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존주의 시각에서 바라본 한국교육의 발전 방향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실존주의 시각에서 바라본 한국교육의 발전 방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주제선정 이유와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 내용 및 조사방법

2. 실존주의의 기본 이론
2.1 실존주의가 태동하게 된 사회 문화 역사적 배경
2.2 실존주의를 표방한 학자들의 주장

3. 실존주의 교육관
3.1 개인의 선택, 책임, 주체성 강조에 따른 획일적인 교육 형태 지양
3.2 만남을 통한 전인교육

4. 현재 한국 교육 진단 (실존주의를 중심으로)
4.1 획일적인 교육과 일률적 틀에 맞추어진 교육
4.2 교사-학생간의 인격적 관계 형성이 어려운 환경

5. 실존주의의 관점에서 본 한국 교육의 개선 방안
5.1 개인의 선택, 책임, 주체성 강조에 따른 획일적인 교육 형태 지양
5.2 교사의 업무 환경개선 및 학생과 인격적 교류를 할 수 있는 교사 양성

6. 의미와 한계점 (시사점)
6.1 획일적인 교육 탈피 및 학생 개개인의 삶을 고려한 교육
6.2 실존주의의 한국교육 상황에 적용 시 예상되는 한계점

7. 결론
7.1 요약 및 제언

본문내용

라고 할 수 있겠다.
이처럼 실존주의 교육을 한국 교육에 적용할 때 벌어질 문제점으로는 네 가지를 들 수 있다. 하나는 학생이 자율권을 행사함에 있어 실존적으로 행동할 사회적 여건 조성이 미비하다는 것과, 둘째, 학생들의 적극적 교육과 교사의 소극적 교육을 지원해 줄 교육 인프라의 구축이 부족하다는 것, 셋째, 연속적 교육기관들 사이에 실존주의 교육철학을 기반으로 삼은 교육 제도 적용 시 원활한 소통이 이루어 질 수 있는 기반 마련이 아직 충분치 않다는 점, 마지막으로 교사가 조력자로써 지녀야 할 권위에 대한 존중을 현 사회가 가지고 있는가에 대한 문제점이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지 않고서는 참된 실존주의 교육 사상을 한국교육에 도입할 수 없을 것이다.
7. 결론
7.1 요약 및 제언
실존주의 철학은 합리주의에 대한 반향과 19세기 말 산업혁명 및 양차대전 이후 나타난 인간소외 현상과 비인간화 현상에 대한 반향으로 등장하였다. 실존주의 철학자에는 키에르케고르, 사르트르, 부버, 니체, 하이데거 등이 있다. 이들의 연구주제는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인간의 개체성 및 주체성에 대한 중시, 인간의 자유, 선택, 책임에 대한 문제 그리고 자유로운 인간 사이에서 이루어져야 할 공감적 관여의 문제 (부버와 볼노오는 만남이라고 표현) 등에 대해서 다루었다. 이러한 실존주의 철학에서 찾아볼 수 있었던 교육관으로는 첫째, 개인의 선택, 책임, 주체성 강조에 따른 획일적인 교육 형태 지양, 둘째, 인간중심의 교육관 셋째 만남을 통한 전인교육 등 이었다.
한편 이러한 실존주의 교육관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의 문제점을 분석한 결과 현재 한국의 교육은 실존주의에서 비판하는 대량생산 성격의 교육의 성격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 중심의 교육통제와 교과목 및 교육과정에 대한 학생들의 선택의 기회 부재 그리고 수학능력 시험이라는 획일적인 평가기준, 일방적인 교사-학생 관계가 그 예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학교에서의 획일적인 형태의 교육형태가 사회 전체적으로 만연한 학벌주의와 직업 서열의식과 맞물리면서 학생들이 주체성을 상실하도록 하고 있다. 그에 따라 학생들은 자신의 자유와 선택에 의해서가 아닌 사회 전체적으로 암묵적으로 합의된 학벌, 직업 서열에 따라 진로를 결정하고 공부를 하고 있다.
이러한 실존주의 철학을 바탕으로 한국교육이 지니고 있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몇 가지 개선방안을 본론에서 제시하였는데 첫째는 획일적 교육 형태를 개선하기 위하여 제도적개선 차원, 다양한 형태의 학교설립 및 학교의 자율권 증대 및 사회적 인식전환과 관련하여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두 번째로는 만남의 교육철학과 관련하여 교사의 업무환경 개선 및 교사양성과 관련하여 해결점을 찾아보았다.
실존주의 철학은 현재 한국의 교육에 획일적인 교육을 탈피 및 학생 개개인의 삶을 고려한 교육이 필요성에 대한 방향성을 제공한다. 그러나 근본적으로 자신들이 지향하는 형태의 교육을 이루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 제시가 미흡한 한계점이 있다.
실존주의 철학에서 지향하는 가치들은 현대 한국사회에서 현재 안고 있는 교육에서의 비인간화 현상과 학생들이 주체성 상실해 가는 문제점을 극복하고 자신의 삶에 대해서 자유롭게 선택하고 선택의 결과에 대해서 책임질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에 대해 시사하는 바가 크다. 따라서 실존주의 학자들이 제시하지 못한 구체적인 적용방안을 모색하고 제도적, 인식적인 차원에서 효과적으로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사, 교육관료 등 교육관계자와 학부모, 학생 등 교육주체들이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을 경주하여야 하겠다.
8. 참고문헌
<서적>
강선보. 만남의 교육철학 (서울: 원미사, 2003)
김정한, 강선보. 교육철학 (박영사, 2000)
박태견, 나는 비빔밥 인간을 만들고 싶다 (뷰스 , 2006)
이상헌, 마르틴 부버 ‘만남’ 철학의 교육적 함의 (교육철학, 2008)
조가경, 실존철학 (박영사, 1970)
F.Zimmerman, 이기상 번역. 실존철학 (서광사, 1987)
Ozmon, howard & Craver, Sam. Philosophical Foundations of Education (Columbus : Charles E. Merrill Publishing Company, 1976)
Jean Wahl. 김은우 번역, 실존철학개요 (이대출판부, 1964)
Allan C. Ornstein, An Introduction to the Foundations of Education Chi-cargo: (Rand McNAlly College Publishing Co., 1977)
A.S.Neill, 자유로운 아이들 서머힐 (아름드리미디어, 2006)
Adrian Dupins & Robert Nordberg, op. cit.
George F. Kneller, op. cit., 1958.
<논문자료>
배경열, 50년대 실존주의론 (A Study of the Existentialism in the 1950's).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2003)
임계화, 실존주의 철학에서 본 한국교육 이화여자대학교사범대학교육학과교육연구회
(학술논문,1971)
오창석, Bollnow의 실존적 교육사상 연구 : '만남'의 교육적인 의미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신문기사>
진창현 기자, 교사들 “공문처리에 수업차질” (충청투데이. 2009.06.17)
http://www.cc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94575 ,
교육인적자원부 보도자료. 교원평가를 포함한 학교 교육력 제고 시범학교 48개교 선정 발표
(뉴스와이어. 2005.11.17) http://www.newswire.co.kr/?job=news&no=98803
윤근혁, 학급당 학생수 초·중 모두 OECD '꼴찌' 오마이뉴스 2008.09.10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977234
강유원, 실존주의와 체육교육’ (한국체육과학회지, 2002)
이범, 학력저하가 고교평준화 탓이라고? 한겨레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9.08.14
  • 저작시기2009.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93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