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 위장관 튜브를 가진 환자의 간호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관이 기관내에 삽입되었으면 물을 흡인한다.
4. 이마에 관을 고정시키지 않는다. 이것은 비공의 괴사를 초래할 수 있다.
5. 비위관 삽입 후 위산, 펩신과 담즙에 대한 보호막을 제공하기 위 Sucralfate(Carafate)를 투여할 수 있다.
Carafate 투여한후 30분 동안 관을 잠근 후 다시 열어 흡인기와 재연결한다.
Clotrimazole(Mycelex)는 아구창 칸디다(Candida albicans)의 예방적 치료로서 지시될 수도 있다.
6. 관 삽입 후 통증이나 구토는 관폐색 또는 부정확한 관의 위치를 나타낸다.
7. Salem sump관의 공기 환기구로 세척해서는 안된다
8. 공기 환기구(Salem sump관)로 수액이 배액되거나 또는 공기가 빠지지 않으면 20cc의 공기를 주입한다.
9. 2시간마다 비위관을 세척한다
10. 비위관이 배액되지 않으면 간호사는 관을 약간 더 삽입하거나 뒤로 빼서 관의 위치를 조절한다. 관의 위치를 항상 확인한다.
11. 관을 장기간 삽입했을 때의 합병증: 비강 미란, 부비동염, 식도염, 누공, 위궤양과 폐와 구강감염
12.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모든 문제를 건강관리 요원에게 보고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7.05.02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76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