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내 삽관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기관내 삽관 (endotracheal Intubation)

2. 기관절개술 (Tracheotomy)

3. 개흉술 (Thoracotomy)

4. 중심 정맥압 (Central Venous Pressure, CVP)

5. 요추천자 (lumbar puncture, spinal tapping)

6. 배액관

본문내용

함 ; 채취 분석
② 뇌척수액의 압력측정
③ 뇌척수액의 순환상태 파악하기 위해 ; Q - test
④ 공기나 조영제 주입하여 검사하기 위함 (주로 x-선 촬영)
⑤ 약물 투입을 위해서 (steroid, 때때로 항생제 직접투입, 마취제)
⑥ 지주막 하강으로부터 혈액이나 농을 제거하기 위해 : 치료목적
⑦ ICP (두내강 내압)을 하강 시키기 위해
▷ 금기증
① 두개내압 상승이 의심되는 경우
② 신경학적 국소 증상
③ 천자경로의 감염증(피부감염과 골수염)
④ 출혈성 질환 또는 항응고치료중의 환자
⑤ 비협조적인 환자
⑥ 심한 퇴행성 척추관절환자- 바늘의 삽입의 어려움
▷ 체위 : lateral recumbent position
but, 비만한 사람, 측횡와위가 곤란한 사람, 측횡와위에서 뇌척수액이 잘 나오지 않을 때
죄위에서 시행한다.
① 옆으로 눕히고 침상가장자리에 오게 한다.
② 무릎, 허리, 등, 목을 가능한 굽혀 새우등을 만든다.
③ 어깨와 골반을 침상면에 수직으로 만든다.
④ 머리밑에 베개를 두고, 필요하면 장골능선과 늑골하연이 닿을 정도로 하여 척추가 침상
과 평행이 되도록 한다.
▷ 절차
천자부위 : L4~5, L5~S1 (척수가 L1~2까지 내려와 있기 때문)
L3~4 이상은 척수 손상 우려되므로 금함.
특히 소아는 L4~5 이하에서만 천자 시행
( 척수원추체 즉, conus가 성인보다 낮은 경우가 있으므로)
① 천자부위 소독, 국소마취 후 멸균 소공포를 댄다.
② 천자침 삽입 후 탐침(stylet)을 제거하고 뇌척수액이 나오는지 확인 후 안 나오면 몇 ㎜ 만 더 밀어넣는다.
- 정상 : 맑은 밀집색의 뇌척수액이 바늘을 통해 떨어짐
- 뇌척수액이 현저히 혈성(bloody)일때는 검사 중단.
③ 압력계(manometer)를 이용하여 CSF의 압력 측정 후 배액 또는 시각적으로 검사하며, 검
사실로 보낼 수 있음.
④ 바늘을 빼고 드레싱을 한다.
※ 요추천자 후의 과정 : 전과정 Aseptic
① 멸균거즈를 천자 부위에 댄다. - infection 방지
② 일정한 시간동안(4~12시간) 편평한 곳에 누워 있도록 한다. 이때 베개 사용하지 않는다.
③ 손실된 수분 보충 위해 수분 권장
④ 두통 심할 시 진통제 투여
▷ 간호
① 검사 전 간호
- 검사과정을 설명한다.
- 불안을 제거하고 심리적인 안정을 유도한다.
- 환자로부터 협조를 얻는다.
- 검사전 서약서를 받아야 한다.
- 검사전 소변과 대변을 보게 한다.(방광과 대장이 팽창되면 바늘이 잘못들어가서 방광과
대장을 천공시킬 수 있다.)
- 적절한 체위를 유지하도록 도와준다. 환자의 머리와 목을 가슴쪽으로 잡아당긴다.
윗쪽 다리가 앞으로 굴러내려가지 않도록 환자의 다리사이에 베개를 대주어도 좋다.
환자의 얼굴 쪽에 서서 한손으로 환자의 어깨를 다른 한 손으로 환자 무릎을 잡아준다.
② 검사후 간호
- 천자부위의 경막상처로 부터 척수액의 유출을 막는다.
- 머리를 높이지 않는 체위를 취한다.
- 상실한 CSF를 보충하기 위해 그리고 심한 두통을 호소할 경우 포도당 또는 식염수로 수
액요법을 한다.
(일부 환자는 천자 후의 두통으로 많은 고생을 하게 된다.
이 두통은 수액이 경막외강으로 누출되어 두개골 저부를 향하여 뇌를 압박하므로서 동통
이 민감한 두개강내 혈관조직에 긴장을 주기 때문이다.)
- 검사 후에 환자의 사지 움직임, 주사부위의 통증, 주사부위의 혈액이나 뇌척수액 배출,
배뇨능력 등을 사정하고 요추천자의 합병증이 있는지 관찰한다.
※ Q-Test (Queckenstedt test, 척수액 역동검사)
뇌척수액의 순환상태를 알기위해
요추천자하는 동안 경정맥을 교대로 압박하면서 척주관의 폐색을 확인하는 검사
- Q-test 음성 : 정상
경정맥을 약 10초간 압박하면서 두부로부터의 정맥환류(venous return)가 막혀 두개강
내 정맥압이 올라가서 뇌척수액압이 100mmH2O 이상 급속히 상승했다가 압박을 중지하
면 급속히 전 상태로 되돌아간다.
- Q-test 양성 : 척수종양, 척수염으로 인한 척수지주막 하강의 폐쇄 의미
압박을 해도 척수액압이 상승하지 않거나 상승은 해도 대단히 느린 경우
▷ 뇌척수액 Normal
성상 : 무색,투명 글루코즈 45~80mg/100ml
압력 : 6~18cmH2O 전해질 113~133mEq/치
단백질 15~40mg/100ml
◎ 배액관
▷ open drains
① Penrose drain
-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독성이 없는 직경 1/4~1inch 정도의 얇은 고무관
- pururent material, blood or serum을 복강 내에서 drain 하기 위하여 사용
- 다량을 drain 시 굳이 suction 할 필요가 없을 때
② sump drain
- irrigation, aspiration이 가능하도록 2중 또는 3중으로 만들어진 관
- 배액관 내의 압력이 대기압과 같아서 조직의 occlusion이 적다
- 다량의 enteric gistulas의 처리에 유용하게 쓰인다.
③ cigarette drain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관을 더 굵게 하기 위해, penrose 배액관 내에 거즈를 넣은 것
▷ closed suction drain
- polyvinyl chloride 또는 silicone으로 만들어진 firm, multiholed cath.
- 근치적 유방절제술이나 근치적 경부절제술 후에는 출혈이나 많은 삼출액이 예상되므로
- skin flap 밑으로 다발성 열공을 지닌 cath.로서 지속적 저압흡인 배액술을 하면 효과적
drain 자체의 오염에 의한 감염을 줄일 수 있다.
- JP(Jackson-Pratt): silicone으로 만든 원형의 폐쇄 배액 기구
- Hemovac
▷ catheter drain
간농양이나 복강 내 농양을 비수술적으로 경피배농하여 치료
▷ 합병증
① 주위 장기에 대한 송상
② 배액관을 매개로 한 복강 내 감염
③ 배액절개창의 혈관손상으로 인한 출혈이나 배액관을 통한 출혈
④ 배액절개창을 통한 탈장 및 유착, 이에 따른 장폐색
⑤ 배액관을 통한 통로감염 및 복벽농양
⑥ 배액관의 복강 내 유실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7.05.20
  • 저작시기200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04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