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이 서원은 원래 조선5현의 한분인 문경공 김굉필을 모신 서원으로 1568년(선조1년) 유림에서 현풍현 비슬산기슭에 세워 쌍계사원이라 했으나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 그 후 1605년(선조38년)지금의 자리에 사우를 중건하고 보로동 서원이라 불렀다. 제당과 다른 건물은 한강 정구와 퇴계 이황이 사림의 협조로 건립하고, 1607년(선조40년)에 도동서원이라 사액되었다.
1865년(고종2년)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 때에도 전국 650개 서원 중 철폐되지 않은 47개 중요서원의 하나로, 사림과 후손들의 두터운 보호하에 오늘에 이르고 있다.
경내에 사당, 강당, 수월루 등이 있으며 담장은 기와를 이용한 맞담으로 매우 아름다우며 전국적으로 토담이 보물 (제 350호)로 지정된 유일품이다. 서원에는 하사제기가 유전, 보관되어 있고 장판각에는 경현록 판각이 보관되어 있다. 경내에는 수령 400여년의 은행나무가 있다. 이 서원은 보물 제 350호이다.
3. 비슬산 자연휴양림(유가사)
소재지 : 대구 달성군 유가면 용리 산 1
규모 : 341만㎡
개관 : 1996년
관리 : 관리사무소(053-614-5481~2)
비슬산 자연휴양림은 달성의 영산인 비슬산 자락에 위치해 있다.
대구에서 현풍쪽으로 5번 국도나 구마고속도로를 따라 30분 가량 달리다 보면 왼쪽에 보이는 높은 산이 비슬산이다. 교통안내판의 유도에 따라 비슬산쪽으로 가면 휴양림 찾기는 어렵지 않다. 비슬산자연휴양림은 천혜의 빼어난 자연환경을 잘 이용하여 각종 편의시설을 다양하게 설치해 전국에서 가장 빼어난 자연휴양림이다. 대구근교에 위치해 있어 가족단위 이용객이 많으며 전국에서도 많은 이용객이 찾는다.
봄에는 참꽃, 여름에는 안개계곡, 가을에는 단풍, 겨울에는 얼음동산이 있어 언제 찾아도 좋다. 비슬산을 휘돌아 나가는 낙동강과 어우러져 자연의 정취를 더하고 있으며 골마다 산재해 있는 문화재와 향토색 짙은 먹거리, 약초자생지로 유명한 약산온천등은 휴양림과 더불어 달성의 자랑거리이자 전국의 명소이기도 하다.
비슬산이라는 말은 인도 범어의 발음을 그대로 음으로 표기한 것이고 비슬산의 한자 뜻이 포를 의미하기 때문에 일명 포산이라고도 한다.
관광지내 관광휴양시설은 숲속의 집 10동, 사계절 콘도형 숙박시설1동(8실), 단체막사 1동, 캠프파이어장 1, 광장 1, 야영장 100평, 야외교실 2, 급수대 7, 자연석조경연못 1, 체력단련실 등이 있다
4. 유치곤장군호국기념관
소재지 :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면 양리 288-2
연락처 : 053-615-7575
2005년 6월에 개관한 유치곤장군 호국기념관은 달성군 유가면에 위치하고 있다. 영화 ‘빨간마후라’의 실제 주인공으로 한국전쟁 당시 한국공군 전투기 조종사로는 유일하게 203회 불멸의 출격 기록을 수립한 고(故) 유치곤 장군의 위업을 기리고 호국정신을 계승하여 발전시키는 역사의 산 교육장이다. 기념관에는 전시실, 영상실, 휴게공간이 갖추어져 있으며, F-86전투기 ? T-37 훈련기 등의 비행기가 기념관 외부에 전시되어 있다.
5. 석빙고
소재지 : 대구 달성군 현풍면 상동
지정번호 : 보물 제673호
지정연도 :1980년
시대 : 조선 선조
규모 : 길이 11.5 m, 높이 2.5 m, 너비 4 m
관리 : 달성군청 문화공보실(053-650-3208)
이곳은 하절기에 얼음을 보관하기 위하여 1730년에 돌로 지어진 저장고로, 본래 이곳은 조선의 왕에게 공납으로 바치던 현풍 지역의 특산물과 석류, 비슬산에서 채취한 약초 등을 저장하는데 사용되었던 곳이다. 이것은 경주의 석빙고보다 100년 정도 앞선 것으로 보물 제673호로 지정되어 있다.
1865년(고종2년)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 때에도 전국 650개 서원 중 철폐되지 않은 47개 중요서원의 하나로, 사림과 후손들의 두터운 보호하에 오늘에 이르고 있다.
경내에 사당, 강당, 수월루 등이 있으며 담장은 기와를 이용한 맞담으로 매우 아름다우며 전국적으로 토담이 보물 (제 350호)로 지정된 유일품이다. 서원에는 하사제기가 유전, 보관되어 있고 장판각에는 경현록 판각이 보관되어 있다. 경내에는 수령 400여년의 은행나무가 있다. 이 서원은 보물 제 350호이다.
3. 비슬산 자연휴양림(유가사)
소재지 : 대구 달성군 유가면 용리 산 1
규모 : 341만㎡
개관 : 1996년
관리 : 관리사무소(053-614-5481~2)
비슬산 자연휴양림은 달성의 영산인 비슬산 자락에 위치해 있다.
대구에서 현풍쪽으로 5번 국도나 구마고속도로를 따라 30분 가량 달리다 보면 왼쪽에 보이는 높은 산이 비슬산이다. 교통안내판의 유도에 따라 비슬산쪽으로 가면 휴양림 찾기는 어렵지 않다. 비슬산자연휴양림은 천혜의 빼어난 자연환경을 잘 이용하여 각종 편의시설을 다양하게 설치해 전국에서 가장 빼어난 자연휴양림이다. 대구근교에 위치해 있어 가족단위 이용객이 많으며 전국에서도 많은 이용객이 찾는다.
봄에는 참꽃, 여름에는 안개계곡, 가을에는 단풍, 겨울에는 얼음동산이 있어 언제 찾아도 좋다. 비슬산을 휘돌아 나가는 낙동강과 어우러져 자연의 정취를 더하고 있으며 골마다 산재해 있는 문화재와 향토색 짙은 먹거리, 약초자생지로 유명한 약산온천등은 휴양림과 더불어 달성의 자랑거리이자 전국의 명소이기도 하다.
비슬산이라는 말은 인도 범어의 발음을 그대로 음으로 표기한 것이고 비슬산의 한자 뜻이 포를 의미하기 때문에 일명 포산이라고도 한다.
관광지내 관광휴양시설은 숲속의 집 10동, 사계절 콘도형 숙박시설1동(8실), 단체막사 1동, 캠프파이어장 1, 광장 1, 야영장 100평, 야외교실 2, 급수대 7, 자연석조경연못 1, 체력단련실 등이 있다
4. 유치곤장군호국기념관
소재지 :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면 양리 288-2
연락처 : 053-615-7575
2005년 6월에 개관한 유치곤장군 호국기념관은 달성군 유가면에 위치하고 있다. 영화 ‘빨간마후라’의 실제 주인공으로 한국전쟁 당시 한국공군 전투기 조종사로는 유일하게 203회 불멸의 출격 기록을 수립한 고(故) 유치곤 장군의 위업을 기리고 호국정신을 계승하여 발전시키는 역사의 산 교육장이다. 기념관에는 전시실, 영상실, 휴게공간이 갖추어져 있으며, F-86전투기 ? T-37 훈련기 등의 비행기가 기념관 외부에 전시되어 있다.
5. 석빙고
소재지 : 대구 달성군 현풍면 상동
지정번호 : 보물 제673호
지정연도 :1980년
시대 : 조선 선조
규모 : 길이 11.5 m, 높이 2.5 m, 너비 4 m
관리 : 달성군청 문화공보실(053-650-3208)
이곳은 하절기에 얼음을 보관하기 위하여 1730년에 돌로 지어진 저장고로, 본래 이곳은 조선의 왕에게 공납으로 바치던 현풍 지역의 특산물과 석류, 비슬산에서 채취한 약초 등을 저장하는데 사용되었던 곳이다. 이것은 경주의 석빙고보다 100년 정도 앞선 것으로 보물 제673호로 지정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