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심장의 기본구조와 생리
2) 정 의
3) 원 인
4) 심부전의 발생기전
5) 심장의 보상기전
6) 심부전의 형태
7) 증상 및 징후
8) 진 단
9) 치 료
10) 예 후
참고문헌
2) 정 의
3) 원 인
4) 심부전의 발생기전
5) 심장의 보상기전
6) 심부전의 형태
7) 증상 및 징후
8) 진 단
9) 치 료
10) 예 후
참고문헌
본문내용
): 동맥과 정맥 순환의 균형 유지
Sodium nitroprusside(Nipride): 세동맥에 작용
Morphine sulfate(Duramorph): 정맥환류량을 저하시키고 통증과 불안을
경감시켜 심장의 작업량을 감소한다.
d.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ACE Inhibitors)
- 안지오텐신 Ⅱ(강력한 혈관수축제)의 역효과를 억제한다.
- 심부전과 관련되어 나타나는 연속적인 심박동수의 저하를 수반하는 심실압을 저하시켜 심장의 작업부담을 감소시키고 심박출량을 증가시킨다.
- Captopril(Capoten)과 Enalapril(Vasotec)이 흔히 사용된다.
e. β-adrenergic 차단제
- 교감신경계의 norepinephrine의 작용을 차단하여 심근의 작업량을 감소시키고 치명적인 부정맥으로부터 보호한다.
- Metoprolol(Lopressor) 또는 Metoprolol CR 또는 XL(Toprol XL)이 주로 사용된다.
- Carvedilol은 비선택적 β, α 차단제로서 약물이 투여되는 2~3주 동안 전신 피로감이 증가될 수 있다.
④ 산소공급 : 산소 필요량이 충족되면 심박수는 감소되고 호흡곤란도 경감된다.
⑤ 복막 및 늑막천자
⑥ 심장이식
10) 예 후
심부전의 예후는 일차적으로 기저 심질환의 성질과 치료 가능한 유발인자의 존재 유무에 좌우된다. 후자 중 하나가 발견되어 제거된다면, 즉시 생존률의 전망은 확실한 다른 어떤 유발원인 없이 발생한 심부전의 경우보다 훨씬 좋다. 후자의 경우, 생존 기간은 심부전의 정도에 따라 대개 6개월에서 4년 정도 된다. 또한 심부전의 장기적인 예후는 기저 심질환이 치료 가능할 경우 가장 좋다. 예후는 치료에 대한 반응을 관찰함으로써 가응할 수 있기도 한다. 만약 중등도의 식사 염분 제한과 소량의 이뇨제 또는 digitalis로도 임상적 호전이 있다면, 이러한 치료에 추가로 적극적인 이뇨제 치료와 혈관 확장제가 요구되는 경우보다 훨씬 예후가 좋다. 심부전의 불량한 예후와 연관된 것으로 알려진 다른 인자들로서는 운동시간이 3분 미만으로 짧은 경우, 혈청 소디움 농도가 133mEq/ℓ 미만으로 저하된 경우, 혈청 포타슘 농도가 3mEq/ℓ 미만으로 저하된 경우, 순환 심방 나트륨배설 펩타이드 그리고 노르에피네프린 농도가 증가된 경우 뿐만 아니라 Holter 심전도에서 심실의 조기수축이 빈번한 경우이다.
사인은 폐나 뇌의 전색, 관상동맥 폐색, 급성 폐수종, 폐렴 등이 된다. 아마다 심실세동이 사인이 되는 것으로 보인다. 좌심부전이 우심부전으로 이행하는 데 환자에 따라 차이가 있어 잘 관리만 하면 10년 또는 그 이상 생존할 수 있다. 또한 이전에는 우심부전이 일단 발생하면 1~2년 내에 사망하는 것으로 알고 있었으나 최근에는 5~10년의 생존기간을 나타내고 있다.
참고문헌
- 전시자 외(2005). 제4판 성인간호학(上). 현문사
- 전시자 외(2005). 제4판 성인간호학(下). 현문사
- 고금자 외(2000). 성인 간호학(호흡기, 순환계, 혈액계). 도서출판 정담
Sodium nitroprusside(Nipride): 세동맥에 작용
Morphine sulfate(Duramorph): 정맥환류량을 저하시키고 통증과 불안을
경감시켜 심장의 작업량을 감소한다.
d.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ACE Inhibitors)
- 안지오텐신 Ⅱ(강력한 혈관수축제)의 역효과를 억제한다.
- 심부전과 관련되어 나타나는 연속적인 심박동수의 저하를 수반하는 심실압을 저하시켜 심장의 작업부담을 감소시키고 심박출량을 증가시킨다.
- Captopril(Capoten)과 Enalapril(Vasotec)이 흔히 사용된다.
e. β-adrenergic 차단제
- 교감신경계의 norepinephrine의 작용을 차단하여 심근의 작업량을 감소시키고 치명적인 부정맥으로부터 보호한다.
- Metoprolol(Lopressor) 또는 Metoprolol CR 또는 XL(Toprol XL)이 주로 사용된다.
- Carvedilol은 비선택적 β, α 차단제로서 약물이 투여되는 2~3주 동안 전신 피로감이 증가될 수 있다.
④ 산소공급 : 산소 필요량이 충족되면 심박수는 감소되고 호흡곤란도 경감된다.
⑤ 복막 및 늑막천자
⑥ 심장이식
10) 예 후
심부전의 예후는 일차적으로 기저 심질환의 성질과 치료 가능한 유발인자의 존재 유무에 좌우된다. 후자 중 하나가 발견되어 제거된다면, 즉시 생존률의 전망은 확실한 다른 어떤 유발원인 없이 발생한 심부전의 경우보다 훨씬 좋다. 후자의 경우, 생존 기간은 심부전의 정도에 따라 대개 6개월에서 4년 정도 된다. 또한 심부전의 장기적인 예후는 기저 심질환이 치료 가능할 경우 가장 좋다. 예후는 치료에 대한 반응을 관찰함으로써 가응할 수 있기도 한다. 만약 중등도의 식사 염분 제한과 소량의 이뇨제 또는 digitalis로도 임상적 호전이 있다면, 이러한 치료에 추가로 적극적인 이뇨제 치료와 혈관 확장제가 요구되는 경우보다 훨씬 예후가 좋다. 심부전의 불량한 예후와 연관된 것으로 알려진 다른 인자들로서는 운동시간이 3분 미만으로 짧은 경우, 혈청 소디움 농도가 133mEq/ℓ 미만으로 저하된 경우, 혈청 포타슘 농도가 3mEq/ℓ 미만으로 저하된 경우, 순환 심방 나트륨배설 펩타이드 그리고 노르에피네프린 농도가 증가된 경우 뿐만 아니라 Holter 심전도에서 심실의 조기수축이 빈번한 경우이다.
사인은 폐나 뇌의 전색, 관상동맥 폐색, 급성 폐수종, 폐렴 등이 된다. 아마다 심실세동이 사인이 되는 것으로 보인다. 좌심부전이 우심부전으로 이행하는 데 환자에 따라 차이가 있어 잘 관리만 하면 10년 또는 그 이상 생존할 수 있다. 또한 이전에는 우심부전이 일단 발생하면 1~2년 내에 사망하는 것으로 알고 있었으나 최근에는 5~10년의 생존기간을 나타내고 있다.
참고문헌
- 전시자 외(2005). 제4판 성인간호학(上). 현문사
- 전시자 외(2005). 제4판 성인간호학(下). 현문사
- 고금자 외(2000). 성인 간호학(호흡기, 순환계, 혈액계). 도서출판 정담
추천자료
[성인간호학][Myocardial Infarction][심근경색증]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MI]문헌고찰
[성인간호학][CRF][만성신부전]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Chronic Renal Failure]문헌고찰
[모성간호학][자궁내막증][Endometriosis of uterus]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Chest pain][흉통]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 [척추협착증] 케이스스터디(case study), [Spinal stenosis] 케이스스터디(case...
[성인간호학][견인][traction][골절][fracture]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정형외과], 문헌고찰
의학 - 울혈성심부전에 관해
울혈성심부전congéstive héart fàilure
울혈성_심부전(간호진단, 간호과정만)
위암(Stomach cancer) 케이스 스터디, 위암(Stomach cancer) 간호과정, 위암 사례연구, 위암 ...
급성췌장염 케이스 스터디 A+ 예시문 (Acute pancreatitis, 급성 췌장염 간호과정, 급성췌장...
Malignant neoplasm of liver 악성 간 신생물 케이스 ,HCC 간암 케이스 스터디 ( 간 신생물 ...
난소암 케이스, 난소암케이스, 난소암 CASE, 난소암 간호과정, 난소암 간호진단, 난소암 사례...
치매 케이스, 치매 간호과정, 치매 간호진단, 치매 CASE, 치매 사례연구, 노인간호 실습, Dem...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