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이를 대신하고 있다.
11. 쟁기
작물을 재배할 목적으로 우마(牛馬) 또는 기계력(機械力)을 이용하여 흙을 파 일으키는 데 사용하는 기구.
형태에 따라서 무상리(無床犁)장상리(長床犁)단상리(短床犁)로 분류한다.
무상리는 쟁기의 바닥이 전혀 없거나 아주 짧은 것으로서 흙과 마찰이 적고 심경(深耕)에 적합하지만 반전(反轉)이 좋지 않고 안전성이 없어서 다루기가 어렵다.
장상리는 쟁기의 바닥이 길기 때문에 안전성이 좋고 사용하기 쉽지만 견인저항(牽引抵抗)이 크며 심경에는 부적당하다.
단상리는 무상리와 장상리의 장점을 절충한 개량 쟁기로서 현재 한국에서 사용하는 쟁기는 거의 단상리이다. 일반적으로 안전성도 좋고 저항이 작고 역토의 반전파쇄능력도 크다. 특히, 논의 경기 작업에 적합하며 사용하기도 쉽다.
11. 쟁기
작물을 재배할 목적으로 우마(牛馬) 또는 기계력(機械力)을 이용하여 흙을 파 일으키는 데 사용하는 기구.
형태에 따라서 무상리(無床犁)장상리(長床犁)단상리(短床犁)로 분류한다.
무상리는 쟁기의 바닥이 전혀 없거나 아주 짧은 것으로서 흙과 마찰이 적고 심경(深耕)에 적합하지만 반전(反轉)이 좋지 않고 안전성이 없어서 다루기가 어렵다.
장상리는 쟁기의 바닥이 길기 때문에 안전성이 좋고 사용하기 쉽지만 견인저항(牽引抵抗)이 크며 심경에는 부적당하다.
단상리는 무상리와 장상리의 장점을 절충한 개량 쟁기로서 현재 한국에서 사용하는 쟁기는 거의 단상리이다. 일반적으로 안전성도 좋고 저항이 작고 역토의 반전파쇄능력도 크다. 특히, 논의 경기 작업에 적합하며 사용하기도 쉽다.
추천자료
공자사상의 이해
이중 경제 구조의 문제
한국농업의 특징과 전망
[과외]중학 사회 1-2학기 기말 03 동아시아 문화권의 형성(교사용).
문화의 수수께끼 감상문 / 독후감
국립민속박물관을 다녀와서
공자의생애와 효사상
[화폐][상품유통][화폐 수요함수이론][화폐 수요변동요인][화폐 수요예측모형]화폐의 기원, ...
[자연주의] 자연주의 바르비종파 밀레와 농민화 서민의 삶
한국사 뿌샘완성
2014년 2학기 식생활과문화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5년 2학기 식생활과문화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6년 2학기 식생활과문화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7년 2학기 식생활과문화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