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활환자의 연하장애와 영양관리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재활환자의 연하장애와 영양관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연하장애
- 사정
- 중재
- 일반적 고려사항

◈ 영양관리
- 사정
- 중재
- 뇌졸중 환자를 위한 영양과 수액 공급시 고려할점

본문내용

*연하장애: 음식물이 입에서부터 위로 통과하는데 장애를 받는 느낌이 있는 증세로 흡입의 위험을 초래하는데 흡입은 고형이나 액체음식이 식도 대신 기관(기도)으로 들어가는 것.
연하장애▶섭취량 감소▶영양결핍, 탈수▶영양장애 초래
▶연하장애 사정절차
(1) 1단계 : 연하장애와 관련된 자료를 수집한다.
① 연하장애의 기왕력과 원인
② 체중 감소
③ 진단력 검사 결과
④ 섭취할 식이 유형
⑤ 음식 먹을 때의 이전 경험
⑥ 현재 음식 섭취 방법
(2) 2단계 : 연하장애 사정의 구체적 절차는 다음과 같다.
① 가동력 : 음식섭취를 위해 대상자가 취할 수 있는 자세
② 호흡 : 기도를 보호할 수 있는 대상자의 능력
③ 인지 및 행동
④ 구강 감각 및 운동력
⑤ 기능
▶연하장애 중재
1) 음식 먹기 좋은 자세를 취해 준다.
2) 식사하는데 적절한 환경을 준비한다.
3)식사량과 식사 속도를 조절한다.
4)음식의 온도는 체온보다 약간 뜨겁게
하거나 차게 한다.
5)식사기구: 눈금이 있거나 작은 컵,
찬 스텐레스 스푼
6) 수의적인 연하(삼킴)을 강화하기 위해 환자에게 다음과 같이
말한다.
7) 필요하면 입술조절, 혀 조절과 저작능력을 도와주는 감각 운동
자극을 한다.
8) 혀의 조절이 어려운 경우는 음식물을 혀의 뒤쪽에 놓아준다.
9) 음식을 먹여줄 때 고형음식과 액체 음식을 한꺼번에 같이 섞어주지
않는다.
10) 연하과정을 도와준다.
11) 환자에게 내프킨으로 입술을 닦도록한다.
12) 음식을 삼켰는지 확인한다.
13) 음식 섭취 후 30분 정도 앉아있게 한다.
  • 가격3,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7.04.30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파워포인트(ppt)
  • 자료번호#4072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