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2. 이데올로기란 무엇인가?
3. 이데올로기의 기능
4. 이데올로기의 특징
5. 결론-이데올로기와 인간성의 대립
2. 이데올로기란 무엇인가?
3. 이데올로기의 기능
4. 이데올로기의 특징
5. 결론-이데올로기와 인간성의 대립
본문내용
아무리 꺼림직한 마음이라도 전쟁이 나면 사람을 어쩔 수 없이 죽여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고, 또 그렇게 행동한다. 그러나 그는 이렇게 말한다.
'우리들의 임무를 마음 속으로 생각하고 해치우는 거죠. 하지만 속이 편하지는 않습죠'
'네가 죽인 사람은 얼마나 많지? 너는 사람을 죽일 권리가 있다고 생각하는가?' ...... 네가 죽인 사람들 중에서 진짜 파시스트가 몇이나 되지?극소수다. 사람을 죽인다는 게 잘못인 줄 모르지는 않겠지?.....
이 소설에서 주인공은 사람을 죽이는 것에 대해 항상 괴로워 한다. 그러나 자신의 이데올로기와 사람을 죽이지 않는 것은 모순이다. 주인공은 이 모순 때문에 괴로워했다. 자신의 이데올로기에 대해 정당성을 가지기 위해 사람을 죽이지만 괴로워했다.
그러나 파시즘이라는 이데올로기를 막자는 구호 아래 세계 젊은이들 집결했다. 조던도 그 중 하나였다. 그 당시 누가 파시즘을 막을 것인가? 자유주의의 수호자 미국? ‘팍스 브리타니카’를 구가했던 영국? 모두 아니었다. 이들은 다른 나라의 내정에 간섭한다는 비판이 두려워, 무력을 행사할 이유가 없어서 혹은 실익이 없어서 파시즘 방어를 회피했다. 대신 분노한 세계의 젊은이들이 나섰다. 자유와 민주주의, 노동자들이 주인이 되는 사회에 대한 이상을 품은 피 끓는 젊은이들이었다. 그래서 일부 역사가들은 이 전쟁을
가리켜 ‘20세기 십자군 전쟁’으로 부르기도 한다. 헤밍웨이의 소설 "누구를 위하여 종을 울리나"는 파시즘이라는 이데올로기를 막기 위한 전세계의 반항이였고 이데올로기를 뛰어넘은 인류애의 표현 그것이 바로 조던과 같은 인물이다.
'우리들의 임무를 마음 속으로 생각하고 해치우는 거죠. 하지만 속이 편하지는 않습죠'
'네가 죽인 사람은 얼마나 많지? 너는 사람을 죽일 권리가 있다고 생각하는가?' ...... 네가 죽인 사람들 중에서 진짜 파시스트가 몇이나 되지?극소수다. 사람을 죽인다는 게 잘못인 줄 모르지는 않겠지?.....
이 소설에서 주인공은 사람을 죽이는 것에 대해 항상 괴로워 한다. 그러나 자신의 이데올로기와 사람을 죽이지 않는 것은 모순이다. 주인공은 이 모순 때문에 괴로워했다. 자신의 이데올로기에 대해 정당성을 가지기 위해 사람을 죽이지만 괴로워했다.
그러나 파시즘이라는 이데올로기를 막자는 구호 아래 세계 젊은이들 집결했다. 조던도 그 중 하나였다. 그 당시 누가 파시즘을 막을 것인가? 자유주의의 수호자 미국? ‘팍스 브리타니카’를 구가했던 영국? 모두 아니었다. 이들은 다른 나라의 내정에 간섭한다는 비판이 두려워, 무력을 행사할 이유가 없어서 혹은 실익이 없어서 파시즘 방어를 회피했다. 대신 분노한 세계의 젊은이들이 나섰다. 자유와 민주주의, 노동자들이 주인이 되는 사회에 대한 이상을 품은 피 끓는 젊은이들이었다. 그래서 일부 역사가들은 이 전쟁을
가리켜 ‘20세기 십자군 전쟁’으로 부르기도 한다. 헤밍웨이의 소설 "누구를 위하여 종을 울리나"는 파시즘이라는 이데올로기를 막기 위한 전세계의 반항이였고 이데올로기를 뛰어넘은 인류애의 표현 그것이 바로 조던과 같은 인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