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동학의 정치사상
3. 민족주의 이론과 한국 민족주의
4. 결론
2. 동학의 정치사상
3. 민족주의 이론과 한국 민족주의
4. 결론
본문내용
적 민주주의인지, 우리의 민주주의가 나아갈 길은 무엇인가에 대한 고찰은 급격한 사회발달과 서구문물 유입의 혼재 속에서 끊임없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서양의 음을 동양의 양’으로 제압하려고 했던 동학의 정치사상에 대해 살펴보는 일은 충분히 의미가 있을 것이다. 동양의 사상은 그 특성상 이론적인 근거를 바탕으로한 사상보다는, 실천이성의 지혜로써 바름의 방향을 모색해 나갔다는 특징이 있다. ‘마땅히 그래야 한다’는 이념은 전통사회을 거쳐오는 동안 이미 우리 안에 내제해 있었고, 이는 동학에서도 역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실천이성은 그 특성상 한마디로 정의하고 체계화하기가 쉽지 않다. 또한 동학운동은 구체적인 정치이론이나 내부적인 탐구가 부족하였다는 제한점을 가지고 결과적으로 실패로 끝나버리고 말았다. 하지만 우리 안에 자리잡은 인간중심적인 실천이성을 토대로 앞으로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이를 국제적 보편성으로까지 이끌어 갈 수 있는 노력이 반드시 필요할 것이다. 주체가 되어 스스로를 깨우치고, 민족의 통합을 말미암아 국제사회에서의 조화와 화합을 이루어내기 위한 끊임없는 노력은 동학의 정치사상에서 이어져 앞으로도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고경민, 『현대 정치과정의 동학』, 인간사랑, 2005.
서중석, 『사진과 그림으로보는 한국의 역사1』, 웅진싱크빅, 2005.
오문환, 『동학의 정치철학』, 모시는사람들, 2003.
정규훈, 『한국의 신종교 - 동학, 증산교, 대종교, 원불교의 형성과 발전』, 서광사, 2001.
최기성, 『동학과 동학농민운동혁명 연구』, 서경, 2002.
참고문헌
고경민, 『현대 정치과정의 동학』, 인간사랑, 2005.
서중석, 『사진과 그림으로보는 한국의 역사1』, 웅진싱크빅, 2005.
오문환, 『동학의 정치철학』, 모시는사람들, 2003.
정규훈, 『한국의 신종교 - 동학, 증산교, 대종교, 원불교의 형성과 발전』, 서광사, 2001.
최기성, 『동학과 동학농민운동혁명 연구』, 서경,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