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체내의 단백질의 역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생체내의 단백질의 역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단백질

2. 단백질의 분류

3. 단백질의 구조

4. 단백질의 생체내 역할

1) 효소로서의 촉매 작용
2) 단백질의 생합성
3) 액틴(actin)
4) 콜라겐에 의한 지탱
5) 면역성 보호
6) S. prombe의 조절 단백질
7) 신경 충격의 발생과 전달

본문내용

든 세포는 세포 복제시기에 관계없이 Cdt1을 만들고 있었다.
세포의 DNA 양을 보면 DNA 복제 기구에 미친 영향을 알 수 있는데, 돌연 변이 Cdc18과 Cdt1을 가진 대부분의 세포들은 정상보다 2-4배 정도의 DNA 카피를 가지고 있었으며 두 단백질 중 하나만 돌연변이인 경우에는 정상적인 카피를 가지고 있었다.
다른 연구진의 실험에 따르면 파괴되지 않는 Cdc18을 다량 넣어줄 경우 DNA 복제가 여벌로 일어난다고 했지만, 이번 연구결과 만일 단백질 수치가 정상에 가깝다면 Cdc18과 Cdt1 모두 DNA 카피를 계속하는데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4-7)신경충격의 발생과 전달
신경전달 물질(호르몬 포함)은 신경섬유 말단부의 조그마한 주머니인 소포체에 저장되어 있다가 신경 정보가 전기적 신호로 신경 섬유막을 통해 말단부로 전파되어오면 이 조그마한 주머니가 신경 세포막과 접합한 후 터져서 신경전달물질이 시냅스 간격에 유리된다. 유리된 전달물질은 2만분의1mm 정도 되는 짧은 간격에 흘러서 다음 신경세포막에 도달되며 세포학에 있는 특수한 구조와 결합함으로써 흐운이 전달된다. 이 특수한 구조는 정보를 받아들이는 물질이라는 의미에서 수용체(RECEPTOR)라 부르고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다. 즉, 신경 전달물질은 일종의 열쇠이며 이를 받아들이는 수용체는 열쇠 구멍에 해당되기 때문에 전달물질이라고 하는 열쇠가 수용체라고 하는 열쇠구멍에 맞게 결합함으로써 다음 신경 세포막에 있는 대문이 열려 정 보가 전달될 수 있는 것이다. 신경전달물질은 각자 특유의 수용체 분자하고만 결합하여 특정 정 보 전달을 한다. 즉, 신경 정보를 가지고 있는 전달 물질이라고 하는 화학분자와 그 정보를 받아들이는 수용체라고 하는 특수 단백질 분자의 상호 결합으로 고도의 정신기능에서부터 행동 감정 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이 결정되는 것이다. 유리 신경전달물질이 신경세포막에 있는 수용체 단 백질과 결합하면 수용체 분자 옆에 있는 이온통로(이온채널)가 활성화되어 나트륨(Na+), 칼슘 (Ca++)과 같은 양이온, 염소이온(Cl-)과 같은 음이온의 세포내로의 이동이 증가된다. 평상시 세포 내에는 -60∼-90mV의 음전하를 띠고 있으나 양이온 이동의 증가로 양전하를 띠게 되면 신경세포는 흥분 발사를 하게 된다. 이때 염소이온과 같은 음이온이 세포내로 들어오게 되면 세포내의 음전하는 더욱 커지게 되어 신경세포의 흥분은 억제되는 것이다.
신경세포를 흥분시키는 전달물질로는 글루탐산(glutamic acid)이, 억제 시 키는 전달물질로는 가바(GABA: r-aminobutylic acid)가 대표적이다.
신경전달물질이 적절히 유리된다고 하더라도 이와 결합되는 수용체가 적 절한 기능을 하지 못하면 신경정보는 효율적으로 전달되지 못한다. 이런 의미에서 전달물질과 수 용체는 뇌에서 활동하는 남녀주역인 것이다. 어떤 이유로 전달물질의 유리가 적어지면 수용체수 는 증가되며 반대로 유리가 너무 많아지면 수용체수는 줄어들어 우리 뇌의 기능이 일정하게 항상 성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항상성이 깨어질 때 여러 가지 신경정신 질환이 발생된다. 대표적 인 예를 들면 도파민 신경전달 물질이 유리되어져 나오는 신경세포가 망가지면, 수용체는 정상이 나 수용체와 결합하는 도파민 전달물질이 없기 때문에 도파민이 매개하는 운동기능이 상실됨으로 써 '파킨슨병'이 생기고 반대로 도파민 수용체가 과도한 활동을 하면 '정신분열병'이 생기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따라서 파킨스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도파민 신경전달물질의 합성을 증가시키는 약제를 사용하는 것이며, 정신분열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도파민 수용체의 기능을 차단하는 약 물을 사용하는 것이다.
단백질은 생물체의 구성성분으로서 매우 중요하다. 모든 세포의 세포막은 예외 없이 단백질과 지질(脂質)로 구성되어 있으며, 핵이나 미토콘드리아등 세포 내의 각종 구조물도 단백질과 지질로 구성되어 있다. 또, 세포의 원형질도 다량의 각종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다. 이런 단백질의 생체 내 역할을 이해야만 생체의 모든 작용을 이해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참고서적 => 생물공정공학 (Bioprocess engineering basic concept)
생물화학(교재)
Molecular Biology(교재)
참고URL => http://www.bio.com
http://www.eurekalert.org
http://www.biozine.kribb.re.kr
http://www.encyber.com
  • 가격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7.05.17
  • 저작시기200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98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