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사회의 이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의 생활이나 행동을 규제함으로써 사회의 질서나 통일을 유지하려는 것.
- 무형식적 통제 : 사회의식에 의한 통제.
성원의 내면에서 일어나는 내적 통제.
성원 스스로의 의지가 포함되기에 자연적인 자기통제.
내면적 형성 및 개조를 전제로 - 광의의 교육
-> 교육의 사회통제 기능 : 학습자들은 교육을 통하여 바람직한 행동은 권장받고,
일탈적인 행동은 제재를 받음.
2) 학교교육의 진보적 기능
(1) 사회변화 및 사회개혁
학교교육 - 사회변화와 개혁의 기능도 갖는다.
: 성숙한 세대의 모습 그대로를 형성 시키는 기능만이 아니고 그들에게 교육적 성장을 추구토록 함으로써 사회를 변화시키고 나아가 더욱 바람직한 방향으로 개선·발전시키는 능동적이며 진보적이고 혁신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것.
* 브라멜드 - 학교교육은 사회개혁을 촉진 시키며, 사회적 이동을 결정하는 원동력
* 인클스 - 교육은 사회성원의 인식과 가치, 태도 등을 변화시킴으로 사회개혁을 유도하는 기능을 가짐.
* 프레이리 - 교육이 사회성원들에게 비판적 사고를 배양시킴으로서 사회를 개혁
(2) 사회 선발과 배치
* 학교 - 사회 구성원을 서로 다른 사회적 지위에 적절하게 분배하는 기능 수행
사회충원 기능 - 학생들의 능력, 소질, 취미 등을 고려하여 선발하고, 학교교육을 통해 지식, 기술, 가치관,
태도 등을 육성하여 이들로 하여금 알맞은 사회적 지위를 갖게 하는 기능
개방사회 - 능력에 따라 교육을 받을 수 있고 학교교육에서의 성취가 사회적 선발에 절대적인 기준으로
활용, 학교교육이 사회적 불평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중요한 사회적 기제로 기대 받고 있을 뿐 아니라 실제 사회의 수직적 상승이동의 통로 역할을 수행.
학력사회 - 사회적 직위를 결정하는데 학력이 결정적 기준으로 작용.
전문직과 관리직에 고학력자 선발, 미숙련 단순노동직에 저학력자 선발하여 배치.
기능주의적 입장
갈등론적 입장
· 선발과정은 개인의 능력에 따라 공정하게 이루어
지며 개인의 노력과 능력에 의해 사회적
지위이동이 가능
· 현실적인 불평등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거나 사회이동에 이바지 못 함.
표-5. 사회적 선발과 배치기능을 보는 관점
3) 학교교육의 부수적 기능
- 체력검사, 체질검사, 영양실태조사, 생활지도, 성교육, 여가활동, 지역사회 봉사활동, 오락 활동,
탁아소의 역할, 하위문화 전달의 역할, 배우자 선택기회 부여 등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04.24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61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