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탈 임플란트(Dental Implant)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덴탈 임플란트(Dental Implant)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mplant 정의

Implant 역사
- 골유착성 임프란트의 발전
- International recognition

Implant 장, 단점

Implant 시술의 특징

Implant 종류

Implant 구조

Implant 재료의 종류 및 표면처리 방법

Implant 상업화

Implant 보철물의 고정화

Implant 선택시 고려사항

Implant 최근 연구동향

본문내용

시스템이 유사하다.
3)titanium screw 형태가 cylinder형보다 선호된다.
4)uncoated titanium(순수 또는 합금) 임플란트가 coated 임플란트보다 널리 쓰인다.
5)Branemark, Dentsply Spectra, Steri-Oss, Calcitek, 3i, IMZ, ITI 순으로 선호(1995년 survey, 미국)
6)다양한 방식의 골증식술(Block bone 이식등 골의 이식을 제외한) 골의 결손 부위나, 골의 양적인 결핍, 그리고 발치 후 즉시 implantation하기 위하여는 상피세포의 침입을 방지해 줄 수 있는 membrane과 그 내부에 Bone regenerative materials을 사용하여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방식이 가장 많이 이용되어 왔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골 재생 후 막을 제거하여야 하는 2중의 고통을 피하기 위하여 한번으로 수술이 끝나는 흡수성 막의 사용과, 골 결손 부위에 Bone regenerative materials을 사용하지 않고 membrane만으로 골의 재생과 나아가 골의 vertical 재생 그리고 Bone regenerative materials자체가 barrier역활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재료들 개발되어 임상에 응용되고 있다.
아직은 실혐단계 지만 Bone morphogenin protein의 연구도 진행되고 있으며 이 방법들이 성공한다면 복잡하고 후유증 많은 수술 방법이 보다 간편해 지며, 쉽게 골의 재생을 얻으므로 광범의한 이식술을 쉽게 시술 할 수 있다.
* 비 흡수성 차단막과 Bone regenerative materials의 사용
* 흡수성 차단막과 Bone regenerative materials의 사용
* 차단막의 단독사용(골 결손 부위에 한함)
* 골의 vertical 재생
* Bone morphogenin protein의 실혐적 연구
7)발치와 즉시 Implantation
기본적으로 1st surgery는 bone의 remodeling이 완성된, 발치후 6-12개월 후에 시술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 치유기간의 연장으로 인한 환자의 고통과 더 중요한 문제는 골의 치유가 진행되는 기간 중에 골의 위축 현상 으로 인하여 골의 양적 결핍을 피할 수 없었다. 특히 전치부위는 골의 흡수로 인한 인공치관의 길이의 증가 등으로 심미적인 문제점이 있게된다. 때문에 최근의 경향은 어느 정도의 제한은 받겠지만 발치와 즉시 시술하는 Immediated implantation이 많이 시술되고 있다. 그리고 감염된 발치와에서의 즉시 implantation도 보다 효과적인 항생제의 투여로 거의 100%의 성공률을 보고한 임상성적도 보고되고 있다.
* immediated implantation.(골의 치유기전에 의해 자연적인 골의 재생)
* Immediated delayed implantation.(4-8주후 연조직의 재생이 완료된 후의 시술)
* Immediated implantation with membrane and Bone regenerative materials
* Immediated implantation with membrane only
* Infected socket implantation
* Submersible vs Non submersible
이 분야에도 많은 연구가 이루워지고 최근의 결론은 위의 2가지 방법의 임상성적이 거의 비슷하다는 결론이 보고되고 있다.
8)Immediated loading Implantation
일반적으로 implantation후 골의 결합을 위하여 3-6개월의 기간의 치유기간이 소요되지만, 수술 후 연조직의 치유가 끝나는 1-2주 후에 Implant support over denture를 시술하고 3년간의 임상성적을 기존의 골결합 기간을 기다린 경우와 비교한 결과 거의 유사한 임상 성적을 보고하였다.
또한 골의 치밀도가 높고 양이 충분한 경우에는 발치 후 즉시 implantation과 보철물을 장착하는 증례도 보고되고 있으며 이 경우는 implant의 apex 부위를 조작하여 물리적인 고정력을 증가시켜 강한 저작기능을 하고 골결합을 유도한다. 그 외에 Implantation은 통상적으로 시술하고 나머지 부위에 추가의 implants를 placement하여 이것을 이용하여 fixed protheses를 장착시켜 통상적으로 시술한 implants가 골결합이 완성되고 보철물을 장착하기 전까지 저작기능을 하게 하는 술식도 보고되고 있다. 이런 임시 저작을 위한implant는 Osseointegrated implants와는 근원적으로 다른 물리적 supporting만 하는 implants라 할 수있다.
* Immediated loading over dentures
* Immediated loading fixed prostheses(영구적)
* Immediated loading fixed prostheses(한시적)
9)상악부위의 부족골
Sinus의 형태가 원인이되어 implantation을 위한 골의 양이 부족할 때는 일반적으로 Sinus lift, elevation 혹은 augmentation을 시술하며 시술과 동시에, 혹은 후에 implantation을 시술한다. 그러나 augmentation을 위한 bone regenerative materials이 감염 등으로 인한 후유증의 발생과 bone regenerative materials의 질적인 문제 때문에 효과적인 osseointegration을 얻을 수 없는 부작용이 있었다.
이용 가능한 골이 어느 정도 있는 경우는 어렵고 후유증이 문제되는 Sinus lift technique를 시술치 않고 보다 간단한 방법으로 후유증을 최소화 하면서 성공적인 implantation을 위한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 Sinus lift, elevation, augmentation
* Membrane elevation
* Endoscopically membrane elevation
* Socket lift(Bone-Added Osteotome Sinus Floor Elevation Technique)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7.05.09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86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