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는 말 : 개요와 목차
2. 귀납주의와 반증주의 비교
2-1. 귀납주의
2-2. 반증주의
3. 귀납주의와 반증주의의 문제와 한계
4. 대안으로서의 이론 - 쿤의 패러다임
4-1. 패러다임 이론이란
4-2. 귀납주의와 반증주의에 대한 반박은 어떻게 가능한가?
5. 나가는 말 : 패러다임 이론은 과연 상대적인가
6. 참고문헌
2. 귀납주의와 반증주의 비교
2-1. 귀납주의
2-2. 반증주의
3. 귀납주의와 반증주의의 문제와 한계
4. 대안으로서의 이론 - 쿤의 패러다임
4-1. 패러다임 이론이란
4-2. 귀납주의와 반증주의에 대한 반박은 어떻게 가능한가?
5. 나가는 말 : 패러다임 이론은 과연 상대적인가
6. 참고문헌
본문내용
라운은 다르게 접근하고 있다. 새로운 과학철학 안에서 과학적 지식과 과학적 진리의 개념 변화를 요구하는 브라운은 과학적 지식이 가지는 ‘네이글’적인 딜레마의 해결책으로 세 가지 방법이 있음을 주지시킨다. 첫째, 과학적 지식에 대한 개념과 연관 개념을 버리고 완전히 새로운 지식론의 전개를 할 것, 둘째, 논리실증주의의 연구에 따라 과학철학을 계속하는 방법, 그러나 이 방법들은 이론적으로 불가능하거나 기존의 문제를 반복하는 부담이 있다. 브라운은 마지막으로 혁신적인 제안을 하는데 “필요하다면 상대주의나 역사주의라는 비난을 감내하면서, 그 비난을 논리 경험주의의 실패 위에 세울 새로운 철학적 연구 프로젝트의 기초로 삼는 것” ibid., pp 241-242.
이다. 이는 패러다임 이론을 지지하는 것으로 “합리적인 결정 절차의 패러다임으로 제시되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6. 참고문헌
앨런 찰머스, 신일철/신중섭 옮김, 『현대의 과학철학』, (서울: 서광사, 1985)
H. I 브라운, 신중섭 옮김, 『논리실증주의의 과학철학과 새로운 과학철학』, (서울: 서광사, 1987)
토마스 쿤, 김명자 옮김, 『과학혁명의 구조』, (서울: 까치글방, 2002)
이다. 이는 패러다임 이론을 지지하는 것으로 “합리적인 결정 절차의 패러다임으로 제시되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6. 참고문헌
앨런 찰머스, 신일철/신중섭 옮김, 『현대의 과학철학』, (서울: 서광사, 1985)
H. I 브라운, 신중섭 옮김, 『논리실증주의의 과학철학과 새로운 과학철학』, (서울: 서광사, 1987)
토마스 쿤, 김명자 옮김, 『과학혁명의 구조』, (서울: 까치글방, 2002)
추천자료
학습자의 개인차
논리학 정리 자료
[과학과교수법]과학의 통념중에서 타당하다고 생각하는 항목과 타당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항목
[학습이론][행동주의][파블로프 행동주의학습이론][손다이크 행동주의학습이론][행동주의학습...
과제1. 과학적 지식 중 비과학적 지식 형성의 오류와/과학적 이론 중 이론 형성의 방법을 설...
신논리학 -베이컨-
[역사학파][경제학파]역사학파(경제학파)의 이론, 역사학파(경제학파)의 배경, 역사학파(경제...
뒤르켐의 도시론(기계적 연대에서 유기적 연대로 사회결속이 변환되는 장으로서 도시)
교육철학 총정리
교육철학 총정리
하나님의 존재 - 신론의 근거를 주장하는 논쟁들, 성경적 논증(하나님에 관한 지식, 특별계시...
과학교육론 총정리본 Part1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