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본문내용
영아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위한 가장 이상적인 영양원
영양소 공급 및 질병에 대한 면역력을 증가
뇌세포 발달
유방암 발생빈도가 낮춤
정서적, 경제적, 위생적, 안전성 및 간편성
WHO(1994): 생후 6개월부터 이유식을 병행하면서 만 2세까지 모유수유 계속 권장
미국 : 1970년 대 24.9%
Healthy People 2000 →1982년 62%, 모유수유 지속율 50%이상
우리나라 : 1960년 95.6%, 1970년대 46.0∼59.7%, 1980년대 19.0∼68.9%, 1990년대 5.9∼35.4%
1990년대 중반이후 "모유 먹이기 운동"적극 권장
분유제품의 과다광고
여성의 사회진출
사회적 지지 체계의 부족
모유수유 불편감
병원환경 요인 : 모아 분리 운영체계, 의료인의 처방
모유수유에 대한 올바른 지식 부족
그 밖에 장애요인 : 교육수준, 취업여부, 분만방법, 저 출생 체중아, 과거모유수유경험 등
영양소 공급 및 질병에 대한 면역력을 증가
뇌세포 발달
유방암 발생빈도가 낮춤
정서적, 경제적, 위생적, 안전성 및 간편성
WHO(1994): 생후 6개월부터 이유식을 병행하면서 만 2세까지 모유수유 계속 권장
미국 : 1970년 대 24.9%
Healthy People 2000 →1982년 62%, 모유수유 지속율 50%이상
우리나라 : 1960년 95.6%, 1970년대 46.0∼59.7%, 1980년대 19.0∼68.9%, 1990년대 5.9∼35.4%
1990년대 중반이후 "모유 먹이기 운동"적극 권장
분유제품의 과다광고
여성의 사회진출
사회적 지지 체계의 부족
모유수유 불편감
병원환경 요인 : 모아 분리 운영체계, 의료인의 처방
모유수유에 대한 올바른 지식 부족
그 밖에 장애요인 : 교육수준, 취업여부, 분만방법, 저 출생 체중아, 과거모유수유경험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