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의 어반빌리지(Urban Village) 사례조사 및 비교분석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국의 어반빌리지(Urban Village) 사례조사 및 비교분석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사례조사
1. Crown Street, Glagow
2. Hulme, Manchester
3. Greenwhich Millennium Village - London
4. Poundbury, Dorset

II. 사례분석종합
1. 일반적 특성
2. 분야별 특성
- 환경적 지속 분야
- 사회적 지속 분야
- 경제적 지속 분야
- 문화적 지속성 분야

본문내용

친수공간 등 자연자원을 확충하고 이를 네트워크화하고자 하는 노력을 비교적 활발.
기존 고층/고밀 개발에서 적정 층수 및 개발밀도로의 하향조정이 이루어지고 있고. 주거유형/ 규모/ 형태 등에서의 혼합, 토지이용, 건물용도에 있어 복합개발의 개념이 채택.
지하철, 경전철, 버스 등의 대중교통 연계체계 구축 및 자전거와 보행 위주의 가로망 계획, 단지입구의 공동주차장 설치 등을 통해 차량이용을 감소시키고, 차도 폭 축소, 선형 개선 등을 통해 차량감속ㅇ르 유도
② 사회적 지속 분야
각종 주민 토론회나 원탁회의, 전무가 포럼 을을 통해 걔획안 수립 및 집행과정에 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 주민들의 지역적 소속감 강화
국내/외 현상설계를 통한 마스터플랜 수립 및 세부적 도시설계 지침작성으로 설계의 질을 높이고 체계적이고 종합적 개발 관리가 이루어짐
③ 경제적 지속 분야
소형 임대주택이나 저렴주택의 공급확대로 개발혜택이 주민에게 공평하게 분배, 내/외부의 여건을 종합 고려하여 환경용량의 한계 내에서 개발, 부의 외부효과가 확산되지 않음
자족적 지역경제체계 구축을 위해 소규모 작업장, 도심형 공장을 대상지 내에 입지. 주변지역과의 상호보완적인 기능을 갖거나, 지역적으로 특화된 시성 집중, 육성
④ 문화적 지속성 분야
주요활동 결절점에 각종 켜뮤니티 시설을 집중, 가로나 광장 소공원 등 공공 오픈스페이스를 중심으로 주택배치, 주민간의 교류 촉진 및 사회적 통합
기존 주거지가 지니고 있던 전통적인 가로망 패턴이나 쇼핑가로 광장을 복원, 역사적 교회나 학교 등을 보존하여 지역적 특성이 반영된 건축물 계획.
  • 가격1,7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7.05.09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86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