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Chapter 20 근골격계 장애 대상자 간호 (p.367)
Box 20-11 석고붕대 대상자의 합병증과 증상
(4) 석고붕대 대상자 간호
(5) 견인장치를 한 대상자 간호
(6) 골절의 수술치료
(7) 수술 전후 간호
5) 골절 환자의 전반적인 간호
(1) 신경혈관계의 손상 예방
(2) 손상 예방
(3) 통증 완화
(4) 감염 예방
(5) 운동
(6) 영양 공급
2. 신체 부위별 골절
1) 쇄골 골절 (Clavicle fracture)
2) 늑골 골절 (Rib fracture)
3) 상완 골절 (Humerus fracture)
(1)상완 경부 골절
(2) 상완골간부 (shaft of the humerus) 골절
4) 손목 골절 (coll's fracture)
5) 척추 골절 (Spinal fracture)
(1) 치료
(2) 간호
6)골반 골절 (pelvic fracture)
7) 둔부 및 대퇴 골절 (Hip and femur fracture)
(1) 임상증상
(2) 치료와 간호
Box 20-13 전고관절 대치술 대상자의 퇴원시 교육
Box 20-11 석고붕대 대상자의 합병증과 증상
(4) 석고붕대 대상자 간호
(5) 견인장치를 한 대상자 간호
(6) 골절의 수술치료
(7) 수술 전후 간호
5) 골절 환자의 전반적인 간호
(1) 신경혈관계의 손상 예방
(2) 손상 예방
(3) 통증 완화
(4) 감염 예방
(5) 운동
(6) 영양 공급
2. 신체 부위별 골절
1) 쇄골 골절 (Clavicle fracture)
2) 늑골 골절 (Rib fracture)
3) 상완 골절 (Humerus fracture)
(1)상완 경부 골절
(2) 상완골간부 (shaft of the humerus) 골절
4) 손목 골절 (coll's fracture)
5) 척추 골절 (Spinal fracture)
(1) 치료
(2) 간호
6)골반 골절 (pelvic fracture)
7) 둔부 및 대퇴 골절 (Hip and femur fracture)
(1) 임상증상
(2) 치료와 간호
Box 20-13 전고관절 대치술 대상자의 퇴원시 교육
본문내용
록 격려한다.
3) 상완 골절 (Humerus fracture)
(1)상완 경부 골절
velpeau 붕대
(2) 상완골간부 (shaft of the humerus) 골절
치료 방법으로 hanging arm cast
4) 손목 골절 (coll's fracture)
5) 척추 골절 (Spinal fracture)
(1) 치료
경추칼라(cervicalcollar),골다공증에 기인한 척추 압박골절의 치료는
척추성형술(vertebroplasty)
(2) 간호
① 골절 부위의 안정성 유지
통나무 굴리기(log rolling) 방법을 사용한다.
회전틀(turning frames)을 사용해도 골절 부위에 스트레스를 줄 수 있다.
② 신경과 순환계 문제의 예방
신경계와 순환계의 상태를 파악
③ 안위증진
편안한지 확인
④ 심리적인 안위증진
6)골반 골절 (pelvic fracture)
이상으로 인한 사망 원인 중 두부손상 다음으로 두 번째 흔한 원인
방광,요도,또는 장의파열은 골절보다 더 큰 문제가 된다.
진단은 CT나 초음파
골반골절은 여러 방법으로 분류, 체중 부하 골절(weight-bearing fractures)과 비체중부하 골절로 나눌 수 있다.비체중부하 골절의 치료는 단단한 침요에서 침상안정을 취하고, 체중부하골절은 수술에 의한 외부 고정이나 내부 고정이 필요 할 수 있다.
7) 둔부 및 대퇴 골절 (Hip and femur fracture)
노년층에서 발생 빈도가 높다. 대퇴사두근(quadriceps muscles)이 약해져 넘어지기 쉽다. 관절강 내 골절(intracapsular fracture)은 관절 강 내에서 발생하며 골절 부위에 따라 대퇴두부 골절(capital), 대퇴경부 골절(transcervical)로 불린다. 관절강 외 골절(extracapsular fracture).
대퇴골두(head of the femur)의 혈류는 대퇴경(neck of the femur)을 통해 공급받는데 관절강 내에 골절이 있으면 혈류가 방해를 받는다. 대퇴골두에 괴사가 발생한다.
(1) 임상증상
다리가 짧아지고 내전과 외회전이 된다. 대퇴경부의 매복골절시에는 심각한 혈액 공급 장애를 일으켜 대퇴골두의 무혈관성 괴사를 일으킬 수 있다.
(2) 치료와 간호
둔부골절의 외과 접근에는 고관절 고정, 둔부 보철과 전고관절 대치술 등이 포함된다.
* 고관절 고정 (Hip pinning)
* 수술 전 간호
통증과 근경련을 감소시키기 위해 Buck 신전견인, 간호사는 수술 전 항생제를 주입한다.
* 수술 후 간호
- 호흡기 합병증 예방
기침과 심호흡을 격려, 사두근과 복근의 근력을 유지하기 위해 등척성 운동을 한다.
- 체위와 체위변경
내전과 외회전은 모두 피한다. 대퇴가 외회전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전자두루마리를 사용하거나 다리 옆에 모래주머니를 두기도 한다.
- 기동
수술 후 1~2일재에 기동할 수 있다.
② 둔부보철 (Hip prosthesis)
* 간호
고관절을 급하게 구부리거나 펴지 않도록 한다. 수술한 다리는 외전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외전 베개, Velcro 끈으로 단단히 묶는다. 순환장애를 주의깊게 사정하고 비골신경이 지나가는 비골 상부측에 끝을 묶지 않도록 주의한다.
③ 전고관절 대치술 (Total hip replacement)
* 수술 후 간호
- 바른 자세 취하기, 들어올리기와 돌아눕기
수술 후 체위는 고관절 탈구를 예방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다. 근경련을 예방하기 위해 Buck 신전견인을 사용하기도 한다.
- 배액관리
배액량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배액의 특성에 대해 기록하며 무균적으로 처치한다.
- 투약
항응고제를 투여, 류마티스 관절염인 경우는 수술 후에 오는 스트레스, 스테로이드의 용량을 증가
- 통증관리
- 피부 간호 및 운동
- 기통과 퇴원
Box 20-13
전고관절 대치술 대상자의 퇴원시 교육
대상자가 사용하는 의자는 견고하고 낮지 안아야 하며 높은 좌변기를 사용한다.
활동 제한에 관하여 교육하고 6주이상 치료용 탄력 스타킹을 착용한다.
90° 이상 고관절을 구부리지 않고 옷을 입는 방법 등을 교육한다.
한쪽 다리 위에 다른 쪽 다리를 올려놓지 않는다.
1시간 이상 앉아 있지 않도록 교육한다.
수술 후 1년까지는 규칙적으로 병원에 다니면서 고관절의 상태, 근력과 ROM 등을 검 사한다.
무거운 것 들기, 조깅, 허리를 굽히는 일 등 고관절에 긴장을 주는 활동을 삼간다.
조심스럽게 계단을 오른다.
수술 후 6주 이내에는 운전을 하지 않는다.
3) 상완 골절 (Humerus fracture)
(1)상완 경부 골절
velpeau 붕대
(2) 상완골간부 (shaft of the humerus) 골절
치료 방법으로 hanging arm cast
4) 손목 골절 (coll's fracture)
5) 척추 골절 (Spinal fracture)
(1) 치료
경추칼라(cervicalcollar),골다공증에 기인한 척추 압박골절의 치료는
척추성형술(vertebroplasty)
(2) 간호
① 골절 부위의 안정성 유지
통나무 굴리기(log rolling) 방법을 사용한다.
회전틀(turning frames)을 사용해도 골절 부위에 스트레스를 줄 수 있다.
② 신경과 순환계 문제의 예방
신경계와 순환계의 상태를 파악
③ 안위증진
편안한지 확인
④ 심리적인 안위증진
6)골반 골절 (pelvic fracture)
이상으로 인한 사망 원인 중 두부손상 다음으로 두 번째 흔한 원인
방광,요도,또는 장의파열은 골절보다 더 큰 문제가 된다.
진단은 CT나 초음파
골반골절은 여러 방법으로 분류, 체중 부하 골절(weight-bearing fractures)과 비체중부하 골절로 나눌 수 있다.비체중부하 골절의 치료는 단단한 침요에서 침상안정을 취하고, 체중부하골절은 수술에 의한 외부 고정이나 내부 고정이 필요 할 수 있다.
7) 둔부 및 대퇴 골절 (Hip and femur fracture)
노년층에서 발생 빈도가 높다. 대퇴사두근(quadriceps muscles)이 약해져 넘어지기 쉽다. 관절강 내 골절(intracapsular fracture)은 관절 강 내에서 발생하며 골절 부위에 따라 대퇴두부 골절(capital), 대퇴경부 골절(transcervical)로 불린다. 관절강 외 골절(extracapsular fracture).
대퇴골두(head of the femur)의 혈류는 대퇴경(neck of the femur)을 통해 공급받는데 관절강 내에 골절이 있으면 혈류가 방해를 받는다. 대퇴골두에 괴사가 발생한다.
(1) 임상증상
다리가 짧아지고 내전과 외회전이 된다. 대퇴경부의 매복골절시에는 심각한 혈액 공급 장애를 일으켜 대퇴골두의 무혈관성 괴사를 일으킬 수 있다.
(2) 치료와 간호
둔부골절의 외과 접근에는 고관절 고정, 둔부 보철과 전고관절 대치술 등이 포함된다.
* 고관절 고정 (Hip pinning)
* 수술 전 간호
통증과 근경련을 감소시키기 위해 Buck 신전견인, 간호사는 수술 전 항생제를 주입한다.
* 수술 후 간호
- 호흡기 합병증 예방
기침과 심호흡을 격려, 사두근과 복근의 근력을 유지하기 위해 등척성 운동을 한다.
- 체위와 체위변경
내전과 외회전은 모두 피한다. 대퇴가 외회전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전자두루마리를 사용하거나 다리 옆에 모래주머니를 두기도 한다.
- 기동
수술 후 1~2일재에 기동할 수 있다.
② 둔부보철 (Hip prosthesis)
* 간호
고관절을 급하게 구부리거나 펴지 않도록 한다. 수술한 다리는 외전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외전 베개, Velcro 끈으로 단단히 묶는다. 순환장애를 주의깊게 사정하고 비골신경이 지나가는 비골 상부측에 끝을 묶지 않도록 주의한다.
③ 전고관절 대치술 (Total hip replacement)
* 수술 후 간호
- 바른 자세 취하기, 들어올리기와 돌아눕기
수술 후 체위는 고관절 탈구를 예방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다. 근경련을 예방하기 위해 Buck 신전견인을 사용하기도 한다.
- 배액관리
배액량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배액의 특성에 대해 기록하며 무균적으로 처치한다.
- 투약
항응고제를 투여, 류마티스 관절염인 경우는 수술 후에 오는 스트레스, 스테로이드의 용량을 증가
- 통증관리
- 피부 간호 및 운동
- 기통과 퇴원
Box 20-13
전고관절 대치술 대상자의 퇴원시 교육
대상자가 사용하는 의자는 견고하고 낮지 안아야 하며 높은 좌변기를 사용한다.
활동 제한에 관하여 교육하고 6주이상 치료용 탄력 스타킹을 착용한다.
90° 이상 고관절을 구부리지 않고 옷을 입는 방법 등을 교육한다.
한쪽 다리 위에 다른 쪽 다리를 올려놓지 않는다.
1시간 이상 앉아 있지 않도록 교육한다.
수술 후 1년까지는 규칙적으로 병원에 다니면서 고관절의 상태, 근력과 ROM 등을 검 사한다.
무거운 것 들기, 조깅, 허리를 굽히는 일 등 고관절에 긴장을 주는 활동을 삼간다.
조심스럽게 계단을 오른다.
수술 후 6주 이내에는 운전을 하지 않는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