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단지 조경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주거단지 조경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주거단지의 개념 및 유형

2 주거단지의 조경요소

3 주거단지의 조경

4 환경친화적 주거단지
[1] 환경친화적 주거단지 계획
[2] 환경친화적 주거단지 설계요소

5 환경친화 주거단지 조경의 해외 사례

본문내용

용의 효율을 극대화하고 쾌적한 주거환경을 조성하는 계획기법을 의미한다.
[2] 환경친화적 주거단지 설계요소
1) 배치계획
(1) 미기후를 이용한 배치계획
건물이 설치될 대지 주변의 지형 또는 건물의 위치에 따라 대지에 미치게 될 영향을 고려한 배치계획이다.
※ 바람길을 이용하여 주거를 설계하면 열섬효과를 줄이는데 큰 역할을 한다.
(2) 자연지형 활용계획
대지의 자연지형을 최대한 활용하는 배치계획이다.
(3) 주차장계획
자동차 배출 오염물질을 최소화 하고 거주자의 안전성을 확보하며 오픈 스페이스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주차장을 단지 외과이나 지하에 집중, 배치하는 계획이다.
※ 주차장을 지하에 사용 함 으로써 공간 확보에 용이하며 공간 사용에도 유용하다.
2) 녹화시스템
※ 우리의 주거 환경을 녹화함으로써 얻어 지는 기대효과로는 에너지의 절약, 주거지의 자연생태계 유지 및 회복, 건물의 내구성 증가, 도시경관의 향상, 벽면 반사 방지효과, 소음 저감 효과가 있다.
(1) 비오톱 시스템
비오톱이란 자율적으로 야생생물이 번식하기 위한 최소의 공간을 의미하며 비오톱 시스템은 수, 육생 생물을 위한 시스템계획으로 구분된다.
※ 야생생물이 서식하고 이동하는데 도움이 되는 숨, 가로수, 습진, 하천, 화단 등 도심에 존재하는 다양한 인공물이나 자연물로 지역의 생태계 향상에 기여하는 작은 생물의 서식공간이다. 이러한 비오톱은 단절된 생태계를 연결하는 징검다리 역할을 한다.
(2) 재활용시스템
자원을 한 번 활용하고 폐기하는 것이 아니라 반복적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재활용시스템에 이용될 수 있는 대표적인 것이 물과 쓰레기이다.
※ 아파트에 사는 거주자라면 누구나 쉽게 재활용에 동참 할 수 있을 것이다.
음식물 쓰레기, 캔, 유리, 종이, 플라스틱을 담는 통들이 눈에 띄기 쉬운곳에 마련되어 있으면 종량제 실시 이후 재활용이 많이 보편화된 계기가 된 것 이기도 하다.
(3) 물 처리시스템
단지 내에서 필요한 물을 단지 자체 내에서 자급자족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여 개발하였다.
※ 중수와 우수를 이용하는 방법 (상수의 소비와 하수의 배출 억제)
(4) 쓰레기 처리 시스템
① 생쓰레기를 퇴비화 시키는 방법 (비료의 사용을 줄임으로 환경을 보전)
② 쓰레기 분리수거 (재활용으로 낭비를 방지)
③ 쓰레기 소각 시 생기는 열 이용 (에너지 절약)
5. 환경친화 주거단지 조경의 해외 사례
[1] 옥상 및 인공지반의 상부녹화 사례
1) 도시와 주거단지에 점점 부족해지고 있는 녹지를 확충하기 위한 한 방편으로 건물의 옥상이나 인공지반 상부에 녹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옥상이나 지붕녹화는 그 자체로써 양호한 경관을 연출하고 인간에게 풍요로운 생태환경을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우수한 단열기능이 있어 에너지 절약도 가능하다.
그러나 옥상이나 인공지반 상부에 녹화를 하기 위해서는 인공지반 상부에 흙을 깔아야하는데, 이것은 건물의 하중문제로 인해 토심을 깊게 할 수 없어 교목 등의 식재는 어려운 실정이다. 하중을 줄이기 위해서 자연토양보다 가벼운 인공토양을 사용함으로써 어느 정도의 교목은 식재가 가능하다.
독일의 옥상조경
독일의 옥상조경
옥상조경
2) 영화 ‘저스트 라이크 헤븐’의 옥상정원
3) 싱가포르의 환경친화적인 주거단지 조경을 위한 노력
① 같은 디자인의 빌딩이 들어서는 것을 도시경관을 위해 법적으로 막고 있음
② 아파트, 빌딩 등의 옥상에 정원을 만들어 친환경적이며 동시에 냉방비를 절약
③ 아파트와 같은 건물의 1층 공간을 비워 자유로운 공기의 순환이 가능하도록 해서 냉방비를 절감
[2] 녹화된 경사지 활용형 데크주차장
경사지를 활용하여 환경친화적인 데크주차장을 조성한 대표적인 곳으로 일본의 마테르아노우단지를 들 수 있다. 마테르아노루단지에서는 경사지를 활용하여 데크주차장을 건설하고 주차장 상부공간을 녹화하여 단지 내에 환경친화적인 환경을 제공하였다. 이에 따라 주거동에서 데크주차장을 내려다보면 기존의 삭막한 콘크리트 구조물 대신 꽃과 녹음으로 조성된 아름다운 경관을 볼 수 있다.
경사지를 활용한 데크주차장과 데크주차장의 상부녹화
[3] 수생비오톱이 적용된 사례
비오톱의 종류에는 수생비오톱과 육생비오톱이 있다. 이주 수생비오톱은 연못과 배후비 등으로 구성된다. 수생비오톱에는 자연적으로 형성된 연못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자연형 비오톱과 새롭게 조성된 인공형 비오톱이 있는데, 자연형 비오톱의 생태적 안정성이 인공형 비오톱에 비해 훨씬 더 높다.
그러나 주거단지에서는 여건상 주로 인공형 비오톱을 조성하게 되는데, 이때는 최대한으로 자연적인 요소와 특성을 살려주는 계획이 필요하다.
※ 비오톱은 그리스어로 생명을 의미하는 "비오스(bios)"와 땅 또는 영역이라는 의미의 "토포스(topos)"가 결합된 용어로 인간과 동식물 등 다양한 생물종의 공동 서식장소를 의미한다.
네덜란드 에콜로니아
독일 샤프륄 주거단지
일본 마테르아노우 주거단지
일본 타마 뉴타운
중국의 인공형 비오톱
[4] 실개천의 보행자 전용도로의 연계조성
물은 인간이 생활을 영위하는데 필수적인 요소일 뿐만 아니라 생태적 정서적으로 풍요로운 환경을 제공해 준다. 실개천은 보행자 전용도로와 함께 주거단지에 하나의 축을 형성하는 선형공간이다. 이 두 요소를 서로 결합하여 조성하면 보행자들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게 되어 보다 큰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일본 타마 뉴타운 미나미오사와
* 참고 문헌과 사이트
- 동영상자료
http://news.naver.com/tv/read.php?mode=LSS2D§ion_id=115§ion_id2=291&office_id=052&article_id=0000132540&menu_id=115
- http://huri.jugong.co.kr/ecohouse/04_02_10.html
- http://blog.empas.com/gabona/8822364
- www.yahoo.co.kr
- www.naver.com
- 동국대학교 친환경주거환경 (논문) 2005.8
- http://ata.hannam.ac.kr/%7Ehpw/aaj/en-lay.html
- 한겨레신문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7.05.29
  • 저작시기200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19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