라는 의미를 동시에 가진다.
(3) 돌
돌날에는 아이의 장수복록(長壽福祿)을 축원하며 아이에게 의복을 만들어 입히고 떡과 과일을 주로 한 돌상을 차려 돌잡이를 한다. 돌 음식으로 흰밥과 미역국을 하여 아이를 위해 새로 마련한 밥그릇과 국그릇에 담았고, 백설기와 붉은팥고물 찰수수경단, 오색송편, 무지개떡, 인절미, 개피떡 등의 떡도 만들었다. 이 중 백설기와 수수경단은 반드시 준비하며 과일도 여러 색이 고루 들어가도록 하여 마련한다.
(4) 혼례
혼례는 남녀가 부부의 인연을 맺는 일생일대의 가장 중요한 행사 중 하나이다. 그런데 신랑 집에서 신부 집에 함을 보내는 절차에 봉채떡(혹은 봉치떡)은 빠지지 않는다. 신부 집에서는 붉은팥시루떡을 하고 기다리다가 함이 들어오면 함을 시루 위에 놓고 북향재배(北向再拜)를 한 후 함을 연다. 바로 이 때 사용되는 떡이 봉채떡이다. 봉채떡은 찹쌀 3되, 팥 1되로 찹쌀시루떡 2켜만을 안치되 윗켜 중앙에 대추 7개를 방사형으로 올린다. 봉채떡을 찹쌀로 하는 것은 부부의 금실이 찰떡처럼 화목하게 귀착되라는 뜻이며 떡을 2켜로 올린 것은 부부 한 쌍을 상징하는 것이다. 또 붉은팥 고물은 벽화(僻禍)를, 대추 7개는 아들 7형제를 상징하여 남손번창(男孫繁昌)을 기원한다.
(5) 회갑
나이 61세가 되는 생일에는 회갑이라 하여 자손들이 연회를 베풀어 드리게 된다. 회갑연 때는 큰상을 차리는데 음식을 높이 고이므로 고배상(高排床) 또는 바라보는 상이라 하여 망상(望床)이라고도 한다. 혼례나 희수연(稀壽宴)에도 차리는 큰상은 한국의 상차림 중에서 가장 화려하고 성대한 것이다. 그런데 회갑연에서도 떡은 빼놓을 수 없는 음식이다. 갖은편이라 하여 백편, 꿀편, 승검초편을 만들어 차곡차곡 높이 괸 후 화전이나 주악, 단자 등 웃기를 얹어 아름답게 장식한다. 또 인절미 등도 층층이 높이 괴어 주악, 부꾸미, 단자 등의 웃기를 얹는다. 예전에는 색떡으로 나무에 꽃이 핀 모양의 모조화(模造花)를 만들어 장식하기도 하였다. 회갑연에서 사용했던 떡은 잔치가 끝난 후 서로 나누어 먹는다.
(6) 제례
제례란 자손들이 고인을 추모하며 올리는 의식이다. 이 때도 떡은 중요한 음식의 하나로 녹두고물편, 꿀편, 거피팥고물편, 흑임자고물편 등 편류로 준비한다. 정성스럽게 만든 떡들을 여러 개 포개어 고이고 위에 주악이나 단자를 웃기로 올린다.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04.22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60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