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분비계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내분비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내분비선과 호르몬
(1)호르몬의 화학적 분류
(2)프로호르몬과 프레호르몬
(3)신경과 내분비 조절의 공통점
(4)호르몬 상호작용
(5)호르몬 농도가 조직반응에 미치는 효과

2.호르몬 작용의 기전
(1) 분비
(2) 운반
(3) 작용

3. 뇌하수체
(1)뇌하수체 호르몬
(2)뇌하수체 후엽의 시상하부 통제
(3)뇌하수체 전엽의 시상하부 통제

4. 부신
(1)부신피질의 기능(ADRENAL CORTEX)
(2)부신수질의 기능
(3)스트레스와 부신

5.갑상선과 부갑상선
(1)갑상선 호르몬
(2)부갑상선

6.췌장 및 기타 내분비선
(1)랑게르한스섬
(2)송과선
(3)흉선
(4)위장관
(5)성선(생식소)및 태반

본문내용

성장과 능력에 큰 영향을 미친다.
티록신과 T3의 분비기전
뇌하수체 전엽에서 합성되는 갑상선 자극호르몬(TSH)에 의해 촉진된다. 대사율(에너지 생산)이 감소되는 경우 이러한 변화는 시상하부에서 감지되어 곧 갑상선 자극호르몬 유리호르몬의 유리를 촉진하게 되고 이는 다시 뇌하수체전엽에서 갑상선 자극호르몬의 합성을 촉진시켜 갑상선 호르몬인 티록신과 T3를 유리시켜 에너지 생산을 증가시킴으로써 대사율을 항진시키게 한다. 갑성선 호르몬이 분비되어 대사율이 항진되면 이는 다시 음성되먹이기전에 의해 대사율이 다시 감소될 때까지 시상하부의 갑상선 자극호르몬 유리 호르몬의 유리를 감소시키게 된다.
옥소는 티록신과 T3의 필수적인 성분으로 옥소의 섭취가 부족된 경우에는 갑상선종(goiter)을 유발한다. 옥소의 섭취가 부족된 경우에는 갑상선세포들이 더 많은 티록신을 합성할 목적으로 비대되어지게 되므로 갑상선이 목의 앞부분에서 두드러지게 된다.
② 칼시토닌 (CALCITONIN)
칼시토닌은 칼슘과 인이 골조직으로부터 혈액 내로 재흡수되는 것을 감소시킴으로써 혈액 내 칼슘과 인의 농도를 감소시켜준다. 이와 같은 칼시토닌의 기능은 혈액 내 칼슘과 인의 농도를 정상적으로 유지해 주고 안정되고 강한 골조직이 유지되도록 한다. 칼시토닌은 특히 뼈가 성장하는 시기인 성장기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칼시토닌의 분비자극
혈중 칼슘농도가 증가되면 칼시토닌이 분비되어 골조직으로 부터 칼슘과 인이 유리되지 않도록 방지한다.
(2)부갑상선
작고 납작한 부갑상선은 갑상선 측엽의 뒤 표면에 묻혀있다. 보통 4개의 부갑상선이 있는데 즉 상부에 한 쌍과 하부에 한 쌍이 있다. 부삽상선 호르몬(PTH)은 부갑상선이 분비하는 유일한 호르몬이다. 그러나 부갑상선호르몬은 혈액의 Ca2+수준을 통제하는 가장 중요한 호르몬이다. 이 호르몬은 뼈, 신장, 장에 작용하며 혈액 Ca2+농도를 증가시킨다.
6.췌장 및 기타 내분비선
췌장은 내분비선인 동시에 외분비선이다. 췌장의 내분비부분은 랑게르한스섬이다. 랑게르한스섬은 인슐린과 글루카곤등과 같은 호르몬을 분비한다.
(1)랑게르한스섬
랑게르한스섬의 가장 두드러진 세포는 α-세포에서 분비되는 글루카곤과 β-세포에서 분비되는 인슐린이다. α-세포는 혈당농도가 감소하면 글루카곤을 분비한다. 글루카곤은 간을 자극하여 글리코겐을 포도당으로 분해해 혈당농도를 증가시킨다. 글루카곤은 또한 지방의 분해를 자극하여 유리지방산이 혈액으로 방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효과는 혈당농도가 감소하는 단식 중 에너지를 공급하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글루카곤은 다른 호르몬과 함께 지방산을 케톤체로 전환시키는데 이는 혈액으로 분비되고 다른 기관의 에너지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글루카곤은 단식기간 중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는 호르몬이다.
β-세포는 혈당농도가 증가하면 인슐린을 분비한다. 인슐린은 조직으로의 포도당 흡수와 포도당의 글리코겐과 지방으로의 전환을 촉진한다. 인슐린은 혈당농도가 증가할 때 에너지 저장을 촉진한다. 이 작용은 글루카곤의 작용과는 길항적이고 글루카곤의 분비는 보통 인슐린의 분비가 증가할 때 감소한다.
(2)송과선
뇌의 제3뇌실의 지붕에 위치하는 작은 원통형의 선으로 중뇌에 위치하며 시상에 부착되어 있다. 송과선의 중요한 호르몬은 멜라토닌으로 이 호르몬의 생성과 분비는 교감신경의 활성을 통해 시상하부의 시신경교차상핵 활성에 의해 자극받는다. 시신경교차상핵은 신체의 일주기 리듬을 관정하는 주요센터이다. 멜라토닌의 분비는 어두워지면서 증가하기 시작하고 한밤중에 최고조에 이른다. 낮 동안에는 눈의 망막에서 시상하부에 이르는 신경회로가 SCN(시신경교차상핵)의 활성을 억제시킴으로써 송과선의 교감신경 자극과 멜라토닌분비를 감소시킨다.
(3)흉선
흉선은 대동맥 앞과 흉골병 뒤에 위치한 두 개의 엽으로 된 기관이다. 흉선의 크기는 신생아와 어린 아이에게서는 비교적 크지만 사춘기가 지나면서 현저히 퇴화된다. 크기의 감소 뿐만 아니라 성인의 흉선은 섬유질과 지방성 결합조직으로 차 있다. 그리고 흉선은 T-세포의 생성부위이고 T세포는 세포매개성 면역에 관련된 림프구이다.
(4)위장관
위와 소장은 위장관 자신과 췌장 및 담낭에 작용하는 수많은 호르몬을 분비한다. 자율신경계에 의한 조절과 함께 이 호르몬은 소화관의 다른 부위의 활성과 리파아제와 담즙의 분비를 조정한다.
(5)성선(생식소)및 태반
정소와 난소는 각각 남성호르몬인 안드로겐과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 및 프로게스테론을 분비한다. 정소에 의해 분비되는 주요한 안드로겐은 테스토스테론이고 난소에 의해 분비되는 주요한 에스트로겐은 에스트라디올-17β 이다.
에스트로겐은 여포 내 난자의 성숙을 촉진하고 수정란에 대비하여 자궁 내막(endometrium)내 혈관의 증식을 자극하며 여성의 제 이차 성징 발현 : 유선의 도관계의 성장, 자궁의 성장, 둔부와 대퇴부위에 피하지방의 축적하고 장골의 성장 판의 폐쇄를 유발하여 성장이 멈추게 된다. 또한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triglyceride)의 혈중농도 감소 (폐경 이전의 여성에서는 에스트로겐이 분비됨으로써 죽상경화증이나 관상동맥질환 (coronary artery disease)의 발현을 감소시킨다.)
프로게스테론(PROGESTERONE) 은 성숙된 여포가 난자를 유리하고 나면 여포는 황체로 변화되어 에스트로겐과 함께 프로게스테론을 합성, 분비한다. 이와같은 현상은 뇌하수체 전엽호르몬인 황체화호르몬에 의해 자극이 되며 기능은 자궁내막의 혈관증식을 더욱 자극하고 글리코겐의 저장을 촉진시켜 후에 태반이 될 수 있도록 준비시킨다. 프로게스테론은 또한 유선의 분비세포들을 발달시킨다.
테스토스테론은 정소의 간질세포에서 분비되는 스테로이드 호르몬이다. 테스토스테론은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되는 황체화호르몬에 의해 그 분비가 조절된다. 정소의 정세관(seminiferous tubules)내에서 정자(sperm)의 성숙을 촉진하고 남성의 제 이차 성징의 발현을 촉진하여 생식기관의 성장, 얼굴과 몸체의 털의 증가, 후두의 성장으로 인한 목소리가 저음으로 변화하게 하며 골격근의 성장을 시킨다.
  • 가격2,5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7.05.29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19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