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기관 소개
Ⅱ. 조직 및 구성
Ⅲ. 일상 생활
Ⅳ. 교도소의 규모 - 수용인원
Ⅴ. 교정 프로그램
Ⅵ. 방문 소감
Ⅱ. 조직 및 구성
Ⅲ. 일상 생활
Ⅳ. 교도소의 규모 - 수용인원
Ⅴ. 교정 프로그램
Ⅵ. 방문 소감
본문내용
가져다주는 것은 아니다. 사회의 안정과 질서를 위해서 죄는 추방되어야 하지만 사람은 존중과 아낌을 받아야 한다.
자유를 누리는 우리들이 재소자들에게 따뜻한 사랑을 나눔으로 감사와 소망을 갖고 새로운 삶의 용기를 갖게 해야 한다. 나 자신이 재소자가 될 수 있다는 생각을 해야 한다. 그리고 그곳에 들어가 있는 그들이 사회적으로 우리 모두의 책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양질의 교육과 적절한 일자리가 제공되면 범죄자가 줄어들텐데 그러지 못하니까 사람을 가르치고 기르는 예산보다 범죄자를 처벌하고 관리하는 비용이 더들게 된다. 사람을 제대로 교육시키고 취업시키는 비용이 훨씬 싸게 먹히는데 이에 실패한 결과 감옥에 가두어 먹이고 입히며 새 사람이 되도록 가르치느라 돈은 돈대로 더 쓰는 셈이다. 저비용 교육과 고비용 처벌의 악순환이 한 번 정착되면 고리 끊기가 쉽지 않다. 감옥제도를 연구한 미셀 푸코가 지적했듯이 “교도소는 범죄자들의 갱생을 돕는 것이 아니라 사회에 대한 악의만을 품게 해왔다”고 했다.
흔히 인간을 가르켜 만물의 영장이라고 하는데 이것은 인간의 존엄성을 강조하기 위함일 것이다. 이런 인간이 인간답게 살아보지 못하고 인생의 종말을 맞이한다면 이보다 더 큰 비극은 없는 것이다. 그것도 단 한번의 과오로 인해 인간으로서의 존엄성을 잃는다면 이것은 크나큰 사회적 모순이 아닐 수 없다. 인간은 간혹 실수를 저지를 수도 있는데 단 한번의 실수조차 용납하거나 이해하려 들지 않는 사회라면 인간이 살 수 있는 사회가 되겠는가!
오늘 나는 뭔지 모를 숙제를 받고 돌아온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고 발걸음이 무겁기만 하다.
자유를 누리는 우리들이 재소자들에게 따뜻한 사랑을 나눔으로 감사와 소망을 갖고 새로운 삶의 용기를 갖게 해야 한다. 나 자신이 재소자가 될 수 있다는 생각을 해야 한다. 그리고 그곳에 들어가 있는 그들이 사회적으로 우리 모두의 책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양질의 교육과 적절한 일자리가 제공되면 범죄자가 줄어들텐데 그러지 못하니까 사람을 가르치고 기르는 예산보다 범죄자를 처벌하고 관리하는 비용이 더들게 된다. 사람을 제대로 교육시키고 취업시키는 비용이 훨씬 싸게 먹히는데 이에 실패한 결과 감옥에 가두어 먹이고 입히며 새 사람이 되도록 가르치느라 돈은 돈대로 더 쓰는 셈이다. 저비용 교육과 고비용 처벌의 악순환이 한 번 정착되면 고리 끊기가 쉽지 않다. 감옥제도를 연구한 미셀 푸코가 지적했듯이 “교도소는 범죄자들의 갱생을 돕는 것이 아니라 사회에 대한 악의만을 품게 해왔다”고 했다.
흔히 인간을 가르켜 만물의 영장이라고 하는데 이것은 인간의 존엄성을 강조하기 위함일 것이다. 이런 인간이 인간답게 살아보지 못하고 인생의 종말을 맞이한다면 이보다 더 큰 비극은 없는 것이다. 그것도 단 한번의 과오로 인해 인간으로서의 존엄성을 잃는다면 이것은 크나큰 사회적 모순이 아닐 수 없다. 인간은 간혹 실수를 저지를 수도 있는데 단 한번의 실수조차 용납하거나 이해하려 들지 않는 사회라면 인간이 살 수 있는 사회가 되겠는가!
오늘 나는 뭔지 모를 숙제를 받고 돌아온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고 발걸음이 무겁기만 하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