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문제제기
Ⅱ. 이론적 배경
1. 아동복지의 정의
2. 저소득층 가정의 아동복지서비스
3. 전달체계(delivery system)
1) 공공기관과 민간조직의 역할분담
2) 서비스 연계(partnership)
3) 전달체계의 평가기준
Ⅲ. 사례연구: 지역 결식아동지원 전달체계의 현황 분석
1. 부천시 지역의 특성
2. 부천시 지역의 결식아동지원 전달체계
1) 공공 전달체계
2) 민간 전달체계
3. 조사 결과
1) 부천시 결식아동지원사업 관련조직의 운영 현황
2) 부천시 결식아동지원사업 관련조직간 서비스 연계정도
Ⅳ. 대안: 지역사회 기반의 통합적 동반관계 모형
1. 공공기관과 민간조직의 역할분담
2. 서비스 연계
Ⅴ. 결 론
참고문헌
Ⅱ. 이론적 배경
1. 아동복지의 정의
2. 저소득층 가정의 아동복지서비스
3. 전달체계(delivery system)
1) 공공기관과 민간조직의 역할분담
2) 서비스 연계(partnership)
3) 전달체계의 평가기준
Ⅲ. 사례연구: 지역 결식아동지원 전달체계의 현황 분석
1. 부천시 지역의 특성
2. 부천시 지역의 결식아동지원 전달체계
1) 공공 전달체계
2) 민간 전달체계
3. 조사 결과
1) 부천시 결식아동지원사업 관련조직의 운영 현황
2) 부천시 결식아동지원사업 관련조직간 서비스 연계정도
Ⅳ. 대안: 지역사회 기반의 통합적 동반관계 모형
1. 공공기관과 민간조직의 역할분담
2. 서비스 연계
Ⅴ.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제만을 인지하고 있음으로써 담당 아동에 대한 개별 상담 등 심리사회적인 접근을 거의 시도하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전체 조직의 74.1%가 1998년부터 본 사업을 시작하였으며, 프로그램(단순 급식 제외) 내용은 학습지도, 예능지도, 체육활동, 문화활동, 현장체험, 기타(개별상담부모상담부모모임 등)이다. 그러나 초등학교는 식사 및 간식 제공 이외의 프로그램을 거의 실시하지 않고 있다. 한편 담당 정규직 직원 수는 평균 2.65명, 비정규직 직원 수는 0.73명, 자원봉사자는 평균 2.94명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결식아동지원 사업을 위한 연간 예산액은 평균 1,881만원(표준편차 1894.88)으로 나타났으며, 재원 충원 방법으로서 시교육청 지원금, 민간 후원결연금, 실업극복시민운동본부 지원금의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당 부분 민간 자원에 의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 결식아동지원 관련조직의 시설유형담당아동 수담당 인력 수재정규모에 따라서 서비스의 연계정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결식아동지원 관련조직의 시설 유형에 따라서 서비스의 연계정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이는 사회복지사의 개입에 따라 서비스 연계정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조직의 자원봉사자 관리정도에 따라 서비스 연계정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한편 관련조직의 담당 아동 수 및 재정 규모(연간 예산액)에 따라서 서비스의 연계정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현행의 전달체계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무엇보다도 아동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정부(읍면동사무소, 아동상담소, 초등학교)는 기초생활의 책임성과 서비스 접근용이성의 역할을 분담하여 기본적 서비스를 제공하고, 민간(사회복지관시설민간단체 공부방)은 정부로부터 지원된 재정과 위탁된 운영권에 의하여 클라이언트의 참여를 바탕으로 전문적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로써 지역사회 아동부모의 욕구와 서비스간의 격차를 줄이고 서비스의 다양성을 확보하며, 정부의 관료화를 방지하여 양자간의 상호협력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이 때에 특히 관련 조직간의 서비스 연계를 실시하여야 한다. 이는 사회복지사의 직접적 또는 간접적 개입과 자원봉사자의 지속적 관리를 통하여 강화될 수 있다. 동시에 행정체계 차원에서는 관련부처간 이해와 협력을 바탕으로 공동욕구조사를 실시하여 대상 아동의 선정기준을 현실적으로 책정하고, 집행체계 차원에서는 담당 실무자의 대상 아동 수 등 업무부담을 대폭 경감하고 연계 관련교육을 통해 적극적 참여를 유도함으로써 프로그램의 공동계획개발평가, 피드백의 상호교류 등을 실시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정부의 지속적인 지원이 선행되어야 한다.
참고문헌
김상균. (1987). “민간주도형 사회복지”. ≪사회복지연구≫. 제15권, pp. 89-104.
박경숙. (1996). “사회복지전문요원과 복지관, 보건소의 서비스 연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한국사회복지학≫. 제30호, pp. 48-76.
박미령. (1992). “도시저소득층 가족의 부모자녀문제”(한국가족학연구회 편, 도시저소득층의 가족문제, 서울: 하우), pp. 55-95.
박순일박능후강성호. (1999). “경제위기 이후의 한국의 빈곤실태 및 특징”(한국 보건사회연구원 workshop 자료집).
부스러기선교회. (2000). 내부자료.
부천시. (1999). 부천통계연보.
손수영. (1999). “부천지역 방과후 교실의 현황 및 과제”(실업극복부천시민운동본부,저소득가정 아동의 방과후교육을 위한 토론회 자료집), pp. 24-55.
성민선. (1995). “21세기 복지사회를 위한 파트너십: 한국의 경험”(21세기 복지사회를 위한 파트너쉽, ‘95 추계 한국사회복지학회 국제 심포지움 및 학술대회 자료집), pp. 261-277.
옥선화. (1992). “도시 저소득층 가족의 부부문제”(한국가족학연구회 편, 도시 저소득층의 가족문제, 서울: 하우), pp. 29-54.
이현주. (2000). “빈곤과 차상위계층”. ≪보건복지포럼≫. 통권 제41호, pp. 26-38.
이혜원. (1999). “결식아동 중식지원사업의 평가: 시설 유형별 부모의 만족도 비교”. ≪한국아동복지학≫. 제8호, pp. 79-102.
정경배김미숙. (1999). “경제위기에 따른 취약계층의 현황과 정책방향”(IMF 경제위기에 따른 사회적 취약계층을 위한 복지정책방향 세미나. 99-01 한국 보건사회연구원 세미나 자료집), pp. 70-71.
한국사회복관협회. (1994). 1993년도 재가복지봉사센터 현황 보고서.
황성철강혜규. (1994). 사회복지관 운영평가 및 모형개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GilbertSpecht. (1986). Dimensions of Social Welfare Policy. 2nd ed.E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Kadushin, A. (1974). Child Welfare Services. 2nd ed., New York: Macmillan.
Kramer, R. M. (1981). Voluntary Agencies in the Welfare State.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 목 차 ]
Ⅰ. 문제제기
Ⅱ. 이론적 배경
1. 아동복지의 정의
2. 저소득층 가정의 아동복지서비스
3. 전달체계(delivery system)
1) 공공기관과 민간조직의 역할분담
2) 서비스 연계(partnership)
3) 전달체계의 평가기준
Ⅲ. 사례연구: 지역 결식아동지원 전달체계의 현황 분석
1. 부천시 지역의 특성
2. 부천시 지역의 결식아동지원 전달체계
1) 공공 전달체계
2) 민간 전달체계
3. 조사 결과
1) 부천시 결식아동지원사업 관련조직의 운영 현황
2) 부천시 결식아동지원사업 관련조직간 서비스 연계정도
Ⅳ. 대안: 지역사회 기반의 통합적 동반관계 모형
1. 공공기관과 민간조직의 역할분담
2. 서비스 연계
Ⅴ. 결 론
참고문헌
전체 조직의 74.1%가 1998년부터 본 사업을 시작하였으며, 프로그램(단순 급식 제외) 내용은 학습지도, 예능지도, 체육활동, 문화활동, 현장체험, 기타(개별상담부모상담부모모임 등)이다. 그러나 초등학교는 식사 및 간식 제공 이외의 프로그램을 거의 실시하지 않고 있다. 한편 담당 정규직 직원 수는 평균 2.65명, 비정규직 직원 수는 0.73명, 자원봉사자는 평균 2.94명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결식아동지원 사업을 위한 연간 예산액은 평균 1,881만원(표준편차 1894.88)으로 나타났으며, 재원 충원 방법으로서 시교육청 지원금, 민간 후원결연금, 실업극복시민운동본부 지원금의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당 부분 민간 자원에 의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 결식아동지원 관련조직의 시설유형담당아동 수담당 인력 수재정규모에 따라서 서비스의 연계정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결식아동지원 관련조직의 시설 유형에 따라서 서비스의 연계정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이는 사회복지사의 개입에 따라 서비스 연계정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조직의 자원봉사자 관리정도에 따라 서비스 연계정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한편 관련조직의 담당 아동 수 및 재정 규모(연간 예산액)에 따라서 서비스의 연계정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현행의 전달체계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무엇보다도 아동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정부(읍면동사무소, 아동상담소, 초등학교)는 기초생활의 책임성과 서비스 접근용이성의 역할을 분담하여 기본적 서비스를 제공하고, 민간(사회복지관시설민간단체 공부방)은 정부로부터 지원된 재정과 위탁된 운영권에 의하여 클라이언트의 참여를 바탕으로 전문적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로써 지역사회 아동부모의 욕구와 서비스간의 격차를 줄이고 서비스의 다양성을 확보하며, 정부의 관료화를 방지하여 양자간의 상호협력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이 때에 특히 관련 조직간의 서비스 연계를 실시하여야 한다. 이는 사회복지사의 직접적 또는 간접적 개입과 자원봉사자의 지속적 관리를 통하여 강화될 수 있다. 동시에 행정체계 차원에서는 관련부처간 이해와 협력을 바탕으로 공동욕구조사를 실시하여 대상 아동의 선정기준을 현실적으로 책정하고, 집행체계 차원에서는 담당 실무자의 대상 아동 수 등 업무부담을 대폭 경감하고 연계 관련교육을 통해 적극적 참여를 유도함으로써 프로그램의 공동계획개발평가, 피드백의 상호교류 등을 실시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정부의 지속적인 지원이 선행되어야 한다.
참고문헌
김상균. (1987). “민간주도형 사회복지”. ≪사회복지연구≫. 제15권, pp. 89-104.
박경숙. (1996). “사회복지전문요원과 복지관, 보건소의 서비스 연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한국사회복지학≫. 제30호, pp. 48-76.
박미령. (1992). “도시저소득층 가족의 부모자녀문제”(한국가족학연구회 편, 도시저소득층의 가족문제, 서울: 하우), pp. 55-95.
박순일박능후강성호. (1999). “경제위기 이후의 한국의 빈곤실태 및 특징”(한국 보건사회연구원 workshop 자료집).
부스러기선교회. (2000). 내부자료.
부천시. (1999). 부천통계연보.
손수영. (1999). “부천지역 방과후 교실의 현황 및 과제”(실업극복부천시민운동본부,저소득가정 아동의 방과후교육을 위한 토론회 자료집), pp. 24-55.
성민선. (1995). “21세기 복지사회를 위한 파트너십: 한국의 경험”(21세기 복지사회를 위한 파트너쉽, ‘95 추계 한국사회복지학회 국제 심포지움 및 학술대회 자료집), pp. 261-277.
옥선화. (1992). “도시 저소득층 가족의 부부문제”(한국가족학연구회 편, 도시 저소득층의 가족문제, 서울: 하우), pp. 29-54.
이현주. (2000). “빈곤과 차상위계층”. ≪보건복지포럼≫. 통권 제41호, pp. 26-38.
이혜원. (1999). “결식아동 중식지원사업의 평가: 시설 유형별 부모의 만족도 비교”. ≪한국아동복지학≫. 제8호, pp. 79-102.
정경배김미숙. (1999). “경제위기에 따른 취약계층의 현황과 정책방향”(IMF 경제위기에 따른 사회적 취약계층을 위한 복지정책방향 세미나. 99-01 한국 보건사회연구원 세미나 자료집), pp. 70-71.
한국사회복관협회. (1994). 1993년도 재가복지봉사센터 현황 보고서.
황성철강혜규. (1994). 사회복지관 운영평가 및 모형개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GilbertSpecht. (1986). Dimensions of Social Welfare Policy. 2nd ed.E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Kadushin, A. (1974). Child Welfare Services. 2nd ed., New York: Macmillan.
Kramer, R. M. (1981). Voluntary Agencies in the Welfare State.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 목 차 ]
Ⅰ. 문제제기
Ⅱ. 이론적 배경
1. 아동복지의 정의
2. 저소득층 가정의 아동복지서비스
3. 전달체계(delivery system)
1) 공공기관과 민간조직의 역할분담
2) 서비스 연계(partnership)
3) 전달체계의 평가기준
Ⅲ. 사례연구: 지역 결식아동지원 전달체계의 현황 분석
1. 부천시 지역의 특성
2. 부천시 지역의 결식아동지원 전달체계
1) 공공 전달체계
2) 민간 전달체계
3. 조사 결과
1) 부천시 결식아동지원사업 관련조직의 운영 현황
2) 부천시 결식아동지원사업 관련조직간 서비스 연계정도
Ⅳ. 대안: 지역사회 기반의 통합적 동반관계 모형
1. 공공기관과 민간조직의 역할분담
2. 서비스 연계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추천자료
발달장애아동의 가족지원특성과 양육스트레스연구 요약
시설퇴소아동 지원 대책-주거와 취업
가족지원정책 중 보육지원정책과 아동수당제도의 의미를 비교
보육지원정책과 아동수당제도
가족지원정책 중 보육지원정책과 아동수당제도의 의미를비교
가족지원정책 중 보육지원정책과 아동수당제도의 의미
저소득 가정 아동의 학습지원과 정서적 지지를 위한 사례관리
특수아동지도 내용 중 개별화 교육에 대한 이론 및 실제 (개별화교육의 의미, 수립&#8729...
아동학대의 실태를 조사하고 이에 대한 지원대책과 문제점 및 개선대책을 제안
[아동복지론 兒童福祉論] 아동복지의 보편적 서비스의 확대 - 양질의 보편적 서비스의 의미와...
[아동복지론 兒童福祉論] 문화예술교육(cultural artistic education)의 이해와 우리나라의 ...
‘장애아동 교육지원기금 마련을 위한 자선음악회를 다녀와서’
[아동 지원 복지활동의 문제점과 지도 방향에 대해 서술하고 이에 대한 본인의 생각을 정리]
보육시설에서 틱장애 아동과 일반아동이 함께 지낼 시 필요한 지원 2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