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물류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환경 물류
1. 환경 물류의 필요성

2. 환경 물류란?

3. 환경물류의 방향

4. Reverse logistics

5. Reverse Logistics시스템

6. Reverse Logistics와 고객서비스

7. Reverse Logistics의 경향들

8. 재활용 물류 사례

본문내용

그대로 실리는 '트레일러 트럭시스템'을 활용하고 있다. 철도의 운행거리는 먼 곳이라야 300㎞ 정도지만 트럭 수송과 비교하면 비용은 약 30% 높다. 센터에서 배출된 폐기물(포장이 중심)을 ①<1/3>플라스틱 ②<1/3>골판지 ③<1/3>일반지 ④<1/3>고급지(컴퓨터 용지 등) ⑤<1/3>①∼④<1/3>이외 5가지로 분류하여 배출하고 있다. 플라스틱과 일반지에 대해서는 리사이클 기업이 무료로 수거해 온다. 반대로 골판지와 고급지는 유상으로 리사이클 기업에 인도한다. 그 외 폐기물은 월간 약 40t을 배출, 미그로의 회수센터 트럭이 회수, 동 센터가 1t 당 280프랑을 지불하고 회수. 소각처리를 위탁한다. 스위스 폐기물 처리는 지방자치단체의 소관이지만, 소비재의 제조, 판매에 관한 사업소에 대해서는 주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폐기물 적정처리에 대한 지시가 있다. 그룹 내 지역을 구분하고 국내에 10개소의 회수센터를 보유, 운영하고 있고 그룹의 폐기물 전부를 회수센터가 회수, 적정 처리하고 있다. 회수센터는 자원을 순환적으로 재이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폐기물의 분류, 리사이클 기업으로 인도, 그 외 폐기물은 소각처리를 하고 있다. 행거는 점포에서 회수하여 재이용할 수 있는 것은 유통센터 등에 돌려줘 그대로 재이용하고 부서진 것은 리사이클 기업(철 등 재 material화)으로 인도한다. 폐가전품에 대해서는 점포와 유통센터에 직접 가지고 간 것에 대해서는 전부 무료로 인수하고 회수센터에서 소재별로 분류하고 각각의 리사이클 기업에 인도된다. 단, 소비자 가정에서의 회수와(수송을 위한) 재포장 이 필요한 대형가구의 인수에 대해서는 소비자로부터 요금을 징수한다.
4) 독일 VIVO사
뮌헨시 근교 바른가우거리의 공업전용지구에 입지하고 96년 남부 독일 미스바퍼 주에서 100% 출자하고 폐기물처리의 위탁처 로서 창업한 민간 처리기업으로 동사가 회수, 처리하는 폐기물은 기본적으로 ①<1/3>(매립하여 처리되는) 일반 쓰레기 ②<1/3>(리사이클 가능한)자원 쓰레기의 2종류로 분류할 수 있다.
지방자치단체 출자의 폐기물 회수. 처리기업은 바이에른주 내에서 50∼60사, 리사이클 기업은 약 1,500사에 이른다.
일반 쓰레기(리사이클 가능한 폐기물 전부)는 각 가정, 사업소에 구입이 의무화되어 있는 '재사용 용기'(60리터에서 특대 1,100리터까지 용량이 다른 회수용기)를 사용하여 각 가정으로부터 2주간에 1회 동사가 계약한 폐기물회수전문 민간트럭운송사업자 1사 10대에 의해서 회수된다. 회수량 은 연간 약 1만∼1만 1,000t에 이르고 전부 매립하여 처분되고 있다. 동사는 매립 가능한 토지를 보유하고 있지만 연방법에 따라서 2006년 이후는 매립 처분이 금지되어 소각처분과 미생물의 활용에 따라서 처리방법 연구를 개시하였다. 일반 쓰레기의 회수, 처리에 드는 비용은 모두 유료. 금액은 '회수용 용기'의 크기에 따라 용량별로 정해지고 동사에 직접 지불할 수 있다. 리사이클 가능한 자원 쓰레기는 동사가 회수하는 폐기물 총량의 약 75%를 차지하고, 회수 처리는 모두 무료. 자원쓰레기는 ①<1/3>바이오 쓰레기(퇴비화가 가능한 생쓰레기, 생쓰레기외 수목, 나뭇잎사귀 등도 포함) ②<1/3>폐지 ③<1/3>유리병 ④<1/3>플라스틱 시트와 용기(우유팩도 포함된다) ⑤<1/3>캔 등 금속제 용기 5품목이다.①<1/3>바이오쓰레기 배출 자는 그 양에 따라서 80∼140리터의 '바이오 용기'를 구입, 각 가정으로부터 회수는 1주일에 1회. 이 시스템에 참가는 임의이지만, 현재상태는 군 인구의 약 80%가 참가하고 있고 회수 량은 일반가정에서 연간 약 1만t, 공원 등에서 수목쓰레기가 연간 약 5,000t에 이른다. 동사는 회수한 바이오쓰레기를 퇴비화 하는 처리장을 가지고 회수에서부터 7주간에 걸쳐 생산된 '콘포스트 제품'(퇴비)은 50리터 가득 채워서 근교 야채재배농가와 가디닝 재료를 생산하는 공장에 판매하고 있다.②<1/3>폐지(신문, 골판지, 혼합 포함)는 분류 컨테이너를 150개의 집적장소에 배치하여 배출자 자신이 투입하고 컨테이너 단위로 회수한다. 회수된 폐지는 시장의 상장가격으로 매각한다. 폐지시장은 변동이 심하지만 현재(2000년 11월)의 매각량은 연간 약 10만t에 이르고 동사의 중요한 수입원이 되고 있다.③<1/3>유리병은 3분류된 컨테이너를 150개의 집적장소에 비치하여 배출자자신이 투입, 컨테이너 단위로 회수한다.④<1/3>플라스틱(페트병 포함)과 ⑤<1/3>캔에 대해서도 동사가 집적장소에 놓은 전용 컨테이너로 회수하고 조성과 소재별로 분류한다. ③∼④<1/3>의 리사이클은 연방의 '용기포장리사이클법'의 적용대상이 되기 때문에 리사이클은 모두 메이커, 유통업자의 의무(단, 리사이클 코스트는 판매가격을 상승시키는 것이 인정되고 있다).메이커와 유통업자의 라이선스 비용에 따라 운영되고 있는 '독일용기포장리사이클협회(DSD)'가 전부 관리하고 있다. 바이보는 회수한 자원쓰레기를 리사이클 원재료로서 DSD만에게(DSD가 표시하는 가격으로) 매각하고 비용지불을 받고, 자원쓰레기의 납품처도 DSD의 지시로 결정된 리사이클프로세스에 있어서 동사의 역할은 바이오쓰레기를 제외하면 지역으로부터 회수와 분류는 한정적인 것이고 자원쓰레기의 회수, 분류 코스트는 매각수입을 웃돌아 적자지만, 이들의 폐기물의 리사이클 비용 전체를 소각과 매립 등의 처분비용과 비교하면 지금의 리사이클 비용이 낮다. 이들 자원쓰레기의 회수는 전부 동사와 계약한 민간의 트럭운송사업자에게 위탁하고 있고 입찰에 참가하기 위해서는 군에 의한 수집운반의 허가가 필요하다. 가구 등의 대형쓰레기, 폐가전품, 전지. 도료. 고무제품 등(처리에 유해물질이 나올 우려가 있는 폐기물)은 전부 동사 혹은 군내 16개소에 집적소로 배출자(소비자)가 직접 가져간다. 이들 중 재이용이 가능한 것에 대해서는 중고품 거래 장소를 개설하여 무료로 제공. 폐기되는 것은 소재별로 해체하고 각각의 리사이클 공장으로 유상 혹은 역 유상으로 인도한다. 폐가전품의 해체는 코스트가 들고 소재로서 매각해도 적자기기 때문에 거래에 있어서는 실비를 징수하고 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7.05.30
  • 저작시기2005.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20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