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나무구조
2. 나무구조의 특징
3. 나무구조의 종류
4. 목재의 장점과 단점
2. 나무구조의 특징
3. 나무구조의 종류
4. 목재의 장점과 단점
본문내용
고 맞춤에서는 끼움과 짜임기법으로 나누어지는데 끼움기법은 수직재에 수평재나 사경재 또는 수평재에 수직재나 사경재를 끼울 때 모재의 옆면에 다른 재의 장부 또는 촉 등의 내민 끝을 끼워 고정하는 방법이나 연결자리를 말하며, 짜임기법은 연결되는 부대의 단부나 중간부분에서 서로 직각 또는 경사지게 맞추어지는 방법이나 연결자리를 말한다.
(1) 턱걸침 맞춤
- 지붕보 도리, 층보와 장선등에 맞춤이 쓰이고 지지대 위에 직교하는 가로재는 이것으로 한다.
- 보에 홈을 파서 힘을 받게하고 아래에 기둥을 두고 걸침곳에 홈을 파서 기둥에 끼우는 쌍턱장부에 일부이다.
- 통나무 집을 만들거나 기둥위에 잘쓰인다.
(2) 통맞춤
- 통맞춤은 큰재에(기둥) 작은재(보)의 마구리를 큰재에 홈을 파서 통으로 끼우는 방법이다.
- 기둥에 가는 가로재에 많이 쓰인다.
- 마구리를 통으로 쓰기 때문에 나무의 본래 힘을 충분히 살릴수 있다.
(3) 허리맞춤
- 홈이 맞물려 좌우로 움직이지 못하게 하는 방식이다.
- 여기에서 홈을 많이 파면 힘을 받는 곳이 좋지만 부위가 좌우로 힘들 많이 받지 않는 곳을 예상되어 세모 모양으로 만든 것으로 예상한다.
(4) 가름장 장부
- 기둥에 맨위에 홈을 파고 보를 이음으로 이어서 가름장 맞춤을 보이고 있다.
- 가름장 맞춤은 한식중방이나 기둥 맞춤에 쓰인다.
- 기둥에 가려서 보의 형태를 알수 없지만 턱솔이음이나 주먹장 이음으로 생각된다.
(5) 쌍턱장부
- 쌍턱장부는 보와 보의 관계는 걸침턱 맞춤, 턱걸침 맞춤이고 걸침 부위에 홈을 파고 홈에 맞게 파고 끼우는 형식이다.
- 우리의 전통가옥이나 고궁들을 보면 쌍턱맞춤을 많이 쓰고 있다. 이것은 여러면에서 힘을 분산하고 버티는 힘이 강하기 때문이다.
3) 쪽매(붙임)
부재의 측면을 맞붙여서 넓게 하는 방법으로 넓은 의미에서는 이음법이라 볼 수 있지만 이음법과 다른 것은 선의 연장이 아니라 면의 확대라는 점이다.
(1) 제혀쪽매
- 제혀쪽매는 요즘 주거시설 바닥재로 이용되고 있다.
- 나무판에 주먹이음처럼 좌우가 흔들리지 않도록 하였다
- 공장에서 가공되기 때문에 시공 시 간편하다.
(2) 틈막이대쪽매
- 틈막이대쪽매는 체육관, 강당 상업 시설 등 이용되고 있다.
- 다수의 인원이 이용되는 공간에 사용되므로 바닥에 다른 쪽매보다 힘을 받을수 있는 부분이 필요하므로 판자사이에 부재를 대었다.
- 틈막음으로 맞댄쪽매보다 벌레나 바람의 유입방지에 용이하다.
(1) 턱걸침 맞춤
- 지붕보 도리, 층보와 장선등에 맞춤이 쓰이고 지지대 위에 직교하는 가로재는 이것으로 한다.
- 보에 홈을 파서 힘을 받게하고 아래에 기둥을 두고 걸침곳에 홈을 파서 기둥에 끼우는 쌍턱장부에 일부이다.
- 통나무 집을 만들거나 기둥위에 잘쓰인다.
(2) 통맞춤
- 통맞춤은 큰재에(기둥) 작은재(보)의 마구리를 큰재에 홈을 파서 통으로 끼우는 방법이다.
- 기둥에 가는 가로재에 많이 쓰인다.
- 마구리를 통으로 쓰기 때문에 나무의 본래 힘을 충분히 살릴수 있다.
(3) 허리맞춤
- 홈이 맞물려 좌우로 움직이지 못하게 하는 방식이다.
- 여기에서 홈을 많이 파면 힘을 받는 곳이 좋지만 부위가 좌우로 힘들 많이 받지 않는 곳을 예상되어 세모 모양으로 만든 것으로 예상한다.
(4) 가름장 장부
- 기둥에 맨위에 홈을 파고 보를 이음으로 이어서 가름장 맞춤을 보이고 있다.
- 가름장 맞춤은 한식중방이나 기둥 맞춤에 쓰인다.
- 기둥에 가려서 보의 형태를 알수 없지만 턱솔이음이나 주먹장 이음으로 생각된다.
(5) 쌍턱장부
- 쌍턱장부는 보와 보의 관계는 걸침턱 맞춤, 턱걸침 맞춤이고 걸침 부위에 홈을 파고 홈에 맞게 파고 끼우는 형식이다.
- 우리의 전통가옥이나 고궁들을 보면 쌍턱맞춤을 많이 쓰고 있다. 이것은 여러면에서 힘을 분산하고 버티는 힘이 강하기 때문이다.
3) 쪽매(붙임)
부재의 측면을 맞붙여서 넓게 하는 방법으로 넓은 의미에서는 이음법이라 볼 수 있지만 이음법과 다른 것은 선의 연장이 아니라 면의 확대라는 점이다.
(1) 제혀쪽매
- 제혀쪽매는 요즘 주거시설 바닥재로 이용되고 있다.
- 나무판에 주먹이음처럼 좌우가 흔들리지 않도록 하였다
- 공장에서 가공되기 때문에 시공 시 간편하다.
(2) 틈막이대쪽매
- 틈막이대쪽매는 체육관, 강당 상업 시설 등 이용되고 있다.
- 다수의 인원이 이용되는 공간에 사용되므로 바닥에 다른 쪽매보다 힘을 받을수 있는 부분이 필요하므로 판자사이에 부재를 대었다.
- 틈막음으로 맞댄쪽매보다 벌레나 바람의 유입방지에 용이하다.
추천자료
한국 경제의 나아갈 길 ( 한국경제의 과거와 현재 상황을 고려하여- 부제 : 한국 경제의 비효...
교생 실습-중학교 기술 가정 재료의이용-1목재풀라스틱금속재료의특성-(1)목재의종류와구조 ...
[TV뉴스][텔레비전뉴스][뉴스][언론][뉴스보도][취재][기사]TV뉴스의 유형, TV뉴스의 구조, T...
[하이퍼텍스트][하이퍼문학][하이퍼문학 가능성][하이퍼문학 전망][하이퍼문학 과제]하이퍼텍...
[목조건축]목조건축(목조건축물)의 구조, 목조건축(목조건축물)의 특징, 전통목조건축(목조건...
[물][물 사용][물 분쟁][물 부족][물 절약][수자원개발]물의 구조, 물의 사용가능량, 세계 물...
[광주광역시][광주시][광주]광주광역시의 지명과 축제, 광주광역시의 지하철과 고속철도, 광...
한국전통악기(국악기) 장구(장고)의 정의와 구조, 한국전통악기(국악기) 장구(장고)의 특징, ...
지구 온난화문제, 체세포 복제와 동물 복제 설명, RNA와 DNA의 구조적 차이, 식물세포와 동물...
경죄의 종류, 경죄사건 신속처리절차의 목적, 경죄사건 신속처리절차의 논의, 경죄사건 신속...
[방송보도][양식][여론조사][민영방송][방송보도 과제]방송보도의 역사, 방송보도의 구조적 ...
[유아과학교육] 꽃, 식물 활동계획안, 꽃구조관찰 계획안
제조기업(제조업) 노동생산성 분석, 효율성 분석, 제조기업(제조업) 경기국면 분석, 기술유입...
<크라운 베이커리 마케팅 상황 분석> (산업 구조 및 시장매력도 분석, 베이커리 산업, SWOT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