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흠있는 행정행위의 치유(치유)와 전환(전환)
1. 개 설
2. 치 유
(1) 의 의
(2) 하자의 치유 사유
(3) 하자의 치유 대상
(4) 무효인 행정행위의 치유
(5) 시간적 한계
3. 전 환
(1) 의 의
(2) 전환의 요건
(3) 전환의 대상
1. 개 설
2. 치 유
(1) 의 의
(2) 하자의 치유 사유
(3) 하자의 치유 대상
(4) 무효인 행정행위의 치유
(5) 시간적 한계
3. 전 환
(1) 의 의
(2) 전환의 요건
(3) 전환의 대상
본문내용
, 전환은 본래의 행위가 아니고 다른 행위로서 효력을 발생하는 점에서 다르다.
전환의 예로는 사자에 대한 광업허가나 재산부과를 그 상속인에 대한 것으로 해석하는 경우, 공무원이 아닌 자의 행위를 사실상의 공무원의 행위로서 유효한 행위로 인정하는 경우 등이다.
(2) 전환의 요건
하자있는 행정행위가 전환되려면 ①흠있는 행정행위와 전환하려는 행정행위간에 요건· 목적·효과에 있어서 실질적 공통성이 있을 것, ②전환될 행위의 성립·효력요건을 갖추고 있을 것, ③행정청의 의도에 반하지 아니할 것, ④당사자가 그 전환을 의욕할 것, ⑤제3자의 이익을 침해하지 않을 것, ⑥행위의 중복을 회피하는 의미가 있을 것 등을 요한다.
(3) 전환의 대상
통설은 무효인 행정행위에 대해서만 다른 행위로의 전환을 인정하고 있다.
전환의 예로는 사자에 대한 광업허가나 재산부과를 그 상속인에 대한 것으로 해석하는 경우, 공무원이 아닌 자의 행위를 사실상의 공무원의 행위로서 유효한 행위로 인정하는 경우 등이다.
(2) 전환의 요건
하자있는 행정행위가 전환되려면 ①흠있는 행정행위와 전환하려는 행정행위간에 요건· 목적·효과에 있어서 실질적 공통성이 있을 것, ②전환될 행위의 성립·효력요건을 갖추고 있을 것, ③행정청의 의도에 반하지 아니할 것, ④당사자가 그 전환을 의욕할 것, ⑤제3자의 이익을 침해하지 않을 것, ⑥행위의 중복을 회피하는 의미가 있을 것 등을 요한다.
(3) 전환의 대상
통설은 무효인 행정행위에 대해서만 다른 행위로의 전환을 인정하고 있다.
추천자료
공무원의 직무상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의 배상에 대한 고찰(행정상의 국가배상)
[행정법] 사인의 공법행위 시험대비 내용요약
[판례][행정법 분야][부당행위, 부당노동행위][특허재판][행정법 분야 판례][부당행위, 부당...
[판례][판례 모음][판례 예시][판례 사례][부당해고][부당노동행위][행정법][언론법][의료사...
무효인 법률행위의 전환과 무효행위의 추인
[행정법] 행정상 사실행위
행정법 통치행위 요약자료
행정법 행쟁행위의 형성력 요약자료
행정법상 기속행위와 재량행위
[행정법사례] 공무원의 직무상 불법행위로 인한 국가배상책임
단순고권행정 및 공법상 사실행위
[경찰조직의 소송업무(Lawsuit)] 경찰 소송업무(Lawsuit Act), 소송행위(Lawsuit Act), 행정...
인물의 행위를 통해 본 상처와 치유 양상 - 병신과 머저리의 두 인물을 중심으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