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장 : 도판 그림과 기초적 정보
제 2장 : 작품의 형식적 특징
제 3장 : 작품에 대해 알려진 정보
제 4장 : 전수천의 다른 작품들
제 5장 : 같은 스타일의 다른 작품들
제 6장 : 수업 방안
① 수업 목표, 작품 및 목표 선정 이유
② 수업과정
③상세한 수업 과정
④ 평가의 관점
⑤ 수업의 의의
⑥ 초등학교 수업에서의 응용 방안
⑦ 타 교과와의 연계를 통한 통합교육의 방안
⑧ 과제 완성 후의 감상
제 2장 : 작품의 형식적 특징
제 3장 : 작품에 대해 알려진 정보
제 4장 : 전수천의 다른 작품들
제 5장 : 같은 스타일의 다른 작품들
제 6장 : 수업 방안
① 수업 목표, 작품 및 목표 선정 이유
② 수업과정
③상세한 수업 과정
④ 평가의 관점
⑤ 수업의 의의
⑥ 초등학교 수업에서의 응용 방안
⑦ 타 교과와의 연계를 통한 통합교육의 방안
⑧ 과제 완성 후의 감상
본문내용
것에 대해 알 수 있었어요. 그 동안 인간의 역사는 온갖 욕망과 갈증으로 가득 차 있었고, 인간이 가꾸어간 역사는 갈증과 갈등의 이음새에서 존재한다는 것을 알았고요.
④ 평가의 관점
- 학생 스스로가 다양한 관점에서 작품을 이해하려 노력했는지 평가한다.
-‘인간의 욕망’이라는 이 작품의 주제를 제대로 내면화 시켰는가 평가한다.
- 질문과 대답을 통해 작품의 숨겨진 의미를 잘 이해하였는가 평가한다.
⑤ 수업의 의의
: 교사가 먼저 작품에 담긴 의미를 해석하여 학생들의 상상력을 닫는 수업은 제대로 된 미술 수업이 아니다. 학생들이 다양한 관점에서 작품들을 해석 할 수 있도록 돕고, 그 과 정에서 학생들 스스로가 작품 속에 담긴 의미를 알도록 돕는 일이 교사의 역할이라 생각한 다.
⑥ 초등학교 수업에서의 응용 방안
: 초등학교에서 이와 같은 수업을 한다면 학생들의 사고력을 높이는 데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미술 과목뿐만 아니라 다른 과목에서도 무조건 가르치고 외우라는 주입식 교육보 다 학생과 교사간의 끊임없는 대화를 통해 스스로 터득하는 방식은 학생들의 생각하는 능 력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⑦ 타 교과와의 연계를 통한 통합교육의 방안
: 이 작품에 담긴‘인간의 욕망’란 주제를 가지고 다른 교과와도 연계시켜 교육할 수 있다. 작가는 이 작품에서 욕구의 욕망이 아닌, 욕심의 욕망을 비판한다. 교사는 미술 수업을 통 해 작품의 감상 및 작품의 주제를 학생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국어(쓰기)시간에‘자신 의 욕망’이란 주제로 글을 써보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이것을 바탕으로 도덕시간에 평소에 자신의 욕망, 욕심 때문에 피해를 입거나 상처를 받은 친구들 혹은 부모님, 누나, 동생 등 을 떠올리며 반성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⑧ 과제 완성 후의 감상
: 이 과제를 하기 위해 많은 작품들을 찾아보았는데 난 그 중 설치미술 작품들이 마음에 끌리었다. 많은 훌륭한 설치미술 작품들 중 선택한 것이 전수천씨의 작품이다. 나 역시 ‘생각하는 사람’이라는 작품의 해설을 보기 전에 먼저 이 작품은 무엇을 나타낸 것일까? 작가는 우리에게 무엇을 말하고 싶은 것 일까? 고대 신상의 사지를 저렇게 잔인하게 잘라버린 이유는 무엇일까? 모니터들이 뜻하는 것은 무엇일까? 등에 대해 생각하고 고민해 보았다. 내가 생각했던 작품 해석과 작가의 뜻이 똑같지는 않았어도 나의 그런 생각과 고민들이 작품 감상 및 이해에 많은 도움이 된 것 같다. 정말 다시 한 번 느끼는 것이지만 교사가 학생들에게 먼저 작품의 의미를 말하고 그 해석에 따라 생각하도록 하는 것은 올바른 교육방법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물론 수업에 관한 내용을 모두 숙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아무것도 모르는 것처럼, 학생들 스스로가 깨달을 수 있도록 그들의 눈높이에 맞춰 수업한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일 것이다. 하지만 그것이 학생들을 위한 교사의 역할이라 생각한다. 이번 리포트를 통해 전수천씨의 작품 감상뿐만 아니라 구체적인 수업 방안, 교사로서의 역할들 까지도 생각해 볼 수 있어서 좋았다.
④ 평가의 관점
- 학생 스스로가 다양한 관점에서 작품을 이해하려 노력했는지 평가한다.
-‘인간의 욕망’이라는 이 작품의 주제를 제대로 내면화 시켰는가 평가한다.
- 질문과 대답을 통해 작품의 숨겨진 의미를 잘 이해하였는가 평가한다.
⑤ 수업의 의의
: 교사가 먼저 작품에 담긴 의미를 해석하여 학생들의 상상력을 닫는 수업은 제대로 된 미술 수업이 아니다. 학생들이 다양한 관점에서 작품들을 해석 할 수 있도록 돕고, 그 과 정에서 학생들 스스로가 작품 속에 담긴 의미를 알도록 돕는 일이 교사의 역할이라 생각한 다.
⑥ 초등학교 수업에서의 응용 방안
: 초등학교에서 이와 같은 수업을 한다면 학생들의 사고력을 높이는 데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미술 과목뿐만 아니라 다른 과목에서도 무조건 가르치고 외우라는 주입식 교육보 다 학생과 교사간의 끊임없는 대화를 통해 스스로 터득하는 방식은 학생들의 생각하는 능 력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⑦ 타 교과와의 연계를 통한 통합교육의 방안
: 이 작품에 담긴‘인간의 욕망’란 주제를 가지고 다른 교과와도 연계시켜 교육할 수 있다. 작가는 이 작품에서 욕구의 욕망이 아닌, 욕심의 욕망을 비판한다. 교사는 미술 수업을 통 해 작품의 감상 및 작품의 주제를 학생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국어(쓰기)시간에‘자신 의 욕망’이란 주제로 글을 써보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이것을 바탕으로 도덕시간에 평소에 자신의 욕망, 욕심 때문에 피해를 입거나 상처를 받은 친구들 혹은 부모님, 누나, 동생 등 을 떠올리며 반성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⑧ 과제 완성 후의 감상
: 이 과제를 하기 위해 많은 작품들을 찾아보았는데 난 그 중 설치미술 작품들이 마음에 끌리었다. 많은 훌륭한 설치미술 작품들 중 선택한 것이 전수천씨의 작품이다. 나 역시 ‘생각하는 사람’이라는 작품의 해설을 보기 전에 먼저 이 작품은 무엇을 나타낸 것일까? 작가는 우리에게 무엇을 말하고 싶은 것 일까? 고대 신상의 사지를 저렇게 잔인하게 잘라버린 이유는 무엇일까? 모니터들이 뜻하는 것은 무엇일까? 등에 대해 생각하고 고민해 보았다. 내가 생각했던 작품 해석과 작가의 뜻이 똑같지는 않았어도 나의 그런 생각과 고민들이 작품 감상 및 이해에 많은 도움이 된 것 같다. 정말 다시 한 번 느끼는 것이지만 교사가 학생들에게 먼저 작품의 의미를 말하고 그 해석에 따라 생각하도록 하는 것은 올바른 교육방법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물론 수업에 관한 내용을 모두 숙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아무것도 모르는 것처럼, 학생들 스스로가 깨달을 수 있도록 그들의 눈높이에 맞춰 수업한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일 것이다. 하지만 그것이 학생들을 위한 교사의 역할이라 생각한다. 이번 리포트를 통해 전수천씨의 작품 감상뿐만 아니라 구체적인 수업 방안, 교사로서의 역할들 까지도 생각해 볼 수 있어서 좋았다.
추천자료
[독후감]독후감 : 무하마드유누스의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은행가’를 읽고
『문화와 제국주의』, 그리고『개고기 먹는 사람들』― 문화와 제국주의적 양상, 그것에 대한 ...
[우수평가자료](독후감)끌리는 사람은 1%가 다르다 를 읽고
[좋은글모음] 가슴이 통하는 사람과 만나고 싶다
(교정복지)책 ‘하루가 소중했던 사람들’ 을 보고 교정복지 관련 내용분석(사형제도에 대해 )
감동을 주었던 책에 대한 감상문(끌리는 사람은 1%가 다르다)
[최신A+우수자료][생각버리기연습서평][생각버리기연습독후감][생각버리기연습 독서감상문][...
[올해최신A+) 안철수의 생각 [안철수의생각서평][안철수의생각독후감][안철수의생각독서감상...
[교육 행정학 독후감] ‘성공하는 사람들의 7가지 습관’_ 스티븐 코비 (Stephen Covey) 저
[독후감/감상문/서평/요약/줄거리] 당신 참 괜찮은 사람이야 - 우리가 인간관계를 통해 듣고 ...
[삶과 철학] 동물과 사람의 거짓말
[최신A+자료] ♦ 나의 종교관 ♦ [종교에대한생각][나의종교관][종교에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