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아로마테라피 및 허브향료 시장현황 및 발전방안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내 아로마테라피 및 허브향료 시장현황 및 발전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글

2. Aroma herb향료란?

3. 아로마향료와 ‘Aromatherapy’ 유래

4. 현대 대체의학의 아로마테라피

5. 향료의 역사와 Aroma 에센셜향료

6. 한국 아로마향료의 역사와 발전

7. 동양의 한방과 아로마향료의 효능적 고찰

8. 아로마향료 와 향기마케팅 이란?

9. 한국 아로마향료 시장현황과 문제점 및 대처방안

10. 한국 Essential Oil 시장분석 및 수입실적

11. 국외 아로마 herb향료 시장현황

본문내용

1. 개요
몇 년 전부터 불어 닥치고 있는 ‘아로마테라피(Aromatherapy)’, 아로마 컨셉과 함께 최근 각광받고 있는 ‘건강코드’의 하나인 ‘웰빙(well-being)’ 컨셉과 대체의약의 필요성과 맞물려 그 트랜드가 화장품 뿐 만 아니라 생활용품등 여러 생필품시장은 물론 피부관리, 에스테틱 등의 심미적 시장까지 석권하면서 널리 확산되고 있는 것은 인간이 건강하게 살려고 하는 욕구(needs) 즉, 니즈가 내포되어 있다.
그래서, 이 아로마향료, 아로마테라피 향료 또는 엣센셜오일(essential oil: 精油) 시장을 알아 보기 위해 여러 곳을 오랜 기간 동안 조사를 했으나, 그 시장에 대해서 조사된 자료는 전무후무하였다.
이러한 이유뿐 만이 아니라, 이 아로마향료 시장을 절실히 알고 싶어하는 모든 분들을 위해서 외국자료를 비롯하여 국내자료로써는 무역통계, KOTRA자료 및 여러 곳들을 검색하여 자료를 수집, 이 자료를 만들게 되었다.
2. 아로마향료란?
아로마 향료, 아로마테라피 향료, 엣센셜 오일등… 거의 같은 뜻으로 사용되고 있는 이
용어들에 대해서 명확히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이 용어를 설명하기 전에 이와 같은 향료를 만들 수 있는 모체, 즉 원료로써 사용되고 있는 허브에 대해서 얘기하지 않을 수 없겠다.
일반적으로 허브는 그 종류가 다양하고 이제, 우리들은 주위에서 익숙하게 그 이름을 들을 수도 있고 그 향기를 맡아 볼 수도 있을 정도로 우리의 곁에 성큼 다가와 있음을 인지할 수 있다. 라벤더(lavender), 카모마일(chamomile), 바질(basil), 로즈마리(rosemary), 레몬(lemon_, 레몬밤(lemon balm), 백단향(sandalwood), 시더우드향(cederwood), 훼널(fennel), 로렐(laurel), …등등.
즉, 다시 말해서 아로마(Aroma)는 허브(herb)식물이 갖고 있는 인간에게 유익한 방향(芳香: 향기)성분을 뜻하며, 일반적으로 허브식물은 그 허브식물이 가지고 있는 향기성분을 증류방법(distillation)을 이용하여 얻기 때문에 이를 엣센셜 오일(essential oil) 또는 아로마오일(aroma oil)이라고 한다.
3. 아로마향료와 ‘아로마테라피(Aromatherapy)’ 유래
오래 전부터 일찍이 유럽에서는 동양에서 한방약이 민간요법으로 사용되어 온 것과 마찬
가지로 그 방향성분을 민방(민간요법) 의약품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래서 그 방향성분 즉, 아로마 오일(Aroma oil)이 민방의약품처럼 치료(therapy)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기 때문에 ‘Aromatherapy’ (=Aroma + therapy) 라는 합성어가 생겨나게 되었다.
향에는 항균, 살균, 또는 방부효과가 있어 이 아로마테라피(aromatherapy)라는 용어는 정유(essential oil)의 치료적 특성에 대해 과학적인 연구를 해 왔던 프랑스과학자 Rene Maurice Gatefosse에 의해 1920년대 처음 사용되기 시작했다. 가테포세는 그의 일생을 정유의 치료효과에 대한 연구로 보냈으며 자신의 경험을 근간으로 'AROMATHERAPY'란 단어를 처음 만들었던 것이다.
  • 가격2,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7.05.04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워드(doc)
  • 자료번호#4079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