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제목
2. 실험목적
3. 실험이론
1) 치환도금이란
2) 무전해 도금피막이 형성되기 위한 조건
3) 무전해 도금의 특징
4) 무전해 도금의 장단점
5) 무전해 도금의 용도
4. 고찰
2. 실험목적
3. 실험이론
1) 치환도금이란
2) 무전해 도금피막이 형성되기 위한 조건
3) 무전해 도금의 특징
4) 무전해 도금의 장단점
5) 무전해 도금의 용도
4. 고찰
본문내용
하며 전류밀도의 영향으로 기지층의 표면현상에 두께가 불균일하고 복잡한 형상에 균일한 도금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무전해도금은 기지층에 전기를 줄 수 없는 부도체나 분말상에 도금이 가능하고 전류밀도의 영향이 없으므로 균일한 두께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도금속도가 느리며 도금조건이 도금액의 조성에 따라 민감하게 변하며 도금액의 수명이 짧고 관리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이 두 도금방법은 장단점이 서로 교차하는 특성이 있으므로 용도에 따라 두 방법을 선택적으로 사용하거나 혹은 병행 사용하여 장점만을 취할 경우 원하는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사진상으로는 도금색의 차이가 심하게 나타나지만 실제로는 비교적 균일한 색의 도금 상태를 나타냈었다. 색상차가 조금 나타났지만 전해동도금에 비해 균질하게 나타났으며, 전해동도금보다 무전해 도금이라서 비교적 오랜 시간 욕조에 담그다 보니 도금색이 상당히 진한 갈색을 나타내었고 연마의 자국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도금층이 두꺼웠다. 좌우, 상하 4면 끝부분은 전해 동도금과 마찬가지로 더욱더 짙은 색을 띄었으며, 전해 동도금에 비해 넓은 분포를 보였다. 광택은 없으며, 도금이 쉽게 벗겨졌다. 그리고 기포자국이 관찰되었다.
시편은 전해 동도금때보다 얼룩이 거의 없는 균질한 상태였으며 끝단은 전해 동도금과 마찬가지로 더욱 진한 도금 상태를 나타내었다. 이는 전해 동도금 때보다 전처리를 잘 했거나 무전해 동도금이 전해 동도금보다 우수한 도금 효과를 주는 것으로 유추해 볼 수 있다.
짙은 색과 두꺼운 도금 피막은 도금조에 시편을 너무 오래 담구어서 나온 결과라고 생각된다. 기포의 발생은 그 부위에 전처리 불량으로 인한 불순물이 그 곳에 부착되어 있었거나 도금액에 불순물이 존재했을 경우가 있다.
밀착성이 떨어지고 광택이 없는 것은 전해 동도금 때와 마찬가지로 단순히 황산 구리 용액에만 담굴 뿐기타 광택제 등의 기타 첨가제를 넣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실험을 하면 가장 신기했던 것은 전기를 통하지 않고도 철강제 시편에 구리 이온이 부착될 수 있다는 점이었다.
단지 이 실험만으로 전해나 무전해 도금은 서로의 장단점이 있을 것이고 둘 중 어느 것이 더 나은 것이냐고 판단하기는 힘든 것 같다.
무전해 도금은 우수한 착색성을 바탕으로 많이 쓰이고 있지만 각 종 조건을 활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제한을 받는다고 한다. 조건에 맞게 적절한 도금 방법을 선택하는 능력이 필요한 것 같다.
사진상으로는 도금색의 차이가 심하게 나타나지만 실제로는 비교적 균일한 색의 도금 상태를 나타냈었다. 색상차가 조금 나타났지만 전해동도금에 비해 균질하게 나타났으며, 전해동도금보다 무전해 도금이라서 비교적 오랜 시간 욕조에 담그다 보니 도금색이 상당히 진한 갈색을 나타내었고 연마의 자국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도금층이 두꺼웠다. 좌우, 상하 4면 끝부분은 전해 동도금과 마찬가지로 더욱더 짙은 색을 띄었으며, 전해 동도금에 비해 넓은 분포를 보였다. 광택은 없으며, 도금이 쉽게 벗겨졌다. 그리고 기포자국이 관찰되었다.
시편은 전해 동도금때보다 얼룩이 거의 없는 균질한 상태였으며 끝단은 전해 동도금과 마찬가지로 더욱 진한 도금 상태를 나타내었다. 이는 전해 동도금 때보다 전처리를 잘 했거나 무전해 동도금이 전해 동도금보다 우수한 도금 효과를 주는 것으로 유추해 볼 수 있다.
짙은 색과 두꺼운 도금 피막은 도금조에 시편을 너무 오래 담구어서 나온 결과라고 생각된다. 기포의 발생은 그 부위에 전처리 불량으로 인한 불순물이 그 곳에 부착되어 있었거나 도금액에 불순물이 존재했을 경우가 있다.
밀착성이 떨어지고 광택이 없는 것은 전해 동도금 때와 마찬가지로 단순히 황산 구리 용액에만 담굴 뿐기타 광택제 등의 기타 첨가제를 넣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실험을 하면 가장 신기했던 것은 전기를 통하지 않고도 철강제 시편에 구리 이온이 부착될 수 있다는 점이었다.
단지 이 실험만으로 전해나 무전해 도금은 서로의 장단점이 있을 것이고 둘 중 어느 것이 더 나은 것이냐고 판단하기는 힘든 것 같다.
무전해 도금은 우수한 착색성을 바탕으로 많이 쓰이고 있지만 각 종 조건을 활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제한을 받는다고 한다. 조건에 맞게 적절한 도금 방법을 선택하는 능력이 필요한 것 같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