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약물 자율신경계에 작용하는 약물 중추신경계에 작용하는 약물 순환기계에 작용하는 약물 혈액 및 조혈기계에 작용하는 약물 호흡기계에 작용하는 약물 비뇨기계에 작용하는 약물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응급약물 자율신경계에 작용하는 약물 중추신경계에 작용하는 약물 순환기계에 작용하는 약물 혈액 및 조혈기계에 작용하는 약물 호흡기계에 작용하는 약물 비뇨기계에 작용하는 약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자율신경계에 작용하는 약물

2. 국소호르몬 (Autacoids)

3. 중추신경계에 작용하는 약물

4. 비뇨기계에 작용하는 약물

5. 호흡기계에 작용하는 약물

6. 혈액 및 조혈기계에 작용하는 약물

7. 순환기계에 작용하는 약물

8. 내분비계에 작용하는 약물

본문내용

용발현, 짧은 반감기 비교적 빠른 요중 배설작용을 가지고 있다.
① 작용 : Digitoxin에 비해 부작용이 적고 속효성이며 축적작용이 적은 강심이뇨제이다.
강심작용 : 심근의 수축력을 증가시켜 심박출량을 증가시키므로 울혈성 심부전등과 같은 질환에 사용되며 또 심박동수를 감소시키므로 빈박, 부정맥 등에 사용된다.
이뇨작용 : 말초혈관 수축을 감소시켜 신장의 혈류가 양호해져서 전해질 및 수분의 배설이 증가되어 전신 부종을 없앤다. 이 작용은 시장 및 혈액순환기계통에 대한 작용에서 간접적으로 나타나는 작용이다.
digoxin은 혈청 albumin 과 결합이 약하여 비교적 단시간에 작용이 나타나며 다른 digitalis제제 보다 축적 작용도 적고 부작용도 적다.
② 약물체내동태 : 경구투여시 생체내이용률은 60~80%, 식후 복용시 흡수율이 감소되며, 단백결합률은 20~50%, 반감기는 36~48시가니다. 간대사를 바드며 50~70%가 미변화체로 신장을 통해 배설된다.
③ 적응증 : 울혈성 심부전증 - 판막증, 고혈압, 허혈성 신천성 심질환
부정맥 - 심방세동, 조동에 의한 빈박, 발작성 심방성 빈박
기타 심낭염, 심근질환, 갑상샘 기능장애
④ 용법 용량 : oral (0.25mg/정)
소아 - 다음의 디기탈리스 포화량을 3~4회 분할 투여한다.
신생아 : 0.04~0.06mg/kg, 1개월~2세 : 0.06~0.08mg/kg
2세 이상 : 0.04~0.06mg/kg 1일 유지량은 포화량의 1/3~1/5
성인 - 디기탈리스포화량은 1~1.5mg, 유지량은 1일 0.125mg
parenteral(IM,IV) - 0.25mg/amp
소아 - 다음의 디기탈리스 포화량을 3~4회 분할 투여한다.
신생아, 미숙아 : 0.025~0.04mg/kg
2주~2세 : 0.035~0.05mg/kg
1일 유지량은 포화량의 1/3~1/5정도이다.
성인 - 디기탈리스 포화량 0.5~1mg, 1일 유지량 0.125~0.5mg
⑤주의사항 : 신기능이 완전하지 않을 때는 저용량이 요구된다.
신생아의 digitalis 내성은 다양성을 나타낸다.
조숙아와 발육부진아는 이 약에 매우 예민, 용량은 개별화되어 있다.
류마티스성 심근염 환자는 digitalis에 매우 민감하다.
다음 환자는 소량에 의해서도 독성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저칼륨혈증, 점액성부종, Stokes-Adams 증후군 환자, 만성 수축성 심막염환자, 갑상샘기능 항진증 및 저하증
⑥ 부작용 : 식욕부진, 오심, 구토, 설사, 전도장애, 황시, 시야몽롱
심실조동, 심장 방실결절성 리듬
◈ Toburex (순환용제)
① 작용 : ₁-adrenergic agonist, 급성 순환부전시 수축력 증강
② 적응증 : 급성순환부전
③ 부작용 : 빈맥, 협심증, 흉통, 고혈압, 호흡곤란, 두통, 감각이상
8. 내분비계에 작용하는 약물
1) 부신피질 호르몬
◈ Hydrocortisone sodium succinate (Solu- cortef)
hydrocortisone의 sodium succinate의 ester이며 수용성 제제로 정맥주사가 가능하기 때문에 수술 후 및 심한 외상이나 질병시 쇼크 치료에 사용한다.
① 작용 : 히드로코티손나트륨호박산염은 히드로코티손과 같은 대사 및 항염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 두 약물을 동량씩 주사할 경우 생물학적 작용이 같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히드로코티손나트륨호박산염을 정맥주사하면 1시간이내에 현저한 효과가 나타나며 이 효과의 지속시간은 일정치 않다. 주사한 약물은 12시간 이내에 거의 다 배설된다. 따라서 일정한 고혈중농도를 유지하고자 할 경우에는 매 4~6시간마다 주사해야 한다. 본제는 근육주사시에도 흡수가 빠르며 배설되는 양상은 정맥주사시와 거의 비슷하다.
② 용법 용량 : parenteral(IM.IV) - 100/250mg/vial
성인 : 100~500mg을 30초 이상에 걸쳐 정주, 환자의 반응 미 임상상황에 따라 1.3.6.10시간 간격으로 반복 주사, 신생아 및 소아 : 연령이나 체중보다 증세의 정도와 환자의 반응에 따라 조정하나 1일 투여량은 25mg이상이 되도록 할 것
③ 적응증 : 내분비 기능이상, 류마티스성 관절염, 교원성 질환, 피부질환, 알레르기성 질환, 안과질환, 위장계질환, 호흡기계질환, 혈액질환, 악성종양성질환, 부종성질환, 신경계 질환, 결핵성 수막염 등
③ 금기 : 전신성진균감염, 벤질알코올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신생아, 미숙아에게는 투여하지 않는다.
④ 부작용 : 우울, 홍조, 발한, 두통, 기분변화, 설사, 오심, 복부팽만, 위장계출혈, 식욕부진, 췌장염, 여드름, 상처치유의 지연, 반상출혈, 점상출혈, 진균감염, 안압상승, 흐린시야, 고혈압, 순환계 허탈. 혈전성 정맥염, 색전, 빈맥, 부종, 혈소판 감소증, 골절, 골다공증, 쇠약
◈ Dexamethasone sodium phosphate (Decadron, Oradexon)
① 작용 : 다형핵 밸혈구와 섬유아세포의 이동과 모세혈관 투과성 증가의 역전 및 리소솜의 안정화를 억제함으로써 염증완화
② 적응증 : 내분비 이상 : 원발성 및 속발성 부신피질 기능부전, 급성 부신피질 기능부전, 수술전과 심한 외상이나 질병시 부신피질 기능부전, 쇼크(부신기능부전), 유전성 부신이상증식
류마티스성 질환 : 골관절염, 류마티스성 관절염, 활액낭염, 건초염, 급성통풍성 관절염, 건선성 관절염, 상과염, 척추염
교원성 질환 : 전신 낭창성 홍반, 급성 류마티스성 심염
뇌수종 : 원발성 및 전이성 뇌종양, 뇌외상 등에 의한 부종
② 용법 용량 : parenteral(4,5mg/amp)
용량은 환자의 상태와 반응에 따라 매우 다양한다.
IM,IV - 초회량은 1일 0.5~8mg, 용량은 서서히 감량한다.
쇼크 치료 - 최근 의학계 동향은 다량을 투여한다.
뇌수종 - 초회량 10mg을 정맥내 투여하고 부종이 없어질 때까지 4mg씩 6시간마다 근육주사한다.
③ 부작용 : 우울, 월상안, 발한, 두통, 설사, 오심, 복부팽만, 위장출혈, 여드름, 반상출혈, 안내압, 고혈압, 혈전성 정맥염, 색전증, 부종, 빈맥, 혈소판감소증, 골절, 골다공증 등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7.05.20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04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