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족, 허저족도 포함되었다. 제7차 전인대(1988년)에서 445명의 소수민족 대표가 당선되었다. 그들은 전국인민대표 총수(2,978)의 14.94%이며 당시 전국 인구에서 소수민족 인구가 차지한 비율 약 8%의 거의 2배가 되는 것이다.
(4) 소수민족 우대 정책
중국의 역사와 문화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 민족은 만주족, 몽고족, 회족, 壯族, 藏族 등을 들 수 있는데 대부분의 소수민족은 오랜 역사 속에서 중국 문화에 동화되어 한족화(漢族化) 또는 중국화(中國化)되었다. 따라서 오늘날의 중국은 한족에 의해서만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이민족과의 동화를 통해 형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중국에서 소수민족은 중국의 일부이고 자신들의 문화를 갖고 정체성을 유지할 자격이 있다.
이러한 역사성과 영토 통일, 그리고 정권 안정이라는 목적 하에 소수민족에게 많은 우대 정책을 펴고 있다. 소수민족의 경제 문화 발전을 위해서 국가의 지원과 소수민족의 자력갱생을 결합시키는 방침으로 국가에서 재정, 인력 등 도움을 주는 것이다. 1986년에는 소수민족 각종 보조비가 90억 원을 초과하였다. 개혁 개방의 정책을 실시한 이래 국가는 원활한 정책을 취하여 소수민족의 경제를 발전시켰는데 예를 들면, 서장에 대하여 1980년∼1990년 사이 농업 목축업세와 수매 업무를 면제하였다. 또한 국내의 성·시(省·市)와 소수민족 지역간의 상호 지원과 경제 기술 합작을 조직하고 지지하며 외자 도입에서도 연계를 맺어주고 있다.
문화 교육 사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우대 정책도 제정 시행하고 있다. 중화인민공화국이 건립된 후 민족 압박 제도가 제거되고 생산이 발전되고 생활이 개선되었으며 국가는 소수민족의 경제, 문화 그리고 의료 보건 사업의 발전에 도움을 주었다. 그리하여 인구의 하강 추세가 중지되었고 인구가 늘어나게 되었다. 한족에게 1자녀 갖기로 제한하고 있는 인구 정책도 소수민족은 적용하지 않고 있다. 소수민족에게는 2자녀까지 낳을 수 있는 혜택을 주고 있다. 또한 소수민족 고유의 풍속, 풍습과 언어 문자는 물론 여러 민족의 사회 경제 제도 및 생활 습관과 밀접히 연관되어 영향력이 큰 종교도 허용하고 있다. 소수민족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은 자원이 풍부할 뿐만 아니라 주로 변방에 위치하고 있어 중국의 영토와 외교상에 있어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중국 당국은 소수민족에 대한 고도의 자치권을 부여하는 등 여러 가지 특혜를 베풀고 있다.
(4) 소수민족 우대 정책
중국의 역사와 문화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 민족은 만주족, 몽고족, 회족, 壯族, 藏族 등을 들 수 있는데 대부분의 소수민족은 오랜 역사 속에서 중국 문화에 동화되어 한족화(漢族化) 또는 중국화(中國化)되었다. 따라서 오늘날의 중국은 한족에 의해서만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이민족과의 동화를 통해 형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중국에서 소수민족은 중국의 일부이고 자신들의 문화를 갖고 정체성을 유지할 자격이 있다.
이러한 역사성과 영토 통일, 그리고 정권 안정이라는 목적 하에 소수민족에게 많은 우대 정책을 펴고 있다. 소수민족의 경제 문화 발전을 위해서 국가의 지원과 소수민족의 자력갱생을 결합시키는 방침으로 국가에서 재정, 인력 등 도움을 주는 것이다. 1986년에는 소수민족 각종 보조비가 90억 원을 초과하였다. 개혁 개방의 정책을 실시한 이래 국가는 원활한 정책을 취하여 소수민족의 경제를 발전시켰는데 예를 들면, 서장에 대하여 1980년∼1990년 사이 농업 목축업세와 수매 업무를 면제하였다. 또한 국내의 성·시(省·市)와 소수민족 지역간의 상호 지원과 경제 기술 합작을 조직하고 지지하며 외자 도입에서도 연계를 맺어주고 있다.
문화 교육 사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우대 정책도 제정 시행하고 있다. 중화인민공화국이 건립된 후 민족 압박 제도가 제거되고 생산이 발전되고 생활이 개선되었으며 국가는 소수민족의 경제, 문화 그리고 의료 보건 사업의 발전에 도움을 주었다. 그리하여 인구의 하강 추세가 중지되었고 인구가 늘어나게 되었다. 한족에게 1자녀 갖기로 제한하고 있는 인구 정책도 소수민족은 적용하지 않고 있다. 소수민족에게는 2자녀까지 낳을 수 있는 혜택을 주고 있다. 또한 소수민족 고유의 풍속, 풍습과 언어 문자는 물론 여러 민족의 사회 경제 제도 및 생활 습관과 밀접히 연관되어 영향력이 큰 종교도 허용하고 있다. 소수민족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은 자원이 풍부할 뿐만 아니라 주로 변방에 위치하고 있어 중국의 영토와 외교상에 있어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중국 당국은 소수민족에 대한 고도의 자치권을 부여하는 등 여러 가지 특혜를 베풀고 있다.
추천자료
민족주의와 제국주의
[조사방법론] 대학생의 소수자 인식에 대한 연구
세계의 이중 언어 지역과 소수 언어 교육 -스페인 카탈루냐, 파라과이,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민족문화][민족문화 개념][민족문화 특성][민족문화 영역][민족문화 요소][민족문화 관련 제...
[차별][불평등]차별(불평등)과 인종차별, 차별(불평등)과 소수차별, 차별(불평등)과 남녀차별...
[민족화해, 민족화해와 생존권, 민족화해와 언론보도, 평화군축, 교류협력, 남북교류협력법]...
[일제하 교회, 기독교, 민족구원사상]일제하 교회(기독교)의 전래, 일제하 교회(기독교)의 민...
[일제강점기]일제(일제강점기, 식민지시대)와 민족주의자, 민족의학, 일제(일제강점기, 식민...
민족주의에 가려진 남북통일
우리에게 민족이란 무엇인가 (식민지시기 민족해방운동의 전개와 성격)
다민족 시대의 문화적 환경의 중요성에 대하여 논함. -국제경제환경론 4/공통
민족어의 창조적 계승 (우리말 올바르게 사용하기)
[사회문제론 D형] 한국사회에서 소수자의 인권은 어떤 식으로 사회문제가 되고 있으며 바람직...
[사회문제론D형] 한국사회에서 소수자의 인권은 어떤 식으로 사회문제가 되고 있으며 바람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