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LFT
1. 목적
2. 방법
3. 검사전 간호
4. 검사후 간호
Ⅱ. 간생검 (Liver biopsy)
1. 목적
2. 방법
3. 검사전 간호
4. 검사후 간호
Ⅲ. Peritoneoscopy(복막경검사)
1. 목적
2. 방법
3. 검사전 간호
4. 검사후 간호
Ⅳ. 간스캔
1. 목적
2. 방법
3. 검사전 간호
4. 검사후 간호
Ⅴ. 경정맥 담관조영검사(Intravenous Cholangiography : IVC)
1. 목적
2. 방법
3. 검사전 간호
4. 검사후 간호
Ⅵ. 경피경간담관조영검사 (Percutaneous Transhepatic
1. 목적
2. 방법
3. 검사전 간호
4. 검사후 간호Cholangiography : PTC)
Ⅶ. 역행성 내시경 취담관 조영술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 ERCP)
1. 목적
2. 방법
3. 검사전 간호
4. 검사후 간호
Ⅷ. Hepatobilliary Scan
1. 목적
2. 방법
3. 검사전 간호
4. 검사후 간호
Ⅸ. abdomen MRI
1. 목적
2. 방법
3. 검사전 간호
4. 검사후 간호
Ⅹ. Abdominal ultrasonography
1. 목적
2. 방법
3. 검사전 간호
4. 검사후 간호
Ⅺ. abdomen CT
1. 목적
2. 방법
3. 검사전 간호
4. 검사후 간호
1. 목적
2. 방법
3. 검사전 간호
4. 검사후 간호
Ⅱ. 간생검 (Liver biopsy)
1. 목적
2. 방법
3. 검사전 간호
4. 검사후 간호
Ⅲ. Peritoneoscopy(복막경검사)
1. 목적
2. 방법
3. 검사전 간호
4. 검사후 간호
Ⅳ. 간스캔
1. 목적
2. 방법
3. 검사전 간호
4. 검사후 간호
Ⅴ. 경정맥 담관조영검사(Intravenous Cholangiography : IVC)
1. 목적
2. 방법
3. 검사전 간호
4. 검사후 간호
Ⅵ. 경피경간담관조영검사 (Percutaneous Transhepatic
1. 목적
2. 방법
3. 검사전 간호
4. 검사후 간호Cholangiography : PTC)
Ⅶ. 역행성 내시경 취담관 조영술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 ERCP)
1. 목적
2. 방법
3. 검사전 간호
4. 검사후 간호
Ⅷ. Hepatobilliary Scan
1. 목적
2. 방법
3. 검사전 간호
4. 검사후 간호
Ⅸ. abdomen MRI
1. 목적
2. 방법
3. 검사전 간호
4. 검사후 간호
Ⅹ. Abdominal ultrasonography
1. 목적
2. 방법
3. 검사전 간호
4. 검사후 간호
Ⅺ. abdomen CT
1. 목적
2. 방법
3. 검사전 간호
4. 검사후 간호
본문내용
고 설명한다.
2)금기사항이 없다면 검사후 바로 식사가 가능하다고 말한다.
. abdomen CT
1. 목적
간 질환, 담도계 질환, 신장 질환, 위장관 질환, 췌장 질환, 비장 질환, 암의 병기 결정 등에 유용한 검사이다.컴퓨터를 이용하여 계산하므로 인체의 아주 작은 조직 사이의 밀도 차이도 구별할 수 있어 질병의 조기 진단뿐만 아니라 구성까지도 세밀히 볼 수 있는 검사법이다.
2. 방법
일반 X-선 촬영과는 달리 원통의 구멍이 있는 큰 기계에 사람이 들어가서 누우면 원통의 바깥에서 X-선 발생장치가 사람을 중심으로 원형으로 돌아가며 촬영한다. 일반 X-선 촬영 때는 앞뒤의 여러 가지 영상이 겹쳐 보이는데 전산화단층(CT)촬영을 하면 신체의 일정 원하는 부위를 칼로 썰어서 보듯이 깨끗한 2차원 영상으로 볼 수가 있다. 또 촬영이 끝난 후 컴퓨터를 이용하여 삼차원영상으로 재구성하면 입체적인 영상도 얻을 수 있다. 진단에는 20-30분 정도가 소모된다.
3. 검사 전 간호
1)검사할 때 맞는 조영제가 가끔 구토증을 유발하는 수가 있으므로 검사 시작 6시간 전부터 물, 음료수 등을 포함하여 npo. 복부촬영 때는 경우에 따라서 X-선이 잘 통과되지 않는 음료액을 필요에 따라서 마시게 한다.
2)임산부이거나 임신 가능성이 있는 환자는 미리 자신의 상황을 담당의사 또는 방사선사에게 의논하여 촬영을 피하도록 해야한다.
4. 검사 후 간호
검사 후 조영제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으로는 두드러기 등 과민반응이 있을 수 있다. 만약 가려움증 등이 있는 경우는 담당의사에게 즉시 이야기하여 조치를 받도록 한다.
2)금기사항이 없다면 검사후 바로 식사가 가능하다고 말한다.
. abdomen CT
1. 목적
간 질환, 담도계 질환, 신장 질환, 위장관 질환, 췌장 질환, 비장 질환, 암의 병기 결정 등에 유용한 검사이다.컴퓨터를 이용하여 계산하므로 인체의 아주 작은 조직 사이의 밀도 차이도 구별할 수 있어 질병의 조기 진단뿐만 아니라 구성까지도 세밀히 볼 수 있는 검사법이다.
2. 방법
일반 X-선 촬영과는 달리 원통의 구멍이 있는 큰 기계에 사람이 들어가서 누우면 원통의 바깥에서 X-선 발생장치가 사람을 중심으로 원형으로 돌아가며 촬영한다. 일반 X-선 촬영 때는 앞뒤의 여러 가지 영상이 겹쳐 보이는데 전산화단층(CT)촬영을 하면 신체의 일정 원하는 부위를 칼로 썰어서 보듯이 깨끗한 2차원 영상으로 볼 수가 있다. 또 촬영이 끝난 후 컴퓨터를 이용하여 삼차원영상으로 재구성하면 입체적인 영상도 얻을 수 있다. 진단에는 20-30분 정도가 소모된다.
3. 검사 전 간호
1)검사할 때 맞는 조영제가 가끔 구토증을 유발하는 수가 있으므로 검사 시작 6시간 전부터 물, 음료수 등을 포함하여 npo. 복부촬영 때는 경우에 따라서 X-선이 잘 통과되지 않는 음료액을 필요에 따라서 마시게 한다.
2)임산부이거나 임신 가능성이 있는 환자는 미리 자신의 상황을 담당의사 또는 방사선사에게 의논하여 촬영을 피하도록 해야한다.
4. 검사 후 간호
검사 후 조영제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으로는 두드러기 등 과민반응이 있을 수 있다. 만약 가려움증 등이 있는 경우는 담당의사에게 즉시 이야기하여 조치를 받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