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정의
2. 산성비의 기준
3. 원인
1) 아황산가스
2) 질소산화물
4. 특성
1) 만성누적적 진행성
2) 계속적 생태계파괴성
3) 원인지, 피해지의 원거리 격리성
4) 책임자각의 희박성
5) 지구규모적 오염성과 국제정치성
6) 편익증가와 역기능
5. 우리나라 산성비
6. 국제분쟁
7. 인간에게 미치는 피해
2. 산성비의 기준
3. 원인
1) 아황산가스
2) 질소산화물
4. 특성
1) 만성누적적 진행성
2) 계속적 생태계파괴성
3) 원인지, 피해지의 원거리 격리성
4) 책임자각의 희박성
5) 지구규모적 오염성과 국제정치성
6) 편익증가와 역기능
5. 우리나라 산성비
6. 국제분쟁
7. 인간에게 미치는 피해
본문내용
간농도보다 장기적으로 누적되어 낙하한 총량이 더욱 중요하게 된다.
우리나라에서 산성비 정책을 세우는데 필요한 것은 우리나라에 떨어지는 산성 물질 강하 총량에 대한 전국적 규모의 연구이다. 우리나라와 같이 부유분진이 산성도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 나라에서는 PH보다는 H+, SO42-, NO3-, Ca2+, K+, NH4+ 이온의 농도 및 그 총량이 더 의미가 있는 숫자가 된다.
6. 국제분쟁
노르웨이나 스웨덴 같은 북구의 나라들에서 산성비의 영향으로 호수가 죽어가고 있지만 사실 대기오염 물질은 유럽의 국가에서 발생하여 바람을 타고 넘어 온 것이다.
미국의 북동부 지역에서 배출된 대기오염 물질이 수백 ㎞떨어진 캐나다의 동부지역에까지 이동해 산성비로 내림으로서 캐나다 지역의 많은 호수들이 산성화를 일으켜 이웃 간에 분쟁을 일으킨 사례가 있다. 이처럼 산성비는 오염물질의 국가간 이동이라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산성비의 국제적 이동문제는 우리나라와 중국의 관계에서 현실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개방의 물결을 타고 급속한 경제개발을 서두르고 있는 중국대륙의 대기오염물질 확산과 황사현상은 우리나라와 일본에 걸친 광범위한 지역의 산성비 원인이 되고 있다. 몽고고원에서 발원한 계절풍은 동남부로 향해 불어오기 때문에 우리나라와 일본은 그 직접적인 영향권 아래 놓이게 된다.
특히 중국 공업지역의 아황산가스는 대부분 북경, 산둥반도 부근에서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와 같은 인접지역으로 쉽게 이동한다. 중국은 에너지 소비의 약 75%를 아황산가스의 주원인인 석탄에 의존하고 있고 동북아 지역에서 발생하는 아황산가스의 약 80%가 중국에서 발생하고 있다. 편서풍을 타고 우리나라로 이동해 서쪽 지역과 내륙지방에 산성비를 뿌릴 소지가 충분하다. 원거리 이동이 가능하다는 산성비의 특성상 그 피해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국제적인 협력이 필요하다.
7. 인간에게 미치는 피해
첫째, 인간 호흡기 질병(bonchitis, asthma)을 일으킨다. 우선 직접적으로 눈이나 피부를 자극하여 불쾌감이나 통증을 일으킬 수 있다. 산성비 속에 포함된 질산이온은 몸속에서 발암성인 비트로소 화합물로 변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으며 위암발생과 관계가 있다.
둘째, 식량 생산에 영향을 미친다. PH 5가 되면 쌀과 밀, 보리의 광합성이 저하되고, PH4에서 수확량이 저해된다. 무, 당근, 겨자, 채소 등도 PH4에서 수확이 감소되며 그 이하가 되면 많은 농작물의 잎에 피해가 일어난다고 보고된다.
셋째, 먹이 사슬을 통하여 알루미늄이나 중금속에 의한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넷째. 예술적 가치가 있는 역사유적의 부식을 일으킨다. 석회암과 대리석으로 된 동상들의 손상은 매우 심각하게 나타난다. 수많은 동상과 기념물들은 과거 200년 동안 보다 최근 50년 동안 훨씬 더 부식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금속구조물 한 예로 다리의 부식률을 증가시킨다. 고가도로에서 시멘트가 녹아 콘크리트 고드름이 생기는 것도 한 예이다. 건물과 금속, 자동차, 고무, 가죽 제품 등도 경제적 손실이 따른다.
우리나라에서 산성비 정책을 세우는데 필요한 것은 우리나라에 떨어지는 산성 물질 강하 총량에 대한 전국적 규모의 연구이다. 우리나라와 같이 부유분진이 산성도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 나라에서는 PH보다는 H+, SO42-, NO3-, Ca2+, K+, NH4+ 이온의 농도 및 그 총량이 더 의미가 있는 숫자가 된다.
6. 국제분쟁
노르웨이나 스웨덴 같은 북구의 나라들에서 산성비의 영향으로 호수가 죽어가고 있지만 사실 대기오염 물질은 유럽의 국가에서 발생하여 바람을 타고 넘어 온 것이다.
미국의 북동부 지역에서 배출된 대기오염 물질이 수백 ㎞떨어진 캐나다의 동부지역에까지 이동해 산성비로 내림으로서 캐나다 지역의 많은 호수들이 산성화를 일으켜 이웃 간에 분쟁을 일으킨 사례가 있다. 이처럼 산성비는 오염물질의 국가간 이동이라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산성비의 국제적 이동문제는 우리나라와 중국의 관계에서 현실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개방의 물결을 타고 급속한 경제개발을 서두르고 있는 중국대륙의 대기오염물질 확산과 황사현상은 우리나라와 일본에 걸친 광범위한 지역의 산성비 원인이 되고 있다. 몽고고원에서 발원한 계절풍은 동남부로 향해 불어오기 때문에 우리나라와 일본은 그 직접적인 영향권 아래 놓이게 된다.
특히 중국 공업지역의 아황산가스는 대부분 북경, 산둥반도 부근에서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와 같은 인접지역으로 쉽게 이동한다. 중국은 에너지 소비의 약 75%를 아황산가스의 주원인인 석탄에 의존하고 있고 동북아 지역에서 발생하는 아황산가스의 약 80%가 중국에서 발생하고 있다. 편서풍을 타고 우리나라로 이동해 서쪽 지역과 내륙지방에 산성비를 뿌릴 소지가 충분하다. 원거리 이동이 가능하다는 산성비의 특성상 그 피해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국제적인 협력이 필요하다.
7. 인간에게 미치는 피해
첫째, 인간 호흡기 질병(bonchitis, asthma)을 일으킨다. 우선 직접적으로 눈이나 피부를 자극하여 불쾌감이나 통증을 일으킬 수 있다. 산성비 속에 포함된 질산이온은 몸속에서 발암성인 비트로소 화합물로 변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으며 위암발생과 관계가 있다.
둘째, 식량 생산에 영향을 미친다. PH 5가 되면 쌀과 밀, 보리의 광합성이 저하되고, PH4에서 수확량이 저해된다. 무, 당근, 겨자, 채소 등도 PH4에서 수확이 감소되며 그 이하가 되면 많은 농작물의 잎에 피해가 일어난다고 보고된다.
셋째, 먹이 사슬을 통하여 알루미늄이나 중금속에 의한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넷째. 예술적 가치가 있는 역사유적의 부식을 일으킨다. 석회암과 대리석으로 된 동상들의 손상은 매우 심각하게 나타난다. 수많은 동상과 기념물들은 과거 200년 동안 보다 최근 50년 동안 훨씬 더 부식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금속구조물 한 예로 다리의 부식률을 증가시킨다. 고가도로에서 시멘트가 녹아 콘크리트 고드름이 생기는 것도 한 예이다. 건물과 금속, 자동차, 고무, 가죽 제품 등도 경제적 손실이 따른다.
추천자료
대련지구에 있는 4개의 고구려 산성에 대한 소고와 비사성
중국 내 고구려 산성 및 고분 유적 조사 현황 답사기
[문화유적 답사기] 남한산성을 찾아서...
조회분과 회분의 정의, 산성식품과 알칼리식품의 의미, 미역과 밀가루의 무기질 함량
[a+]미술감상법 - 남한산성
[우수평가자료]남한산성에 관하여
[우수 평가 자료]남한산성 독후감상문- 나는 무엇을 보고 느꼈는가?
[독후감상문] '남한산성' - 김훈 / 학고재
[독후감] 남한산성을 읽고
김훈의 '남한산성'을 읽고
[독후감] 김훈의 <남한산성>을 읽고
[독후감] 김훈의 <남한산성>을 읽고
[독후감] 남한산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