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중국경제의 고속성장을 뒷받침한 정책적 요인과 그 결과
2. 중국경제의 시장경제화한 과정에서의 특징(타국과의 비교)
3. 최근 중국경제 대내외적 정책전환의 배경과 방향
- 중국경제의 bottleneck인 자원부족과 공해의 해결
4. 11.5 규획의 keywords는 무엇인가?
5. 중국에 진출한 한국기업에 미치는 영향?
6. 중국경제의 20~30년 후의 전망
2. 중국경제의 시장경제화한 과정에서의 특징(타국과의 비교)
3. 최근 중국경제 대내외적 정책전환의 배경과 방향
- 중국경제의 bottleneck인 자원부족과 공해의 해결
4. 11.5 규획의 keywords는 무엇인가?
5. 중국에 진출한 한국기업에 미치는 영향?
6. 중국경제의 20~30년 후의 전망
본문내용
고용구조 추이를 살펴보면 표와 같이 장기적으로 1차 산업비중이 감소되고 3차 산업(서비스)의 비중이 확대됨을 알 수 있다. 구 분
연 도
1차
2차
3차
산업별 구조비중
2000년
19
49
43
2010년
11
54
35
2020년
7
53
40
산업별 고용구조
2000년
50
23
28
2010년
41
24
35
2020년
34
23
44
3차 산업의 확대에서 창출되는
고용과 2020년 58.7%까지 진행될 도시화율은 도시 실업의 문제를 해소 시켜줄 것으로 전망된다. 2010~2020년 중국의 중장기 경제성장 목표에 있어 1인당 GDP는 $2000~$5000까지 증가할 전망 이며 구매력 평가(Purchase Power Parity)를 통해 작성된 GDP 예상치에서 중국이 미국과 일본을 제치고 1위를 점하고 있다는 점에서 다시 한 번 중국의 빠른 성장을 절감하게 한다. 이같은 성장을 발판으로 2020년에는 일본을 추월하고 2040년에는 미국과 대등한 경제규모를 갖춤으로써, 전세계가 중국경제를 연구하여 CHINA MODEL로 삼는 날이 올 것이다.
☜ 별첨
중국경제의 Bottleneck
Thomas Friedman : China needs to bring in "the green cat" (Beijing Time 07.04.20)
☞ Friedman discussed a popular Chinese saying in his article:
"Black cat, white cat, all that matter is that it catches mice" --forget about the ideology,
all that matter is that China grows.
"Now the cat better be green, otherwise it is going to die before it catches the mouse,"
writes Friedman, quoting Dan Rosen, an expert on China's economy.
자원낭비로 인한 환경오염과 녹묘론(綠猫論)
2007년 다보스포럼(Davos Forum, WEF)의 제1의제는 ‘에너지와 기후변화’였다. 이는 앞으로 기업경영의 문제가 환경임을 시사해 준다. 양적성장만을 강조하며 그동안 세계 원자재의 블랙홀이라 불리며 전 세계의 자원을 무자비하게 사용해 온 중국은 세계 제2의 아황산(온난화) 가스
배출국으로 미국 다음으로 배출량이 많을 뿐만 아니라 배출 증가율에 있어서는 단연 세계 1위를 차지하고 있어 앞으로 미국을 추월할 전망이다. 문제의 심각성을 깨달은 중국은 성장위주의 정책을 제고하여 환경친화적 정책을 펼치기 시작하였다. 즉, 흑묘백묘론을 지양하고 녹묘(Green Cats)론을 제기하기 시작한 것이다. Green China
중국의 아황산 가스 배출 추이 (06.08.04매경)
를 만들기 위한 노력은 환경 파괴를 가져오는 오염산업에 대한 규제와 성(省)에너지 설비 / Recycle 설비 설치로 이어졌다.
China needs more "Soy Beans & Corn" (Beijing Time 07.02.13)
☞ China, the world's biggest soybean importer, boosted overseas purchases of the commodity
by 44 percent in January
☞ China to increase corn output to 150 mln tons in 2010
Bio Fuel 에탄올 전쟁
Bio fuel옥수수값 급등(CBT)
지구온난화가 불러온 농산물發 세계 인플레가 우려 되고 있다. BeiJing Time에 실린 기사를 보면 대두의 경우 세계최대 수입국으로 세계 원자재 수입이 지난 1월 약 44%가 량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옥수수의 경우 2006년 이래로 가격이 급증하 자 옥수수의 최대 수입국인 중국은 "China should be more self-reliant in corn supply as international corn exports are declining" 국제적인 옥수수 수출량이 감소할 것을 대비해 자체적인 공급력을 갖출 것을 강조하고 있다. 이 같은 에탄올 붐이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상 이변 우려와 석유 고갈에 따 른 에너지 안보로 강조되고 있는 시점에서 대체에너지로써 각광을 받고 있 음은 분명하다. 하지만 세계 식량의 부족과 생태계 파괴의 원인이 될 수 있 기에 만병통치약이 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이다.
연 도
1차
2차
3차
산업별 구조비중
2000년
19
49
43
2010년
11
54
35
2020년
7
53
40
산업별 고용구조
2000년
50
23
28
2010년
41
24
35
2020년
34
23
44
3차 산업의 확대에서 창출되는
고용과 2020년 58.7%까지 진행될 도시화율은 도시 실업의 문제를 해소 시켜줄 것으로 전망된다. 2010~2020년 중국의 중장기 경제성장 목표에 있어 1인당 GDP는 $2000~$5000까지 증가할 전망 이며 구매력 평가(Purchase Power Parity)를 통해 작성된 GDP 예상치에서 중국이 미국과 일본을 제치고 1위를 점하고 있다는 점에서 다시 한 번 중국의 빠른 성장을 절감하게 한다. 이같은 성장을 발판으로 2020년에는 일본을 추월하고 2040년에는 미국과 대등한 경제규모를 갖춤으로써, 전세계가 중국경제를 연구하여 CHINA MODEL로 삼는 날이 올 것이다.
☜ 별첨
중국경제의 Bottleneck
Thomas Friedman : China needs to bring in "the green cat" (Beijing Time 07.04.20)
☞ Friedman discussed a popular Chinese saying in his article:
"Black cat, white cat, all that matter is that it catches mice" --forget about the ideology,
all that matter is that China grows.
"Now the cat better be green, otherwise it is going to die before it catches the mouse,"
writes Friedman, quoting Dan Rosen, an expert on China's economy.
자원낭비로 인한 환경오염과 녹묘론(綠猫論)
2007년 다보스포럼(Davos Forum, WEF)의 제1의제는 ‘에너지와 기후변화’였다. 이는 앞으로 기업경영의 문제가 환경임을 시사해 준다. 양적성장만을 강조하며 그동안 세계 원자재의 블랙홀이라 불리며 전 세계의 자원을 무자비하게 사용해 온 중국은 세계 제2의 아황산(온난화) 가스
배출국으로 미국 다음으로 배출량이 많을 뿐만 아니라 배출 증가율에 있어서는 단연 세계 1위를 차지하고 있어 앞으로 미국을 추월할 전망이다. 문제의 심각성을 깨달은 중국은 성장위주의 정책을 제고하여 환경친화적 정책을 펼치기 시작하였다. 즉, 흑묘백묘론을 지양하고 녹묘(Green Cats)론을 제기하기 시작한 것이다. Green China
중국의 아황산 가스 배출 추이 (06.08.04매경)
를 만들기 위한 노력은 환경 파괴를 가져오는 오염산업에 대한 규제와 성(省)에너지 설비 / Recycle 설비 설치로 이어졌다.
China needs more "Soy Beans & Corn" (Beijing Time 07.02.13)
☞ China, the world's biggest soybean importer, boosted overseas purchases of the commodity
by 44 percent in January
☞ China to increase corn output to 150 mln tons in 2010
Bio Fuel 에탄올 전쟁
Bio fuel옥수수값 급등(CBT)
지구온난화가 불러온 농산물發 세계 인플레가 우려 되고 있다. BeiJing Time에 실린 기사를 보면 대두의 경우 세계최대 수입국으로 세계 원자재 수입이 지난 1월 약 44%가 량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옥수수의 경우 2006년 이래로 가격이 급증하 자 옥수수의 최대 수입국인 중국은 "China should be more self-reliant in corn supply as international corn exports are declining" 국제적인 옥수수 수출량이 감소할 것을 대비해 자체적인 공급력을 갖출 것을 강조하고 있다. 이 같은 에탄올 붐이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상 이변 우려와 석유 고갈에 따 른 에너지 안보로 강조되고 있는 시점에서 대체에너지로써 각광을 받고 있 음은 분명하다. 하지만 세계 식량의 부족과 생태계 파괴의 원인이 될 수 있 기에 만병통치약이 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이다.
추천자료
중국 WTO가입 영향분석 (국제무역 자유무역 국제통상 중국경제
한국과 중국의 교역 경쟁분야연구 (중국경제 한국경제 국제무역 무역통상
중국경제의 발전과정과 최근 경제 동향
[중국경제]차이나 쇼크
중국경제
중국사회경제사 발표 레포트
중국시장,중국경제,글로벌마케팅,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
[중국경제론] ‘미얀마’의 관광산업 특화 - 후진국 발전에 대해
중국경제론 report
중국사회경제사 정리 - 한대 경학의 발전과정
[중국경제론] 마르크스 『자본론』에서의 사회학 제1법칙과 제2법칙
중국경제론 - 한국과 중국의 항구 도시 비교
중국산업지리와경제문화,모택동의 지역 균형발전,등소평의 불균형발전,시진핑의 소강사회,경...
중국경제론-3가지 질문조사하기(시장,기업,무역)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