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다짐시험
목 차
1. 개요
2. 시험 기구
3. 다짐시험종류
4. 시험방법
5. 결과 정리
6. 결과의 이용
7. 주의사항
8. 참고사항
9. 결과 및 고찰
목 차
1. 개요
2. 시험 기구
3. 다짐시험종류
4. 시험방법
5. 결과 정리
6. 결과의 이용
7. 주의사항
8. 참고사항
9. 결과 및 고찰
본문내용
뚜렷하여 이산구조에서 입자가 평행으로 일정하게 자리 잡게 된다.
그림 13.4 다짐 시 함수비에 따른 점토의 기본구조
(3) 다짐조건에 따른 점성토의 성질변화
① 다짐점토의 투수성
그림 13.5에 나타난 것과 같이 면모구조는 입자배열이 무작위하기 때문에 입자사이에 구멍이 많고 이산구조는 비록 입자가 서로 적당히 떨어져 있지만 차곡차곡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오히려 투수성이 적다. 따라서 다짐점토의 경우 최적함수비보다 약간 더 함수비가 많게 다져질 때(slightly wet compacted) 투수성이 가장 작게 된다.
그림 13.5 다짐이 투수계수에 미치는 영향
② 다짐점토의 압축성
점토시료를 이용하여 다짐시험 방법으로 시료를 성형한 뒤 시료를 완전히 포화시켜 하중을 가하면 시료는 압축하게 된다. 다짐의 영향을 받게 되면 압축정도는 압축응력이 작은 경우 압축응력으로는 면모구조의 결합력을 부수기가 어렵기 때문에 그림 13.6에 나타난 것과 같이 면모구조를한 점토가 이산구조를 한 점토보다 압축성이 작게 나타난다. 따라서 최적함수비(OMC)보다 건조측으로 다진 점토가 습윤측으로 다진 흙보다 압축성이 크게 나타난다. 그러나 큰 압축응력이 작용하는 경우 압축응력이 면모구조의 결합력을 파괴시키면서 입자의 재배열이 이루어지면서 이산구조에 비해 오히려 압축성이 크게 되는 경향을 나타내기도 한다.
그림 13.6 다짐점토의 압축특성
③ 다짐점토의 강도특성
그림 13.7에 나타난것과 같이 최적함수비보다 건조측으로 다진 흙은 면모구조로서 습윤측으로 다져서 이산구조로 이루어진 흙에 비하여 결합력이 훨씬 크게 나타난다.
그림 13.7 다짐 점토의 강도특성
9. 결과 및 고찰
(1) 다짐이란 원리적으로 흙(soil matrix)에 존재하는 공기를 최대한 제거하여 흙을 촘촘한
상태로 만드는 것을 말하며 이를 위하여 에너지가 소요된다. 이 때 잘 다져질수록 단위
체적 당의 흙 입자 알갱이의 무게가 증가하게 된다. 즉, 흙의 건조단위중량이 증가하게
된다.
(2) 실제 현장에서 다지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사하기 위하여, 우선은 성토재로 사용될 흙
을 채취하여 실내에서 다짐시험을 실시한다. 실내다짐시험의 목적은, 주어진 시료에 대
하여 함수비와 최대건조밀도의 상관관계를 구하여 현장시공시 필요시방(specification)을
제시하여 줌에 목적이 있다. 물론 현장에서는 주로 롤러(roller)에 의하여 다짐작업을 하
게 되나, 실내시험으로는 롤러다짐이 불가능하므로, 작은 몰드에 흙을 3층 혹은 5층으로
나누어 넣으면서 각 층마다 래머(rammer)를 낙하시켜 다져주는 실험을 실시하게 된다.
이 때 가장 중요한 것은 현장다짐 시의 다짐에너지와 실내시험 시의 다짐에너지의 양이
될 수록 근접하게 하여 주는 일이라 할 수 있겠다. 따라서, 다져주는 에너지양에 따라
실내다짐시험을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첫째가 표준다짐시험(standard proctor
test)이며, 둘째가 수정다짐시험(modified proctor test)이다. 두 시험의 단적인 차이는
다짐에너지의 차이로서 후자가 다짐에너지가 더 큰 시험이다.
(3) 우리조의 최적함수비는 6.96%, 최대건조단위중량은 2.28t/㎥이 나왔다.
(4) 시공함수비는 건조측일때 4.51%가 나왔다. 습윤측이 나오지 않아서 물을 더 첨가하여
서 실험을 더 실시하여서 습윤측 시공함수비도 구하고 싶다.
(5) 이번 시험은 운동이 아니었나 싶다. 래머를 치는 과정이 D시험이어서 5층 55회였는데
남자 장정 3명이 돌아가면서 쳐도 힘든 일이 아닐 수 없었다. 그리고 실외시험이었는데
젖은 수건으로 덮어놓지 않아서 함수량이 변했으리라 생각된다.
그림 13.4 다짐 시 함수비에 따른 점토의 기본구조
(3) 다짐조건에 따른 점성토의 성질변화
① 다짐점토의 투수성
그림 13.5에 나타난 것과 같이 면모구조는 입자배열이 무작위하기 때문에 입자사이에 구멍이 많고 이산구조는 비록 입자가 서로 적당히 떨어져 있지만 차곡차곡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오히려 투수성이 적다. 따라서 다짐점토의 경우 최적함수비보다 약간 더 함수비가 많게 다져질 때(slightly wet compacted) 투수성이 가장 작게 된다.
그림 13.5 다짐이 투수계수에 미치는 영향
② 다짐점토의 압축성
점토시료를 이용하여 다짐시험 방법으로 시료를 성형한 뒤 시료를 완전히 포화시켜 하중을 가하면 시료는 압축하게 된다. 다짐의 영향을 받게 되면 압축정도는 압축응력이 작은 경우 압축응력으로는 면모구조의 결합력을 부수기가 어렵기 때문에 그림 13.6에 나타난 것과 같이 면모구조를한 점토가 이산구조를 한 점토보다 압축성이 작게 나타난다. 따라서 최적함수비(OMC)보다 건조측으로 다진 점토가 습윤측으로 다진 흙보다 압축성이 크게 나타난다. 그러나 큰 압축응력이 작용하는 경우 압축응력이 면모구조의 결합력을 파괴시키면서 입자의 재배열이 이루어지면서 이산구조에 비해 오히려 압축성이 크게 되는 경향을 나타내기도 한다.
그림 13.6 다짐점토의 압축특성
③ 다짐점토의 강도특성
그림 13.7에 나타난것과 같이 최적함수비보다 건조측으로 다진 흙은 면모구조로서 습윤측으로 다져서 이산구조로 이루어진 흙에 비하여 결합력이 훨씬 크게 나타난다.
그림 13.7 다짐 점토의 강도특성
9. 결과 및 고찰
(1) 다짐이란 원리적으로 흙(soil matrix)에 존재하는 공기를 최대한 제거하여 흙을 촘촘한
상태로 만드는 것을 말하며 이를 위하여 에너지가 소요된다. 이 때 잘 다져질수록 단위
체적 당의 흙 입자 알갱이의 무게가 증가하게 된다. 즉, 흙의 건조단위중량이 증가하게
된다.
(2) 실제 현장에서 다지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사하기 위하여, 우선은 성토재로 사용될 흙
을 채취하여 실내에서 다짐시험을 실시한다. 실내다짐시험의 목적은, 주어진 시료에 대
하여 함수비와 최대건조밀도의 상관관계를 구하여 현장시공시 필요시방(specification)을
제시하여 줌에 목적이 있다. 물론 현장에서는 주로 롤러(roller)에 의하여 다짐작업을 하
게 되나, 실내시험으로는 롤러다짐이 불가능하므로, 작은 몰드에 흙을 3층 혹은 5층으로
나누어 넣으면서 각 층마다 래머(rammer)를 낙하시켜 다져주는 실험을 실시하게 된다.
이 때 가장 중요한 것은 현장다짐 시의 다짐에너지와 실내시험 시의 다짐에너지의 양이
될 수록 근접하게 하여 주는 일이라 할 수 있겠다. 따라서, 다져주는 에너지양에 따라
실내다짐시험을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첫째가 표준다짐시험(standard proctor
test)이며, 둘째가 수정다짐시험(modified proctor test)이다. 두 시험의 단적인 차이는
다짐에너지의 차이로서 후자가 다짐에너지가 더 큰 시험이다.
(3) 우리조의 최적함수비는 6.96%, 최대건조단위중량은 2.28t/㎥이 나왔다.
(4) 시공함수비는 건조측일때 4.51%가 나왔다. 습윤측이 나오지 않아서 물을 더 첨가하여
서 실험을 더 실시하여서 습윤측 시공함수비도 구하고 싶다.
(5) 이번 시험은 운동이 아니었나 싶다. 래머를 치는 과정이 D시험이어서 5층 55회였는데
남자 장정 3명이 돌아가면서 쳐도 힘든 일이 아닐 수 없었다. 그리고 실외시험이었는데
젖은 수건으로 덮어놓지 않아서 함수량이 변했으리라 생각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