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생물의 분리와 순수 배양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미생물의 분리와 순수 배양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실험제목 : 미생물의 분리와 순수 배양

Ⅱ. 실험원리
1. 순수배양
2. 미생물 분리방법
3. 미생물 배양용 배지의 종류
4. 배지의 제조

Ⅲ. 실험결과

Ⅳ. 고찰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다.
실제 실험결과, 위에 사진과 같이 배지에는 청남 색을 띠는 부분과 청남 색을 띠지 않는 부분이 공존하였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청남 색을 띠는 부분은 전분이 미처 분해되지 못한 부분으로 그 구간에는 전분분해효소를 가진 미생물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에 청남색이 아닌 흰색을 띠는 구간은 전분이 모두 분해되어 요오드와 반응할 전분이 남지 않은 구간이다. 즉, 흰색을 띠는 구간에는 전분분해효소를 가진 미생물들이 번식하여 배지의 전분을 분해하였고, 그 결과 그 부분은 요오드와 반응하여 청남 색을 띠지 않는 것이다. 이러한 실험결과로 인해 우리가 실험에 사용한 토양에는 전분분해효소를 가진 미생물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만약 토양의 희석배수를 좀 더 늘렸더라면 전분분해효소를 가진 미생물이 위 사진보다 더 적은 구간을 차지하였을 것이고, 희석배수를 조금 더 줄인다면 배지에 위 사진보다 더 많은 양의 전분분해효소를 가진 미생물들이 번식하였을 것이다. 또한 미생물 배양시간이 길어질수록 배지에 존재하는 전분분해효소를 가진 미생물들의 수가 증가하여 흰색을 띠는 부분이 더 넓고 조밀하게 관찰되었을 것이다. 따라서 많은 수의 전분분해효소를 가진 미생물을 관찰하기 위해서는 토양의 희석배수를 낮추고 오랜 시간동안 배양해야 한다.
Ⅴ. 참고문헌
김영권 외, 2001, 미생물학 실험, 2nd, 고려의학, 서울, P 115~158
최호형, 2004, 미생물학, 1st, 아카데미서적, 서울, P 143~146
이갑상, 2000, 응용미생물학, 1st, 대학서림, 서울, P 262~254, 273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7.06.04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30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