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의 기후등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호주개요
●호주의 역사
1.식민기 이전
2.식민기
3.주권 확립기
4.연방 성립
지형⋅토양
●호주의 기후
1.호주 수도권(ACT)과 캔버라
2.뉴사우스웨일즈(NSW)와 시드니
3.빅토리아(VIC)와 멜버른
4.태즈메이니아(TAS)와 호바트
5.퀸즐랜드(QLD)와 브리즈번
6.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SA)와 애들레이드
7.노던 테리토리(NT)와 다윈
8.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WA)와 퍼스
●동·식물
●국민
●자원
●농수산업
●제조업
●무역
●재정·금융
●교통
●정치·사회
●정부
●교육
●보건·사회복지
●문화
●한국과의 관계

본문내용

은행 중의 은행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 교통
넓은 국토에 비해 인구밀도가 희박한 지역이 많아 교통시설을 건설하는 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었다. 대부분의 주요도로와 철도는 영국의 식민지였던 19세기말에 만들어졌지만 주요항구와 연결되어 있을 뿐 국내의 교통 연계성에 대해서는 전혀 고려되지 않았다. 현재 오스트레일리아의 교통체계는 도로가 약 84만km, 항공로가 24만km, 국유철도가 4만km에 달하고 도로는 정부의 3개 부처에 의해 자금이 지원된다. 연방정부의 책임하에 있는 고속도로는 1,600km이며 모든 주의 주도를 연결한다. 철도는 주로 국유이고, 장거리 화물, 많은 양의 광물(특히 퀸즐랜드와 뉴사우스웨일스에서 생산되는 석탄), 곡물과 석유제품 운송을 담당하고 있어 경제발전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국토가 넓고 각 도시간의 거리가 멀기 때문에 항공교통이 발달했으며, 8,600대 정도의 각종 항공기를 보유하고 있다. 국내항공기를 이용하는 승객이 연간 1,350만 명에 달하고 국내선 전용공항도 1,130개이다. 또한 약 33개의 국제공항이 정기운항되고 있다. 시드니·멜버른·브리즈번·뉴캐슬 등 상업적으로 중요한 항구가 70여 곳 있는데 대부분 동부해안에 밀집되어 있다. 항구는 주정부 당국과 행정관서 또는 민간업자들의 책임 아래 운영된다.
● 정치·사회
1901년 6개의 영연방국으로 건설되었으나 현재는 뉴사우스웨일스·빅토리아·퀸즐랜드·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태즈메이니아 등의 6개 주와 오스트레일리아 수도준주, 노던 준주로 나누어져 있다. 수도 캔버라는 뉴기니 섬의 동부와 부근의 작은 섬들을 통치한다.
● 정부
영연방의 하나인 오스트레일리아의 정치제도와 관행은 영국과 북아메리카의 경험을 반영하여 서구식 민주주의 전통을 따르고 있다. 공식적으로는 영국의 엘리자베스 2세가 오스트레일리아의 여왕이고 통치체제는 크게 연방의회, 연방정부, 6개 주정부와 주의회 및 지방자치체로 구성되어 있다. 의회의 권한은 성문헌법에 규정되어 있으며, 주의회는 자체 헌법과 오스트레일리아 헌법의 규정에 준하며 영국식 내각책임제가 실시된다. 상하 양원의 의회에는 노동당·자유당·국민당·민주당 등 4개의 정당이 있다. 이들 정당의 조직은 모두 비슷하여 연방적 성격을 띠고 있으며, 주에는 지부당·연방집행부·평의회가 있다.
● 교육
6∼15세의 주민은 의무교육을 받을 권리가 있다. 연방정부는 특별보조금의 형태로 자금을 지원하며 공교육을 담당하고 있다. 19개의 종합대학교, 47개의 단과대학, 약 270개의 기술교육기관이 있으며 다수의 분교·부속학교가 전국에 있다. OECD의 회원국으로서 다른 회원국들과 교육·훈련에 관한 정보를 교환한다.
● 보건·사회복지
공중보건 서비스의 기반은 대체로 1차진료를 담당하는 민간개업의·공공병원이다. 의료보험제도인 메디케어는 주민의 기본적인 병원비·의료·시력검사 등에 따른 비용을 부담해준다. 오스트레일리아 사회보장제도의 효시가 된 것은 1910년 고령자 및 신체장애자에 대한 연금제 실시와 1912년의 임산부 수당제이다. 오늘날 시행되고 있는 사회보장사업의 주요항목으로는 고령자·신체장애자·병약자·편부모 등에 대한 연금과, 실업자·병약자·자녀를 둔 세대에 대한 수당을 들 수 있다. 자선단체들은 전통적으로 공공 사회사업을 보완해왔고 복지 분야에서 새로운 영역을 개척해왔다.
● 문화
오스트레일리아 예술은 유럽의 전통에 기초하며 환경, 역사, 원주민의 문화 및 이웃나라들과의 관계가 부분적으로 영향을 끼치고 있다. 예술을 지원하는 오스트레일리아 문화원에는 여러 위원회가 있으며 중앙협의회 프로그램은 연구·교육·다문화예술 등의 분야를 지원하고 있다. 음악과 연극은 연방정부로부터 재정지원을 받으며 특히 방송공사의 역할이 크다. 각 주의 주도에는 전문적인 대규모 오케스트라가 있다. 세계적으로 명성이 높은 생존화가로는 러셀 드리스데일, 시드니 놀란, 아서 보이드가 있다. 국립 빅토리아 미술관은 렘브란트·티치아노·티에폴로·터너·루벤스·레이놀즈·코로·모딜리아니 등 유명 화가들의 세계적 명품을 주로 소장하고 있고, 시드니의 뉴사우스웨일스 미술관은 자국의 화가와 조각가들의 대표작을 소장하고 있다. 그밖에 시드니에 있는 중요한 미술관으로 파워현대미술관이 있다. 1980년 미술가들을 돕기 위해 설립된 아트뱅크에서 작품들을 매입하여 정부 각 부처, 해외공관, 기업체 고객들에게 빌려주고 있으며, 연방정부는 미술품과 문화재의 대규모 국내외 순회전시회를 권장하고 있다. 근래 원주민예술은 관(官)의 권장에 고무되어 전례없이 관심을 끌면서 예술계에서 그 위치를 굳히고 있다. 국립미술관은 원주민예술에 대한 인식을 인류학적 측면에서 예술적인 것으로 전환하는 데 큰 역할을 해왔다. 캔버라 박물관은 미술품 중에서도 특히 원주민의 작품을 많이 소장하고 있다. 1896년 이래 영화사업은 많은 인기를 누리다가 잠시 침체되었고, 1969년 이후 연방정부의 지원으로 다시 활기를 띠게 되었다. 1984년에 발족된 국립영상음향기록보관소는 필름, 텔레비전 제작물, 사진, 포스터, 녹음 및 기타 관련자료를 보관하고 있다. 오스트레일리아 문학작품의 초기 경향은 헨리 로슨의 작품에서 엿볼 수 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로는 작가들이 사회문제와 보편성이 있는 주제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현대적인 실험적 작품이 등장했다.
● 한국과의 관계
1949년 8월에 한국을 승인한 뒤, 6·25전쟁에는 2만 명의 군인을 파견했다. 1961년 10월 수교를 합의하고 각기 상주 대사관을 설치했으며, 무역협정(1965. 9 체결, 1975. 6 개정)·문화협정(1971. 5)·어업협정(1983. 11)·핵협정(1983. 11) 등을 체결했다. 북한과는 1974년 노동당 정부 시절에 수교를 했지만 1975년 10월에 북한이 공관을 철수했다. 1982년 5월에 프레이저 총리가, 1984년 2월에는 호크 총리가 방한했고, 제24회 서울 올림픽에는 399명의 선수단이 참가했다. 1996년 현재 대한 수입액이 18억 769만 달러이고, 대한 수출액이 62억 7,180만 달러이다. 1997년 현재 교민 3만 3,371명과 체류자 1만 25명이 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7.05.07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83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