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프레이리의 생애
Ⅱ. 프레이리의 교육사상(교육철학)
1. 비역사적 의식
2. 주술적 의식
3. 순진한 의식
4. 비판적 의식
Ⅲ. 프레이리의 의식화교육
Ⅳ. 프레이리의 대화의 교육
Ⅴ. 프레이리의 해방의 교육
참고문헌
Ⅱ. 프레이리의 교육사상(교육철학)
1. 비역사적 의식
2. 주술적 의식
3. 순진한 의식
4. 비판적 의식
Ⅲ. 프레이리의 의식화교육
Ⅳ. 프레이리의 대화의 교육
Ⅴ. 프레이리의 해방의 교육
참고문헌
본문내용
되지 않는다. 교사-학생 또는 학생-교사만이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문제제기식 교육을 행하기 위해서는 \'대화적 방법 Dialogical Method\'을 사용해야 한다. 프레이리에 따르면 대화란 \"세계(현실)가 매개체가 되어 세계를 \'이름짓기\' 위해서 이루어지는 인간들 사이의 만남\"이다. 인간은 이러한 대화를 통해서야 비로소 자신의 존재 이유를 비판적으로 사고하기 시작한다. 왜냐하면 \"인간답게 존재하는 것은 곧 세계를 이름짓는 것이고, 세계를 변화시키는 것\"이기 때문이다. 프레이리는 \"세계는 일단 \'이름지어\'지면, 이름지은 자들에게 하나의 문제로서 재등장하고, 그들에게 새로이 \'이름지어\' 주도록 요구하게 된다\"고 얘기한다. 즉, 세계에 자기 스스로 이름을 부여할 수 있다는 것은 세계를 주체적으로 사고할 수 있다는 말인 것이다. 프레이리가 자신의 좌우명으로 삼았던, \"읽고 쓰는 능력(literacy)은 인간들에게 단지 단어들을 읽는 수단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 자신들의 현실을 \'읽는\' 수단까지도 제공해준다\"라는 말이 뜻하는 바가 바로 이것이다.
그러나 여기서 주의해야 할 점은 그 대화의 내용이 아무렇게나 취사선택되어서는 안된다는 사실이다. 프레이리는 \"민중들에게 우리의 세계관을 떠맡기려 드는 일이 우리의 역할이 아니다. 우리의 역할은 우리의 견해와 그들의 견해를 놓고서 그들과 대화하는 것이다\"라고 누차 강조한 바 있다. 그렇지 못할 경우, 교육자나 정치가들의 이야기는 \"청중을 소외시키면서 동시에 소외당하는 미사여구\"가 될 뿐이다. 따라서 문제제기식 교육에서는 인간들을 중재하는 현실에서, 교육자들과 민중이 끌어가는 현실에 대한 인식에서 교육계획 내용을 찾는다. 즉, \"인간들이 현실과 관계를 맺는 언어와 사상, 현실을 인식하는 인식 수준, 그들의 생성주제가 인지되는 세계관\"이 그 연구 대상이 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를 명확히 하기 위해서 프레이리는 자신이 민중의 \'주제세계 Thematic Universe\'라고 명명한 유의미한 주제군에서, 민중의 의식화를 위한 \'생성주제 generative theme\'를 찾은 다음, 이를 \'생성어 generative word\'를 중심으로 조직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여기에서 생성주제란 \"하나의 시대가 갖는 사상들, 개념들, 의문들, 가치관들 그리고 도전들에 대한 표현\"을 말한다. 따라서 이러한 생성주제는 필연적으로 인간이 세계와 타인들과의 관계 속에서 겪게 되는 \'한계상황 Boundary Situation\' ― 인간으로 하여금 제한되어 있는 \'특정한 한계\' 내에 머물도록 강제함으로써 그의 진정한 \'인간화 Humanization\'(해방)을 억누르는 정치적사회적문화적 상황 ― 뿐만 아니라, 이를 극복하기 위한 \'한계행위 Boundary Action\' ― 한계상황을 부정하고 극복하려는 행동 ― 를 모두 포괄한다. 생성어는 생성주제를 보다 세분화하여 교육 참가자들로 하여금 원래의 생성주제를 보다 뚜렷하게 사고할 수 있도록 해주는 단어이다. 주제세계는 생성주제들의 복합체, 즉 \"한 시대 속의 상호작용하는 주제들의 복합체\"를 의미한다. 이러한 생성주제와 생성어는 그것들이 또 다른 여타의 수많은 주제들과 언어들을 환기시키기 때문에 \'생성적\'이다.
참고문헌
김태선(2004), 프레이리의 인간주의 교육사상에 관한 연구, 인하대 교육대학원
이원호(1998), 교육사상사, 문음사
연세대학교 교육철학연구회(1996), 위대한 교육사상가들, 교육과학사
정준식(1992), 프레이리의 의식화 교육론 비판, 한국외국어대학교
정유성, 파울로 프레이리, 월간 초등우리교육, 총권 39호
프레이리, 프레이리의 교사론
파울로 프레이리, 페다고지
문제제기식 교육을 행하기 위해서는 \'대화적 방법 Dialogical Method\'을 사용해야 한다. 프레이리에 따르면 대화란 \"세계(현실)가 매개체가 되어 세계를 \'이름짓기\' 위해서 이루어지는 인간들 사이의 만남\"이다. 인간은 이러한 대화를 통해서야 비로소 자신의 존재 이유를 비판적으로 사고하기 시작한다. 왜냐하면 \"인간답게 존재하는 것은 곧 세계를 이름짓는 것이고, 세계를 변화시키는 것\"이기 때문이다. 프레이리는 \"세계는 일단 \'이름지어\'지면, 이름지은 자들에게 하나의 문제로서 재등장하고, 그들에게 새로이 \'이름지어\' 주도록 요구하게 된다\"고 얘기한다. 즉, 세계에 자기 스스로 이름을 부여할 수 있다는 것은 세계를 주체적으로 사고할 수 있다는 말인 것이다. 프레이리가 자신의 좌우명으로 삼았던, \"읽고 쓰는 능력(literacy)은 인간들에게 단지 단어들을 읽는 수단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 자신들의 현실을 \'읽는\' 수단까지도 제공해준다\"라는 말이 뜻하는 바가 바로 이것이다.
그러나 여기서 주의해야 할 점은 그 대화의 내용이 아무렇게나 취사선택되어서는 안된다는 사실이다. 프레이리는 \"민중들에게 우리의 세계관을 떠맡기려 드는 일이 우리의 역할이 아니다. 우리의 역할은 우리의 견해와 그들의 견해를 놓고서 그들과 대화하는 것이다\"라고 누차 강조한 바 있다. 그렇지 못할 경우, 교육자나 정치가들의 이야기는 \"청중을 소외시키면서 동시에 소외당하는 미사여구\"가 될 뿐이다. 따라서 문제제기식 교육에서는 인간들을 중재하는 현실에서, 교육자들과 민중이 끌어가는 현실에 대한 인식에서 교육계획 내용을 찾는다. 즉, \"인간들이 현실과 관계를 맺는 언어와 사상, 현실을 인식하는 인식 수준, 그들의 생성주제가 인지되는 세계관\"이 그 연구 대상이 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를 명확히 하기 위해서 프레이리는 자신이 민중의 \'주제세계 Thematic Universe\'라고 명명한 유의미한 주제군에서, 민중의 의식화를 위한 \'생성주제 generative theme\'를 찾은 다음, 이를 \'생성어 generative word\'를 중심으로 조직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여기에서 생성주제란 \"하나의 시대가 갖는 사상들, 개념들, 의문들, 가치관들 그리고 도전들에 대한 표현\"을 말한다. 따라서 이러한 생성주제는 필연적으로 인간이 세계와 타인들과의 관계 속에서 겪게 되는 \'한계상황 Boundary Situation\' ― 인간으로 하여금 제한되어 있는 \'특정한 한계\' 내에 머물도록 강제함으로써 그의 진정한 \'인간화 Humanization\'(해방)을 억누르는 정치적사회적문화적 상황 ― 뿐만 아니라, 이를 극복하기 위한 \'한계행위 Boundary Action\' ― 한계상황을 부정하고 극복하려는 행동 ― 를 모두 포괄한다. 생성어는 생성주제를 보다 세분화하여 교육 참가자들로 하여금 원래의 생성주제를 보다 뚜렷하게 사고할 수 있도록 해주는 단어이다. 주제세계는 생성주제들의 복합체, 즉 \"한 시대 속의 상호작용하는 주제들의 복합체\"를 의미한다. 이러한 생성주제와 생성어는 그것들이 또 다른 여타의 수많은 주제들과 언어들을 환기시키기 때문에 \'생성적\'이다.
참고문헌
김태선(2004), 프레이리의 인간주의 교육사상에 관한 연구, 인하대 교육대학원
이원호(1998), 교육사상사, 문음사
연세대학교 교육철학연구회(1996), 위대한 교육사상가들, 교육과학사
정준식(1992), 프레이리의 의식화 교육론 비판, 한국외국어대학교
정유성, 파울로 프레이리, 월간 초등우리교육, 총권 39호
프레이리, 프레이리의 교사론
파울로 프레이리, 페다고지
추천자료
한국교육 속에 잔재된 일제 교육문화의 예시와 한국교육의 발전방향 (발표자료)
<문화와교육-완벽정리> 다른나라의 교육제도를 다룬 문헌 읽고 우리나라 교육제도와 다른점, ...
[농어촌공동체][농어촌학교통폐합][농어촌학교][농어촌교육]농어촌공동체 해체, 교육의 피폐...
[북한문화][북한 주거형태][북한 명절][북한 민속놀이][북한 교육기관][북한 교육행정][북한 ...
이야기의 중요성, 이야기중심학습(이야기중심교육)의 의미, 이야기중심학습(이야기중심교육)...
무용의 의미, 무용의 기원, 무용교육(무용학습, 무용지도)의 참여, 무용교육(무용학습, 무용...
[시 창작][패러디][시쓰기][발상지도원리][시 창작교육]시 창작의 의미, 시 창작의 과정, 시 ...
[기회균등][기회][사회이동][교육기회확대][교육기회균등][교육]기회균등과 사회이동, 기회균...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제 5장 국가수준 교육과정 요약
평생교육제도 및 경영 - 제도의 의미, 평생교육제도, 평생교육제도의 필요성, 등장의 배경, ...
교육과정=> 경험주의 교육과정, 홀리스틱 교육과정에 대한 논의@@
교육학개론-한국전통교육의 역사적 전개과정에서 발견되는 특징과 그것이 현대사회의 교육에 ...
평생교육사-평생교육론 -평생교육의 발전과정과 문제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