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막 별로 내용 요약
2. 캐릭터 별 성격 분석
3.주제
4.매장된 아이로 인하여 Dodge 집안사람들이 보이는 현실 도피 현상에 대해 설명
5.은폐된 아이 문제의 표면화와 Dodge가 후계자로서의 Vince에 대해 설명
2. 캐릭터 별 성격 분석
3.주제
4.매장된 아이로 인하여 Dodge 집안사람들이 보이는 현실 도피 현상에 대해 설명
5.은폐된 아이 문제의 표면화와 Dodge가 후계자로서의 Vince에 대해 설명
본문내용
게서 태어난 아이. 틸던에게는 동생이자 아들이며, Dodge에게는 아들이자 동시에 손자가 되는 아이가 있었다. 그러나 단란했던 가족을 일순간 혼란시켜버린 것에 대한 단죄처럼 이 아이는 살해되었고 묻혔다. 1935년. 그 해 이후, 그 풍성한 옥수수 씨앗 대신 아이를 묻어두었다. 다른 가족들이 잠든 사이에 일어난 도즈의 소행이었다.
그런데, 도즈와 틸던 앞에 자신을 손자라고 주장하는, 자신을 아들이라고 주장하는 빈스가 나타났다. 이미 도즈에게는 단란했던 가족의 구성원인 도즈와 헬리, 틸던과 브래들리, 죽은 안센 외에는 기억하고 싶지 않은 또다른 혈육이 나타났다. 그것도 손자라고 주장하는. 도즈에게는 이미 묻었던 손자가 나타나는 꼴이며, 틸던에게는 묻혀버린 아들이 나타난 꼴이다. 그러기에 빈스 앞에서 도즈와 틸던은 손자가 아니며, 아들이 아니라고 말하는 것이다.도즈는 죽음을 앞두고 틸던도 아니고, 브래들리도 아닌 빈스에게 이 모든 과업을 유언으로 상속한다. 쓰라린 과거, 그 과거를 먹고 살며 고통스러워하는 현실을 현실의 어느 누구도-직접 사건의 당사자들도, 듀이스로 대변되는 구원의 종교도 아닌- 해결하지 못하는 과업을 다음 세대에게 물려주는 것이다. 매장된 아이가 도즈와 가족들에 의해 뒷마당에 살해-매장되었다면, 빈스는 스스로에 의해 집안에 매장되는 것일지도 모른다. 다만, 새롭게 암시된 생명의 환희와 함께.
Vince
가부장인 닷지가 힘을 상실하고, 장자인 틸던과 차남인 브레들리 역시 ‘완전한’ 남성으로서의 능력이 없는(틸던은 머리, 브레들리는 다리) 상황에서 이 가족은 곧 와해직전이다. 그 순간에 빈스가 등장하는데, 빈스는 6년간이나 집을 떠나있다가 “아버지를 만나기 위해” 뉴 멕시코로 가는 도중에 할아버지 댁에 들른 것이었다. 다시 말하면, 가족을 되찾기 위해 돌아온 인물인 것이다. 가족이 무너지려는 찰라에 가족을 되찾으려는 인물이 적시에 나타난 것이다. 색소폰을 들고 등장한 빈스는 이 극에서 신화적 주제의 시작을 알리는 인물로서, ‘매장된 아이’의 화신인 그의 재생은 중재적 요소로서 분극화된 대조 요인들을 화해시킨다. 오이디푸스처럼 매장된 아이의 화신인 빈스도 자신의 운명으로부터 도망치려 하나, 결국은 그 자신도 바로 가족을 오염시킨 비극적 역병의 근원임을 깨닫는다. 그러나 눈이 먼 오이디푸스가 고향에서 스스로를 추방함으로써 자신을 거세한 것과는 달리, 빈스는 다지 가에 남아 새로 찾은 권리를 주장한다.
빈스는 마치 그 자신이 이 집안의 대물림을 위해 환생한 ‘매장된 아이’임을 입증하듯이 스크린 도어를 찢고 거실로 뛰어 들어오는 상징적인 부활의 행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가족 중에 아무도 빈스를 알아보지 못할 때, 핼리만이 “빈센트”(‘to conquer’의 의미를 가진 라틴어 ‘vincere’로부터 온 것)라고 부르며 가족을 지키기 위한 ‘수호천사’로서의 그의 정체성을 확인한다. 빈스는 장손의 핏줄을 가졌다는 이유로 닷지를 이은 상속자이자 권력자로 등극하게 된다. 빈스야말로 도즈를 이을 가부장 권력으로 가장 적합한 사람이다.
그런데, 도즈와 틸던 앞에 자신을 손자라고 주장하는, 자신을 아들이라고 주장하는 빈스가 나타났다. 이미 도즈에게는 단란했던 가족의 구성원인 도즈와 헬리, 틸던과 브래들리, 죽은 안센 외에는 기억하고 싶지 않은 또다른 혈육이 나타났다. 그것도 손자라고 주장하는. 도즈에게는 이미 묻었던 손자가 나타나는 꼴이며, 틸던에게는 묻혀버린 아들이 나타난 꼴이다. 그러기에 빈스 앞에서 도즈와 틸던은 손자가 아니며, 아들이 아니라고 말하는 것이다.도즈는 죽음을 앞두고 틸던도 아니고, 브래들리도 아닌 빈스에게 이 모든 과업을 유언으로 상속한다. 쓰라린 과거, 그 과거를 먹고 살며 고통스러워하는 현실을 현실의 어느 누구도-직접 사건의 당사자들도, 듀이스로 대변되는 구원의 종교도 아닌- 해결하지 못하는 과업을 다음 세대에게 물려주는 것이다. 매장된 아이가 도즈와 가족들에 의해 뒷마당에 살해-매장되었다면, 빈스는 스스로에 의해 집안에 매장되는 것일지도 모른다. 다만, 새롭게 암시된 생명의 환희와 함께.
Vince
가부장인 닷지가 힘을 상실하고, 장자인 틸던과 차남인 브레들리 역시 ‘완전한’ 남성으로서의 능력이 없는(틸던은 머리, 브레들리는 다리) 상황에서 이 가족은 곧 와해직전이다. 그 순간에 빈스가 등장하는데, 빈스는 6년간이나 집을 떠나있다가 “아버지를 만나기 위해” 뉴 멕시코로 가는 도중에 할아버지 댁에 들른 것이었다. 다시 말하면, 가족을 되찾기 위해 돌아온 인물인 것이다. 가족이 무너지려는 찰라에 가족을 되찾으려는 인물이 적시에 나타난 것이다. 색소폰을 들고 등장한 빈스는 이 극에서 신화적 주제의 시작을 알리는 인물로서, ‘매장된 아이’의 화신인 그의 재생은 중재적 요소로서 분극화된 대조 요인들을 화해시킨다. 오이디푸스처럼 매장된 아이의 화신인 빈스도 자신의 운명으로부터 도망치려 하나, 결국은 그 자신도 바로 가족을 오염시킨 비극적 역병의 근원임을 깨닫는다. 그러나 눈이 먼 오이디푸스가 고향에서 스스로를 추방함으로써 자신을 거세한 것과는 달리, 빈스는 다지 가에 남아 새로 찾은 권리를 주장한다.
빈스는 마치 그 자신이 이 집안의 대물림을 위해 환생한 ‘매장된 아이’임을 입증하듯이 스크린 도어를 찢고 거실로 뛰어 들어오는 상징적인 부활의 행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가족 중에 아무도 빈스를 알아보지 못할 때, 핼리만이 “빈센트”(‘to conquer’의 의미를 가진 라틴어 ‘vincere’로부터 온 것)라고 부르며 가족을 지키기 위한 ‘수호천사’로서의 그의 정체성을 확인한다. 빈스는 장손의 핏줄을 가졌다는 이유로 닷지를 이은 상속자이자 권력자로 등극하게 된다. 빈스야말로 도즈를 이을 가부장 권력으로 가장 적합한 사람이다.
추천자료
'가정붕괴론'에 대한현상
존현문의 주어에 관한 소고- 주어 부재현상을 중심으로
[사회학의이해]디지털 문화의 오프라인 회귀현상 연구
[인터넷문화]인터넷 언어 현상과 전망
히피문화의 사회문화적 배경과 저항패션으로서 히피스타일의 현상
한국에서 일본만화의 위치와 보호론 및 산업론 현상 비판
국제결혼과 혼혈인, 다민족국가화 현상
[지구온난화]지구온난화 현상의 원인과 영향, 피해 사례 및 기후변화 대응 방안 모색 - 지구 ...
지적장애 성인이 이성교제에서 경험하는 사랑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SNS 소셜네트워크 인식조사및 sns로인해 나타난 사회현상, 문제점분석, 앞으로의발전방향, 문...
토지의 자연적 특성과 그 파생현상
평소에 관심을 갖고있던 사회복지 관련현상에 대해 연구문제와 가설을 정하고 가설을 검증하...
지구의 재앙 - 지구온난화 현상.ppt
집단주의를 통해 바라본 사회적 현상들과 해결책,집단주의,한국인의가치관,가족주의,학벌주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