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쥐 조사와 한국의 박쥐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박쥐 조사

한국의 박쥐

본문내용

행을 하며 관박쥐보다 활동범위가 넓고 산림의 경우 수관부보다 10-20 m 상공에서 채식한다. 출산은 7-8월에 한 마리의 새끼를 낳으며 분만 시기에는 암수 별거 생활을 하고, 집단으로 새끼를 키운다.
②작은긴날개박쥐
제주도에서만 1회 채집 기록이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생태가 알려진 바가 없다. 긴날개박쥐와 형태가 비슷하나 그 크기가 훨씬 작다.
10.관코박쥐속
몸의 크기는 중간 정도이며, 날개는 대단히 넓고 짧은 광단형이다. 콧구멍이 관 모양이고 좌우로 돌출되어 있다.
①작은관코박쥐(쇠뿔박쥐)
지리산에서만 2회 채집기록이 있어 조사자료가 거의 없고 개체수가 매우 적다. 고목의 공동에서 주로 서식하며 동굴성은 아니다.
②금강산관코박쥐(뿔박쥐)
태백산 줄기에 주로 서식하지만 드물게 발견되며, 그 수가 매우 적다. 생태와 지역 분포가 명확하게 보고되지 않은 종이다. 7-8월에 한 마리의 새끼를 출산하며 동굴, 폐광, 바위틈이나 좁은 구멍에 산다. 관박쥐와는 같은 지역에 서식하지 않는 것같다.
③(토끼털)관코박쥐(토끼털뿔박쥐)
전국적 분포를 보이며 충북 점말동굴에서 화석으로 많은 뼈가 발견되기도 했다. 주로 동굴에서 생활하며 동면시에는 한 마리씩 떨어져 동면하며 비교적 동굴 입구에서 발견된다. 출산은 7-8월에 한 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최근에는 멸종의 우려가 되는 희귀종이다.
11.큰귀박쥐과
전세계적으로 12속 80종이 열대에서 온대지방에 걸쳐 널리 분포하고 있고, 우리나라에는 1종이 알려져 있다. 날개는 매우 좁고 길은 협장형으로 어깨뼈와 위팔뼈 사이의 관절이 이중관절도 되어 있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7.06.13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46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