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삼국 시대
1)원 효
2. 고려 시대
1)안 향
2)목은 이 색
3. 조선 시대
1)퇴계 이 황
2)율곡 이 이
3)반계 유형원
4)성호 이 익
5)다산 정약용
4. 근 대
1)한서 남궁억
2)남강 이승훈
3)도산 안창호
1)원 효
2. 고려 시대
1)안 향
2)목은 이 색
3. 조선 시대
1)퇴계 이 황
2)율곡 이 이
3)반계 유형원
4)성호 이 익
5)다산 정약용
4. 근 대
1)한서 남궁억
2)남강 이승훈
3)도산 안창호
본문내용
인간을 가르치는 교육자였다.
3)도산 안창호
도산의 사상과 행적은 민조계몽과 민족성의 향상을 통한 실력배양에 걸쳐 있었다. 따라서 교육은 그의 목적하는 바 실력 배양들의 핵심을 이루는 사업이 될 수 밖에 없었다. 그는 교육목표의 정점에 자아혁신과 자기개조를 통한 민족혁신과 민족개조를 두고 민중 계몽과 학교사업으로서 이를 점진적으로 추구한 것이다 .
그러므로 그에 있어서 학교사업과 민중계몽사업은 한가지의 목표에 대한 동일한 성격의 사업에 불과하였다. 도산은 덕육(德育)체육(體育)지육(智育)의 3대육을 내세워 전인 교육론을 폈다. 한편, 지식에 있어서도 실용적인 것을 주장하여 이상촌에 있어서 일반학교와 직업학교를 구분하였다.
<참고문헌> 교육 사상가 평전(敎育思想家評傳) - 한국교육학회 교육사 연구회
3)도산 안창호
도산의 사상과 행적은 민조계몽과 민족성의 향상을 통한 실력배양에 걸쳐 있었다. 따라서 교육은 그의 목적하는 바 실력 배양들의 핵심을 이루는 사업이 될 수 밖에 없었다. 그는 교육목표의 정점에 자아혁신과 자기개조를 통한 민족혁신과 민족개조를 두고 민중 계몽과 학교사업으로서 이를 점진적으로 추구한 것이다 .
그러므로 그에 있어서 학교사업과 민중계몽사업은 한가지의 목표에 대한 동일한 성격의 사업에 불과하였다. 도산은 덕육(德育)체육(體育)지육(智育)의 3대육을 내세워 전인 교육론을 폈다. 한편, 지식에 있어서도 실용적인 것을 주장하여 이상촌에 있어서 일반학교와 직업학교를 구분하였다.
<참고문헌> 교육 사상가 평전(敎育思想家評傳) - 한국교육학회 교육사 연구회
추천자료
실존주의 시각에서 바라본 한국교육의 발전 방향
[독일교육]독일 종교개혁기 교육사상가 루터와 멜란히톤, 독일 근대중기 교육사상가 코메니우...
신인문주의교육 계발주의적 교육사상가 페스탈로치(페스탈로찌), 신인문주의교육 계발주의적 ...
유아교육사상가(교육철학) 코메니우스와 로크, 유아교육사상가(교육철학) 루소와 바제도, 유...
현대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 엘렌케이, 현대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 듀이, 현대 교육사상가...
유아교육사상가(교육철학) 아리스토텔레스, 에라스무스, 루터, 유아교육사상가(교육철학) 코...
중국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 노자와 공자, 중국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 묵자와 맹자, 중국 ...
용인시에 거주하는 여성결혼 이민자 한국어교육현황
그리스(아테네)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 소피스트, 그리스(아테네)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 ...
독일 교육사상가 루터와 코메니우스의 교육철학, 독일 교육사상가 바제도(바제도우)와 칸트의...
[교육철학자]독일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 코메니우스와 루터, 독일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 ...
유아교육사상가(교육철학)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유아교육사상가(교육철학) 키케로와 에...
아테네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 프로타고라스, 아테네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 고르기아스, ...
[국문학개론] -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평가 점수의 환산 체계 연구, 기존 원점수 방식의 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