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기초적 고찰
2. 전기 작품 세계
3. 후기 작품 세계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기초적 고찰
2. 전기 작품 세계
3. 후기 작품 세계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나 넘고 개울을 하나 건너고 벌판과 산길을 걸어야 된다. 길은 지금 산허리에 걸려 있다. 밤중을 지난 무렵인지 죽은 듯이 고요한 속에서 짐승 같은 달의 숨소리가 소네 잡힐 듯이 들리며, 콩 포기와 옥수수 잎새가 한층 달에 푸르게 젖었다. 산허리는 온통 메밀밭 이어서 피기 시작한 꽃이 소금을 뿌린 듯이 흐믓한 달빛에 숨이 막힐 지경이다.
이는 <메밀꽃 필 무렵>에서 대화장 으로 향하는 달밤의 풍경을 묘사한 것으로, 아주 섬세하고 감각적인 언어를 사용하고 있어서 독자로 하여금 달밤에 핀 메밀밭의 아름다운 풍경을 상상할 수 있도록 매우 서정적으로 표현을 하였다.
이로 미루어 볼 때 그의 서정성은 크게 두 가지로 나타나고 있다. 첫째는 작품 구성상 사건의 전개가 인과관계에 의한 것이 아니라 단순한 사건을 중심으로 이끌어 나가고 있으며, 둘째는 문장 구성상 주어가 없는 문장 등으로 시적 감동을 느끼게 하는 것이 그것이다.
Ⅲ. 결 론
1930년대의 시대상황으로 인해 그는 현실 참여 문학에서 순수문학으로 전환을 하게 된다. 또한 산문문학인 소설에서의 서정성 추구를 작품 창작의 기반으로 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렇게 효석의 문학에서 드러나는 순수에의 추구인 서정성과, 이국에 대한 동경은 모두 퇴폐적이고 암울한 시대상황에서 그 근원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결국 그는 황폐한 조국의 현실 속에서 모든 것을 감내하면서 당시 지식인들의 고뇌를 그만의 독특한 문학적 양식으로 토로했으며, 나름의 문학세계를 구축하였던 것이다.
이효석에 대하여 단순하게 생각했던 나의 지식과는 달리 그의 작품세계는 복잡하고도 다양하였다. 이는 그만큼 시대가 불안정했음을 의미하기도 하고, 그러한 상황에 대한 지식인의 고뇌가 느껴지는 거 같기도 했다.
또한 이효석의 경우에는 “메밀꽃 필 무렵”의 한 작품만으로도 대중에 넓게 회자 되고 있는데 반해 전문 평자들의 평은 오히려 인색한 편이다. 따라서 이효석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에서 멈출 것이 아니라, 다각적인 점검이 반드시 필요하며 그의 생애를 세밀하게 더듬어 보는 것도 그의 새로운 연구의 한 방법이 될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김제철,「이효석 전기 작품 연구」
성상도,「이효석 후기소설 연구」-모더니즘 특성을 중심으로 ,동국대,2006
이은이,「이효석 소설의 낭만성 연구」, 인하대 학위 논문, 2004
최혜정,「이효석 단편 소설의 인물 연구」-후기 작품을 중심으로-, 단국대 학위 논문, 2005
이는 <메밀꽃 필 무렵>에서 대화장 으로 향하는 달밤의 풍경을 묘사한 것으로, 아주 섬세하고 감각적인 언어를 사용하고 있어서 독자로 하여금 달밤에 핀 메밀밭의 아름다운 풍경을 상상할 수 있도록 매우 서정적으로 표현을 하였다.
이로 미루어 볼 때 그의 서정성은 크게 두 가지로 나타나고 있다. 첫째는 작품 구성상 사건의 전개가 인과관계에 의한 것이 아니라 단순한 사건을 중심으로 이끌어 나가고 있으며, 둘째는 문장 구성상 주어가 없는 문장 등으로 시적 감동을 느끼게 하는 것이 그것이다.
Ⅲ. 결 론
1930년대의 시대상황으로 인해 그는 현실 참여 문학에서 순수문학으로 전환을 하게 된다. 또한 산문문학인 소설에서의 서정성 추구를 작품 창작의 기반으로 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렇게 효석의 문학에서 드러나는 순수에의 추구인 서정성과, 이국에 대한 동경은 모두 퇴폐적이고 암울한 시대상황에서 그 근원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결국 그는 황폐한 조국의 현실 속에서 모든 것을 감내하면서 당시 지식인들의 고뇌를 그만의 독특한 문학적 양식으로 토로했으며, 나름의 문학세계를 구축하였던 것이다.
이효석에 대하여 단순하게 생각했던 나의 지식과는 달리 그의 작품세계는 복잡하고도 다양하였다. 이는 그만큼 시대가 불안정했음을 의미하기도 하고, 그러한 상황에 대한 지식인의 고뇌가 느껴지는 거 같기도 했다.
또한 이효석의 경우에는 “메밀꽃 필 무렵”의 한 작품만으로도 대중에 넓게 회자 되고 있는데 반해 전문 평자들의 평은 오히려 인색한 편이다. 따라서 이효석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에서 멈출 것이 아니라, 다각적인 점검이 반드시 필요하며 그의 생애를 세밀하게 더듬어 보는 것도 그의 새로운 연구의 한 방법이 될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김제철,「이효석 전기 작품 연구」
성상도,「이효석 후기소설 연구」-모더니즘 특성을 중심으로 ,동국대,2006
이은이,「이효석 소설의 낭만성 연구」, 인하대 학위 논문, 2004
최혜정,「이효석 단편 소설의 인물 연구」-후기 작품을 중심으로-, 단국대 학위 논문, 2005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