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공사명 및 조사업체
2. 공사위치
3. 지반조사 수행목적
4. 지반조사를 위해 시행한 현장시험과 실내시험
5. 지층 현황 및 지반설계정수 정리
6. 보고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기술적 사항들 요약
7. 대표 시추주상도
8. 기타 사항들
2. 공사위치
3. 지반조사 수행목적
4. 지반조사를 위해 시행한 현장시험과 실내시험
5. 지층 현황 및 지반설계정수 정리
6. 보고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기술적 사항들 요약
7. 대표 시추주상도
8. 기타 사항들
본문내용
3) 통일분류법(U.S.C.S)
° 암반의 분류법으로는 1) 균열의 간격
2) 풍화상태
3) 강도
4) 한국 기술 용역 협회에 의한 분류법
5) R.Q.D에 의한 분류법
R.Q.D = ∑10cm 이상되는 채취된 암석의 시편/암석 굴진 길이(RUN) * 100
° 암분류 : 일축압축강도를 통한 분류가 가장 기본적이다.
° N값 보정
Hammer 효율에 의한 보정 : N60 = η1 * η2 * η3 * η4 * N
η1 : 해머에 대한 보정계수(0.9) η2 : 롯드길이에 대한 보정계수
η3 : 샘플러 부분의 토층에 대한 보정계수
η4 : 보링구멍에 직경에 대한 보정계수
국제표준 값(N60)을 얻기 위하여 측정된 N값에 보정계수 0.9fmf 곱해서 N치를 보정.
° 점성토의 점착력
표준관입시험 N값으로부터 점성토의 개략적 일축압축강도를 산정하고 이를 근거로 점착 력을 구한다.
qu = 0.12 ~ 0.13N N/8 (kg/cm2)
C = qu / 2
° 사질토층의 내부마찰각
Dunham - = √12N + 25 : 토립자가 모가나고 입도양호
= √12N + 20 : 토립자가 모가나고 입도불량, 토립자가 둥글고 입도양호
= √12N + 15 : 토립자가 둥글고 입도불량
Peck - = 0.3N + 27
오오자끼 - = √20N + 15
° 지반반력계수(Kh)
Hukuoka가 제안한 식을 이용하여 지반반력계수를 추정할 수 있다.
Kh = 691 N0.406 (tf/m3)
° 얕은 기초
굴착면으로부터 2m이내에 N치가 40 이상의 양호한지지층이 나올 때 가장 경제적으로 적용하는 형식. 세굴이 발생하지 않아야 하며 동결심도 이하의 근입심도를 갖도록 설계.
° 깊은 기초
굴착면으로부터 5m이하에 N치 50이상의 양호한 지지층이 나타나고 지지층까지 항타 또는 시공이 가능할 경우 적용가능.
° 허용지지력 추정방법
1) 건축규정이나 토목공학 핸드북의 경험치 이용.
2) 원위치 시험에 의한 추정법
허용침하량이 25mm인 경우 Mat기초의 허용지내력 구하는 식.
Qa = 720 * (N - 3) * {(B+1) / (2B)}2 * Rw (psf)
위의 허용지내력에서 깊이계수(Kd)를 곱한 값이 허용지내력
Kd = (1+Df/B) < 1.5 1m = 3.28084ft, 0.0049tf/m2 = psf
N' : 보정 N치 B : 기초폭(ft) Df : 근입깊이
° 절취방법
매립층, 퇴적층 및 풍화암층은 일반적인 굴착장비인 백호, 연암층 구간은 Breaker에 의한 굴착이 가능할 것 으로 판단.
7. 대표 시추주상도
15개 시추공 중 공내 가운데에 근접한 8번(BH-8) 선택.
8. 기타 사항들
° 조사위치 선정
서울특별시 광진구 화양동 4-12번지 일대.
건축에서 선정한 위치를 참고로 하여 도상에 15개소를 계획한 후 현장을 답사하여 좌표측량을 통해 위치 선정.
° 시추 심도
계획심도인 22m까지 조사하는 것을 윈칙으로 한다.
° 보고서의 토질분류
주로 통일분류법에 의하여 분류. 점성토일 경우 연경도, 사질토일 경우 상대밀도와 습윤도, 색조, 토질명 N값 등을 고려하여 기재. 색조는 기본색에 명암 및 혼색에 대한 서술용어를 접두어로 사용.
° 공내 지형 및 지질
지형은 나대지의 형태를 보인다. 한강하류에 위치하여 전체적으로 보아 저지대의 지형적 특성을 갖음. 주변 대부분의 지역이 택지개발이 완료된 도심형태로 특별한 산계 및 수계의 발달은 찾아볼 수 없다.
이 지역의 기반암은 선캄브리아기의 호상 편마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 흙의 물리적 특성치
함수비, 비중, 간극비와 간극율, 포화도, 입도(입경) 및 액·소성한계 등이 있다. 함수비가 클 경우 압축성이 크고 또는 연약한 것이 일반적. 점성토의 Consistency는 흙의 소성의 정도 뿐만 아니라 압축 특성을 예지해준다.
° 기초선정시 고려사항
지지심도 및 지지층의 토성. 지지해야할 상부하중의 종류 및 크기. 시공시 진동, 소음 및 인접구조물의 영향 등 환경조건 등을 고려해야 한다.
° 기초의 구분
얕은기초 - 상부구조물의 하중을 기초지반에 전달시키기 위하여 직접 지반위에 놓이는 기 초구조
깊은기초 - 상부하중을 연약지층 하부의 지지력이 충분히 확보된 지반으로 전달되게 하는 기초구조
° 기초단면 설계의 고려사항
기초하부 지반의 지지력이 충분히 커야한다 - 지지력은 주로 흙의 점착력과 내부마찰각 및 흙의 단위중량과 기초폭 및 근입깊이, 지하수위 등에 좌우된다. 지반의 지지력이 부족할 때는 Pile과 같은 깊은 기초로 설계하든지 지반의 성질을 개선해야 한다.
기초의 침하량이 허용치 내에 있어야한다 - 침하량이 지나치게 크면 상부구조물이 기울어지거나 또는 균열이 발생하는 등 구조적인 피해가 발생될 수 있다.
° 지반의 허용지지력 추정
이론식을 이용하는 방법, 경험치를 근거로 유도하는 방법, 현장시험 결과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이론식을 이용하는 방법은 허용지지력이 너무 크게 산출되는 경향이 있고, 현장시험은 현실적으로 적용이 어렵다. 따라서, 경험치를 근거로 추정하는 방법과 암석의 일축압축강도로부터 추정하는 방법 등을 이용하여 기초암반의 허용지지력을 추정한다.
° 기초형식 선정
일반적으로 지지층의 심도가 4~5m 이내 일 때에는 얕은기초, 그 이상일 때는 깊은기초 형식으로 계획함이 경제적인 것으로 평가 된다.
° 기초형식
연암층 구간은 얕은기초, 풍화암층 구간은 얕은기초 또는 연암층(약 0.1~0.7m)까지 내리는 내림기초로 검토하는것이 합리적.
° 허용침하량
주로 기초의 형식, 크기, 위치 및 구조물의 용도 그리고 침하의 형태, 속도, 원인, 침하 및 지층 조건에 지배된다.
° 흙막이공법
구조물의 시공과 굴착동사로 인하여 발생되는 주변지반의 침하와 그 밖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소음, 진동 등의 공해문제를 계획, 설계 단계에서 충분히 고려한다.
° 토공작업
토사 - Back-Hoe가 유효하게 사용될 수 있는 정도의 흙, 모래, 자갈 및 호박돌섞인 토사.
리핑암 - Dozer에 부착된 Hydraulic Ripper가 유효하게 사용될 수 있는 정도의 암반.
발파암 - 발파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암반.
° 암반의 분류법으로는 1) 균열의 간격
2) 풍화상태
3) 강도
4) 한국 기술 용역 협회에 의한 분류법
5) R.Q.D에 의한 분류법
R.Q.D = ∑10cm 이상되는 채취된 암석의 시편/암석 굴진 길이(RUN) * 100
° 암분류 : 일축압축강도를 통한 분류가 가장 기본적이다.
° N값 보정
Hammer 효율에 의한 보정 : N60 = η1 * η2 * η3 * η4 * N
η1 : 해머에 대한 보정계수(0.9) η2 : 롯드길이에 대한 보정계수
η3 : 샘플러 부분의 토층에 대한 보정계수
η4 : 보링구멍에 직경에 대한 보정계수
국제표준 값(N60)을 얻기 위하여 측정된 N값에 보정계수 0.9fmf 곱해서 N치를 보정.
° 점성토의 점착력
표준관입시험 N값으로부터 점성토의 개략적 일축압축강도를 산정하고 이를 근거로 점착 력을 구한다.
qu = 0.12 ~ 0.13N N/8 (kg/cm2)
C = qu / 2
° 사질토층의 내부마찰각
Dunham - = √12N + 25 : 토립자가 모가나고 입도양호
= √12N + 20 : 토립자가 모가나고 입도불량, 토립자가 둥글고 입도양호
= √12N + 15 : 토립자가 둥글고 입도불량
Peck - = 0.3N + 27
오오자끼 - = √20N + 15
° 지반반력계수(Kh)
Hukuoka가 제안한 식을 이용하여 지반반력계수를 추정할 수 있다.
Kh = 691 N0.406 (tf/m3)
° 얕은 기초
굴착면으로부터 2m이내에 N치가 40 이상의 양호한지지층이 나올 때 가장 경제적으로 적용하는 형식. 세굴이 발생하지 않아야 하며 동결심도 이하의 근입심도를 갖도록 설계.
° 깊은 기초
굴착면으로부터 5m이하에 N치 50이상의 양호한 지지층이 나타나고 지지층까지 항타 또는 시공이 가능할 경우 적용가능.
° 허용지지력 추정방법
1) 건축규정이나 토목공학 핸드북의 경험치 이용.
2) 원위치 시험에 의한 추정법
허용침하량이 25mm인 경우 Mat기초의 허용지내력 구하는 식.
Qa = 720 * (N - 3) * {(B+1) / (2B)}2 * Rw (psf)
위의 허용지내력에서 깊이계수(Kd)를 곱한 값이 허용지내력
Kd = (1+Df/B) < 1.5 1m = 3.28084ft, 0.0049tf/m2 = psf
N' : 보정 N치 B : 기초폭(ft) Df : 근입깊이
° 절취방법
매립층, 퇴적층 및 풍화암층은 일반적인 굴착장비인 백호, 연암층 구간은 Breaker에 의한 굴착이 가능할 것 으로 판단.
7. 대표 시추주상도
15개 시추공 중 공내 가운데에 근접한 8번(BH-8) 선택.
8. 기타 사항들
° 조사위치 선정
서울특별시 광진구 화양동 4-12번지 일대.
건축에서 선정한 위치를 참고로 하여 도상에 15개소를 계획한 후 현장을 답사하여 좌표측량을 통해 위치 선정.
° 시추 심도
계획심도인 22m까지 조사하는 것을 윈칙으로 한다.
° 보고서의 토질분류
주로 통일분류법에 의하여 분류. 점성토일 경우 연경도, 사질토일 경우 상대밀도와 습윤도, 색조, 토질명 N값 등을 고려하여 기재. 색조는 기본색에 명암 및 혼색에 대한 서술용어를 접두어로 사용.
° 공내 지형 및 지질
지형은 나대지의 형태를 보인다. 한강하류에 위치하여 전체적으로 보아 저지대의 지형적 특성을 갖음. 주변 대부분의 지역이 택지개발이 완료된 도심형태로 특별한 산계 및 수계의 발달은 찾아볼 수 없다.
이 지역의 기반암은 선캄브리아기의 호상 편마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 흙의 물리적 특성치
함수비, 비중, 간극비와 간극율, 포화도, 입도(입경) 및 액·소성한계 등이 있다. 함수비가 클 경우 압축성이 크고 또는 연약한 것이 일반적. 점성토의 Consistency는 흙의 소성의 정도 뿐만 아니라 압축 특성을 예지해준다.
° 기초선정시 고려사항
지지심도 및 지지층의 토성. 지지해야할 상부하중의 종류 및 크기. 시공시 진동, 소음 및 인접구조물의 영향 등 환경조건 등을 고려해야 한다.
° 기초의 구분
얕은기초 - 상부구조물의 하중을 기초지반에 전달시키기 위하여 직접 지반위에 놓이는 기 초구조
깊은기초 - 상부하중을 연약지층 하부의 지지력이 충분히 확보된 지반으로 전달되게 하는 기초구조
° 기초단면 설계의 고려사항
기초하부 지반의 지지력이 충분히 커야한다 - 지지력은 주로 흙의 점착력과 내부마찰각 및 흙의 단위중량과 기초폭 및 근입깊이, 지하수위 등에 좌우된다. 지반의 지지력이 부족할 때는 Pile과 같은 깊은 기초로 설계하든지 지반의 성질을 개선해야 한다.
기초의 침하량이 허용치 내에 있어야한다 - 침하량이 지나치게 크면 상부구조물이 기울어지거나 또는 균열이 발생하는 등 구조적인 피해가 발생될 수 있다.
° 지반의 허용지지력 추정
이론식을 이용하는 방법, 경험치를 근거로 유도하는 방법, 현장시험 결과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이론식을 이용하는 방법은 허용지지력이 너무 크게 산출되는 경향이 있고, 현장시험은 현실적으로 적용이 어렵다. 따라서, 경험치를 근거로 추정하는 방법과 암석의 일축압축강도로부터 추정하는 방법 등을 이용하여 기초암반의 허용지지력을 추정한다.
° 기초형식 선정
일반적으로 지지층의 심도가 4~5m 이내 일 때에는 얕은기초, 그 이상일 때는 깊은기초 형식으로 계획함이 경제적인 것으로 평가 된다.
° 기초형식
연암층 구간은 얕은기초, 풍화암층 구간은 얕은기초 또는 연암층(약 0.1~0.7m)까지 내리는 내림기초로 검토하는것이 합리적.
° 허용침하량
주로 기초의 형식, 크기, 위치 및 구조물의 용도 그리고 침하의 형태, 속도, 원인, 침하 및 지층 조건에 지배된다.
° 흙막이공법
구조물의 시공과 굴착동사로 인하여 발생되는 주변지반의 침하와 그 밖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소음, 진동 등의 공해문제를 계획, 설계 단계에서 충분히 고려한다.
° 토공작업
토사 - Back-Hoe가 유효하게 사용될 수 있는 정도의 흙, 모래, 자갈 및 호박돌섞인 토사.
리핑암 - Dozer에 부착된 Hydraulic Ripper가 유효하게 사용될 수 있는 정도의 암반.
발파암 - 발파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암반.
추천자료
기초 전자 공학 실험 예비, 결과 보고서.
컴퓨터공학 고급 c언어 기초
[아주대 기계 공학 실험] 랩뷰(Labview) 기초 원리와 실습 실험
재료공학 기초실험 - 면저항 측정 실험
기초 전기전자공학 - 직류 교류 발전기
재료공학 기초실험 - SEM 을 통한 미세구조 관찰[SEM을 이용 BaTiO3의 첨가제에 따른 grains...
응용화학공학 기초실험 -빛의 편광 특성 실험 보고서
화학공학 기초 실험 -알칼리 소비량
화학공학 기초 실험 -물의 알칼리도와 산도 측정
[화학공학] 녹는점 측정실험 - 소재기초실험 A+
[화학공학] Column Chromatography (컬럼크로마토그래피) - 소재기초실험 A+
[화학공학] wittig반응을 이용한 Olefin제조 - 소재기초실험 A+
[화학공학] 카페인(Caffeine) 추출실험 - 소재기초실험 A+
E러닝과 교육공학, 교육학,교직 이러닝의 기초 / 실제 / 발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