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동북아시아와의 관계와 전략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과 동북아시아와의 관계와 전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서론

2.본론
2-1 한국과 동북아시아 국가들의 과거와 현재
2-2 동북아경제공동체에 관한 각국의 전략
2-3 중국과 일본의 사이에 끼어버린 한국의 위기상황

3.결론

본문내용

인 변화를 가져올 국제정치환경의 변화가 없는 한 이 지역에서의 경제교류의 중심은 한 중 일 3개국에 의하여 주도될 것은 확실하다.
2-3 중국과 일본의 사이에 끼어버린 한국의 위기상황
아래 내용은 현재 중국과 일본의 중간에 끼어버린 한국의 상황을 잘나타내주는 기사이다. 삼성 이건희 회장이 샌드위치 코리아라는 말을 사용하여 상황을 적절히 비유해 주고 있다.
◆샌드위치 코리아=고효율의 일본과 저비용의 중국 사이에 샌드위치처럼 끼여 꼼짝 못하게 돼 가는 한국의 현실을 담은 표현. 최근 이건희 삼성 회장이 우리나라 상황을 샌드위치에 비유하면서 이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더욱 커지고 있다.
"한국 자동차? 앞으로 5년 안에 따라잡을 것이다."
중국 상용차 시장 1위 업체인 베이징푸톈자동차(北京福田汽車) 셰쯔칭(子淸) 부원장의 장담이다. 이달 초 베이징에서 만난 그는 "BMW.벤츠.도요타 같은 세계적 브랜드는 힘들겠지만 한국 차는 품질만 따라잡으면 된다"고 말했다.
"삼성이 최첨단 LCD 패널 공장을 돌릴 수 있느냐 없느냐는 우리한테 달렸다."
일본의 첨단 기술 기업 알박(Ulvac)의 우스미 다카유키(臼見隆行) 경영기획실 부장의 지적이다. LCD 패널 핵심 기술인 성막(成膜)장치 분야에서 세계시장의 96%를 장악하고 있는 일본 기업의 자부심이 잔뜩 담겨 있다.
외환위기 발생 10주년, 노무현 정부 출범 4주년을 맞은 한국 경제의 현주소가 답답하다. 기업 팔고 금붙이까지 내다 팔아 국가 부도 위기는 넘겼지만 앞으로 10년, 20년을 이끌어갈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찾아내지 못하는 사이에 이웃 중국에 바짝 쫓기고 일본과의 격차는 더욱 벌어지는 상황을 맞은 것이다. 특히 중국.일본과는 주력 산업이 비슷해 세계 시장에서 3국간의 각축전이 치열하다. 노무현 대통령은 2003년 2월 취임사에서 "이젠 한국이 동북아 시대의 중심 국가로 가자"고 강조했다. 그러나 4년이 흐른 지금 '중심 국가' 대신 '샌드위치 신세'를 걱정하기에 이르렀다.
중국의 추격은 무서울 정도다. 저비용을 무기로 세계의 공장 역할을 했던 중국이 기술로 무장하면서 자동차.철강 등 핵심 제조업 분야는 물론 첨단 기술 분야에서도 한국을 위협하고 있다. "한국이 자랑하는 이동통신장비의 기술 격차는 2005년 현재 1년. 2010년이면 6개월로 좁혀진다. 3.5년 정도인 TFT-LCD(초박막액정표시장치) 분야의 기술 격차는 2010년까지 1.7년으로 줄어든다." 최근 본지가 입수한 '중국의 부상 및 동북아 분업 구조 변화에 따른 우리의 대응 전략' 보고서 가운데 일부다. 이 보고서는 한국개발연구원(KDI)과 대외경제연구원(KIET) 등이 지난해 말 대통령에게 보고했던 내용이다.
지난해 10년 불황을 벗어난 일본 역시 힘차게 뛰고 있다. 지난 회기(2006년 4월~2007년 3월) 일본 기업들의 국내 제조업 설비투자는 전년 대비 21.3%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해 설비투자 증가율이 6.8%(산업자원부, 200대 기업 설비투자 조사)이며, 올해는 이보다 낮을 전망인 한국과는 대조적이다. 투자 부진에 노사 불안까지 겹치면서 한.일 양국 간의 생산성 격차도 다시 벌어지고 있다. 양국 간 노동생산성 격차는 1995년 시간당 29.3달러에서 2005년 29.9달러로 확대됐다. 여기에 엔화 가치가 지속적으로 떨어지는 엔저(低)까지 가세하면서 자동차.가전 등 주력 분야에서 한국 제품보다 가격이 싼 일본 제품들이 속출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샌드위치 현상은 비단 경제 분야만의 고민이 아니다. 외교 안보와 국방, 교육은 물론 문화 부문에 이르기까지 한국이 비교 우위를 급속히 잠식당하면서 중국과 일본에 밀리는 경향이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 위기를 벗어날 해법은 무엇인가. "이대로는 안 된다. 더 늦기 전에 국가 경영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어야 한다"는 한국경제연구원 노성태 원장의 지적에 전문가.기업인 모두 동의하고 있다.
3.결론
급변하는 사회에서 동북아의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다. 특히 중국의 성장은 서구 경제권도 두려워할 정도로 거대해지고 있고 그 중요성이란 이루 말할 수가 없다. 또한 일본도 불황을 떨치고 다시 뛸 준비를 하고 있다. 동북아에서 가장 먼저 서구문물을 접하고 경제호황을 누렸던 과거의 모습을 찾기 위해 일본 또한 노력중이다.
수출한국’을 자랑하던 우리는 수출 경쟁력에서 벼랑 끝으로 내몰리고 있다. 우리나라는 지정학적 위치를 잘 이용하여 위기를 극복해야 한다. 서울에서 3시간 비행거리에 인구 100만 이상 도시가 43개(약 14억 명)나 위치하고 있다는 사실은 앞으로 우리의 선택이 어떠해야 하는지를 단적으로 말해준다. 이러한 수치는 싱가포르의 3억 5천만 명, 네덜란드의 3억 7천만 명에 비하면 약 4배의 잠재 시장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정부뿐만 아니라 국민들도 세계화에 대한 생각을 변화하여야 한다. 무조건 FTA만 반대할 것이 아니라 그것으로 하여금 우리가 얻게 될 이득도 생각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외국의 성공적인 사례를 우리식으로 다시 접목시켜 더 발전해 나가야 할 것이다. 가장 한국적인 것이 세계적인 것이다 라는 생각으로 우리는 우리만의 고유한 경쟁력을 길러야 할 것이다.
동북아3국은 시시각각 변하는 국제사회에서 서로의 중요성을 보다 빨리 인식하고
서로 상부상조해야 할 것이다. 옛말에 ‘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는다’ 하였다. 동양인이 백인보다 못하지 않다는 것을, 아시아의 위상을 전 세계에 제대로 알릴 때가 온 것이다. 그 중 한국은 그들 사이에서 견인차 역할을 할 수있도록 더욱더 노력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동북아 경제권과 한반도 발전전략 :나라정책연구회 편저
-동북아 경제권 21세기 경영전략: 김성훈, 김태홍, 심의섭
-동아시아 경제론 : 권태한, 배용호
-동북아로 눈을 돌리자 : 남덕우
-
http://www.reportworld.co.kr/report/data/view.html?no=338342
목차
1.서론
2.본론
2-1 한국과 동북아시아 국가들의 과거와 현재
2-2 동북아경제공동체에 관한 각국의 전략
2-3 중국과 일본의 사이에 끼어버린 한국의 위기상황
3.결론

키워드

국제통상,   무역,   동북아,   한국,   전략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7.06.07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36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