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쓰게 된 동기
1장 종교와 심리학, 그 태초의 밀월 관계를 찾아서
2장 종교성, 과연 도덕성과 함께 성숙할 수 있는가
3장 종교인, 왜 갈라지는가
4장 종교인, 왜 폭도로 둔갑하는가
5장. 영성, 한국적일 수 있는가 맺는 말 : 종교와 심리학, 또 다른 100년을 향하여
1장 종교와 심리학, 그 태초의 밀월 관계를 찾아서
2장 종교성, 과연 도덕성과 함께 성숙할 수 있는가
3장 종교인, 왜 갈라지는가
4장 종교인, 왜 폭도로 둔갑하는가
5장. 영성, 한국적일 수 있는가 맺는 말 : 종교와 심리학, 또 다른 100년을 향하여
본문내용
-종교와 심리학의 만남을 자리매김하는 일이다. 그렇지 않으면 종교는 궁색한 자기변명과 위험한 파괴 행위의 근거가 될 수 있고, 심리학은 인류의 공멸을 지켜보기만 하는, 시대에 역행하는 나태한 과학이 되고 말 것이다.
-테레사 수녀의 기도처럼 말이다. “사랑하는 주여, 내가 오늘 그리고 매일 당신의 아픈 이들 안에서 당신을 볼 수 있을까요?”
-우리의 후대는 역사 교과서에 종교인의 심리와 사회 구조의 병리성이 종교라는 방어 기제를 악용했다는 사실을 간과한 채, 종교가 전쟁의 시발점이었다는 사실만을 싣게 될지도 모른다. 실제로 비종교인들에게 가장 간편한 해결법은 종교라는 노래를 폐기해버리려는 무관심과 배척이다. 이에 나는 모든 종교인들에게 종교라는 노래를 건강한 화음으로 회복시킬 책임이 있다고 본다.
-종교적 행위가 일상적 행위에 비해 우위를 차지했던 중세와 달리 현대 사회에서는 종교적 행위도 다른 여러 세속적 행위들과 공개적 경쟁을 해야만 하고, 결국 사회의 기능적 다양성은 종교생활의 개인화와 제도화된 종교의 비정치화를 초래할 것이라는 예견 말이다. 한국에서 종교의 기능이 개인의 심리학적 웰빙 추구와 동질의 기능으로 전락하는 것은 시간문제처럼 보인다.
-테레사 수녀의 기도처럼 말이다. “사랑하는 주여, 내가 오늘 그리고 매일 당신의 아픈 이들 안에서 당신을 볼 수 있을까요?”
-우리의 후대는 역사 교과서에 종교인의 심리와 사회 구조의 병리성이 종교라는 방어 기제를 악용했다는 사실을 간과한 채, 종교가 전쟁의 시발점이었다는 사실만을 싣게 될지도 모른다. 실제로 비종교인들에게 가장 간편한 해결법은 종교라는 노래를 폐기해버리려는 무관심과 배척이다. 이에 나는 모든 종교인들에게 종교라는 노래를 건강한 화음으로 회복시킬 책임이 있다고 본다.
-종교적 행위가 일상적 행위에 비해 우위를 차지했던 중세와 달리 현대 사회에서는 종교적 행위도 다른 여러 세속적 행위들과 공개적 경쟁을 해야만 하고, 결국 사회의 기능적 다양성은 종교생활의 개인화와 제도화된 종교의 비정치화를 초래할 것이라는 예견 말이다. 한국에서 종교의 기능이 개인의 심리학적 웰빙 추구와 동질의 기능으로 전락하는 것은 시간문제처럼 보인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