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면 어떤 것이 있나요?
내담자 : 조울증 완치요. - 원하는 것이 너무 큼
워 커 : 그것 말고 다른 한 가지를 꼽는다면....
내담자 : 부끄러운 이야기지만 조울증 치료하면서부터 지금까지 부부관계를
한 번도 해 본적이 없어요. 그때부터 저도 남편한테 별로 말도 없었고요
그러다 가끔 직장 친구들이 남편과의 부부관계 이야기를 할 때면
괜히 남편이 더 미워지더라고요.
제 나이 아직 한창인데 약 6년 동안 남편의 품에 안겨 자본적이 없어요.
워 커 : 그러셨군요. 그래도 지금까지 참아 왔으니 정말 대단하십니다.
남편이 영자씨에게 바라는 건 어떤 것이 있을까요?
남편도 혹시 섹스문제가 그중 하나가 될 수도 있지 않을까요?
내담자 : 글쎄요... 아직 말을 안 해봐서....
워 커 : 오늘 저녁이라도 댁에 들어가셔서 저녁에 아이들 다 재워놓고서
식탁에 촛불 켜고 분위기 띄워 남편과 진진하게 대화의 시간을
갖는 것은 어떨까요?
단, 편견과 미움과 증오심을 버리고 편안한 마음으로 초심의 마음으로
돌아가서 말입니다.
내담자 : 예... 그렇게 한번 해 보겠습니다.
아직까지 한 번도 해 보진 못해봐서 어색하긴 하겠지만 용기를 내야죠.
- 분위기가 훨씬 좋아졌다. 내담자의 얼굴도 밝아졌고....
워 커 : 그럼 지금까지 우리가 대화를 나누었던 걸 정리해 보겠습니다.
남편의 고질적인 증상이 호전되는 건 당장은 어렵다고 보고요
남편의 조울증으로 인하여 현재 상태로 봐서는 미래가 보이질 않고
또한 앞으로 닥쳐올(아이들의 가족력) 위기를 이겨낼 자신이 없으며
다른 평범한 여자들이 경험하며 살아가는 부부관계(섹스)도 불만이 있어
지금까지 이혼을 생각하고 있었다. 맞나요?
내담자 : 예... 맞아요. 또 있어요. 남편으로서 남자에 대한 믿음이랄까 뭐 그런게
없지요.
워 커 : 지금까지의 대화를 통한 상황을 제가 듣고 판단해 보건데
두 분의 관계가 악화되어 가는 것이 너무 안타까운데요....
그렇다고 남편의 병이 바로 나아지는 것도 아니고
그것은 아마 평생을 갈 수도 있는 병이지만 사랑으로 극복할 수도
있을 꺼라 믿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 두 분이 대화가 너무 단절
되어 있어서 벽이 너무 높아 보이는 겁니다. 오늘 저녁에 근사한 분위기 속에서 사랑의 대화를 나눠보시기 바랍니다.
.
내담자 : 예... 오늘 말씀하신대로 시도해 보겠습니다.
워 커 : 영자씨는 잘 할 수 있어요. 지금까지 그 어려움도 다 견뎌냈잖아요?
아무런 걱정하지 마세요. 누구나 살아가면서 한 가지 이상의 고민은
가지고 살아가지요. 단지 그것이 크고 작을 뿐이지요.
다음에 남편과 함께 우리 이 문제를 깊이 있게 대화를 해 보는 것이
좋을 듯합니다. 이달은 제가 바쁜 달이니 6월중 어떻게 생각하세요?
내담자 : 예... 감사합니다. 시간을 내 보겠습니다.
워 커 : 오늘 많은 시간 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에 다시 뵙겠습니다.
안녕히 가십시오.
내담자 : 정말 좋은 시간이었습니다.
뭐라 감사의 말씀을 드려야 될지....
감사합니다.
안녕히 계십시오.
4. 평가
본 사례에서 내담자가 이혼에 대해 심각하게 고민하고 있었던 사유들에
대해 살펴보면
첫째, 남편의 조울증으로 인한 심각한 부부갈등
둘째, 경제적으로 미래가 불확실하여 오는 불안감과 남편의 나태한 사고방식으로
남편에 대한 신뢰부족
셋째, 남편의 가족력 때문에 자녀들에 대한 불안감
넷째, 남편과의 부부관계가 전혀 없는 것에 대한 여자로서 사랑에 대한 불만감과
대화가 단절된 것에서 오는 소외감.
본 사례는 면담과정에 제시 되었던 문제들의 원칙적인 해결 방안은 조울증이란
병을 치료하는 게 급선무인데 그것은 사실상 어렵다고 본다.
그렇다면 그 대안으로 무엇이 있을까?
구체적으로 내담자와 면담한 내용에서 확인해 보면
1)남편을 이해하고 함께 대화를 하며 불만을 제거하고 치료하기.
2)남편의 행동을 긍정적으로 생각하기,
3)남편의 고정적 수입을 위한 방안 마련.
4)자녀들의 가족력에 대한 건강검진 등으로 불안감 해소
5)자녀들의 교육비 마련을 위한 방안 마련 등이 있겠다.
본 사례에서 내담자의 남편과 함께 면담을 하였다면 더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그러나 내담자가 남편을 조금이나마 이해하기 시작하였다는 점과
내담자 본인 스스로 해결 해 나갈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지게 되었다는 것을
확인한 점,
문제로 지각되는 상황이나 행동을 긍정적으로 재해석하며
남편에게 장점도 있다고 인식하였다는 점이 오늘 면담에서 보람을 느끼게 한다.
내담자 : 조울증 완치요. - 원하는 것이 너무 큼
워 커 : 그것 말고 다른 한 가지를 꼽는다면....
내담자 : 부끄러운 이야기지만 조울증 치료하면서부터 지금까지 부부관계를
한 번도 해 본적이 없어요. 그때부터 저도 남편한테 별로 말도 없었고요
그러다 가끔 직장 친구들이 남편과의 부부관계 이야기를 할 때면
괜히 남편이 더 미워지더라고요.
제 나이 아직 한창인데 약 6년 동안 남편의 품에 안겨 자본적이 없어요.
워 커 : 그러셨군요. 그래도 지금까지 참아 왔으니 정말 대단하십니다.
남편이 영자씨에게 바라는 건 어떤 것이 있을까요?
남편도 혹시 섹스문제가 그중 하나가 될 수도 있지 않을까요?
내담자 : 글쎄요... 아직 말을 안 해봐서....
워 커 : 오늘 저녁이라도 댁에 들어가셔서 저녁에 아이들 다 재워놓고서
식탁에 촛불 켜고 분위기 띄워 남편과 진진하게 대화의 시간을
갖는 것은 어떨까요?
단, 편견과 미움과 증오심을 버리고 편안한 마음으로 초심의 마음으로
돌아가서 말입니다.
내담자 : 예... 그렇게 한번 해 보겠습니다.
아직까지 한 번도 해 보진 못해봐서 어색하긴 하겠지만 용기를 내야죠.
- 분위기가 훨씬 좋아졌다. 내담자의 얼굴도 밝아졌고....
워 커 : 그럼 지금까지 우리가 대화를 나누었던 걸 정리해 보겠습니다.
남편의 고질적인 증상이 호전되는 건 당장은 어렵다고 보고요
남편의 조울증으로 인하여 현재 상태로 봐서는 미래가 보이질 않고
또한 앞으로 닥쳐올(아이들의 가족력) 위기를 이겨낼 자신이 없으며
다른 평범한 여자들이 경험하며 살아가는 부부관계(섹스)도 불만이 있어
지금까지 이혼을 생각하고 있었다. 맞나요?
내담자 : 예... 맞아요. 또 있어요. 남편으로서 남자에 대한 믿음이랄까 뭐 그런게
없지요.
워 커 : 지금까지의 대화를 통한 상황을 제가 듣고 판단해 보건데
두 분의 관계가 악화되어 가는 것이 너무 안타까운데요....
그렇다고 남편의 병이 바로 나아지는 것도 아니고
그것은 아마 평생을 갈 수도 있는 병이지만 사랑으로 극복할 수도
있을 꺼라 믿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 두 분이 대화가 너무 단절
되어 있어서 벽이 너무 높아 보이는 겁니다. 오늘 저녁에 근사한 분위기 속에서 사랑의 대화를 나눠보시기 바랍니다.
.
내담자 : 예... 오늘 말씀하신대로 시도해 보겠습니다.
워 커 : 영자씨는 잘 할 수 있어요. 지금까지 그 어려움도 다 견뎌냈잖아요?
아무런 걱정하지 마세요. 누구나 살아가면서 한 가지 이상의 고민은
가지고 살아가지요. 단지 그것이 크고 작을 뿐이지요.
다음에 남편과 함께 우리 이 문제를 깊이 있게 대화를 해 보는 것이
좋을 듯합니다. 이달은 제가 바쁜 달이니 6월중 어떻게 생각하세요?
내담자 : 예... 감사합니다. 시간을 내 보겠습니다.
워 커 : 오늘 많은 시간 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에 다시 뵙겠습니다.
안녕히 가십시오.
내담자 : 정말 좋은 시간이었습니다.
뭐라 감사의 말씀을 드려야 될지....
감사합니다.
안녕히 계십시오.
4. 평가
본 사례에서 내담자가 이혼에 대해 심각하게 고민하고 있었던 사유들에
대해 살펴보면
첫째, 남편의 조울증으로 인한 심각한 부부갈등
둘째, 경제적으로 미래가 불확실하여 오는 불안감과 남편의 나태한 사고방식으로
남편에 대한 신뢰부족
셋째, 남편의 가족력 때문에 자녀들에 대한 불안감
넷째, 남편과의 부부관계가 전혀 없는 것에 대한 여자로서 사랑에 대한 불만감과
대화가 단절된 것에서 오는 소외감.
본 사례는 면담과정에 제시 되었던 문제들의 원칙적인 해결 방안은 조울증이란
병을 치료하는 게 급선무인데 그것은 사실상 어렵다고 본다.
그렇다면 그 대안으로 무엇이 있을까?
구체적으로 내담자와 면담한 내용에서 확인해 보면
1)남편을 이해하고 함께 대화를 하며 불만을 제거하고 치료하기.
2)남편의 행동을 긍정적으로 생각하기,
3)남편의 고정적 수입을 위한 방안 마련.
4)자녀들의 가족력에 대한 건강검진 등으로 불안감 해소
5)자녀들의 교육비 마련을 위한 방안 마련 등이 있겠다.
본 사례에서 내담자의 남편과 함께 면담을 하였다면 더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그러나 내담자가 남편을 조금이나마 이해하기 시작하였다는 점과
내담자 본인 스스로 해결 해 나갈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지게 되었다는 것을
확인한 점,
문제로 지각되는 상황이나 행동을 긍정적으로 재해석하며
남편에게 장점도 있다고 인식하였다는 점이 오늘 면담에서 보람을 느끼게 한다.
추천자료
[과외]고등 수학1 2-1학기 기말 예상문제 05
[과외]고등 수학1 2-1학기 기말 예상문제 06
[과외]고등 수학1 2-1학기 기말 예상문제 09
[과외]고등 수학1 2-1학기 중간 예상문제 01
[과외]고등 수학1 2-1학기 중간 예상문제 02
[과외]고등 수학1 2-1학기 중간 예상문제 03
[과외]고등 수학1 2-1학기 중간 예상문제 04
[과외]고등 수학1 2-1학기 중간 예상문제 05
[과외]고등 수학1 2-1학기 중간 예상문제 06
[과외]고등 수학1 2-1학기 중간 예상문제 07
[과외]고등 수학1 2-1학기 중간 예상문제 08
[과외]고등 수학1 2-1학기 중간 예상문제 09
[과외]고등 수학1 2-1학기 중간 예상문제 10
[과외]고등 수학1 2-1학기 중간 예상문제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