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2. 대중예술이란?
1) 전통적 예술 vs 아방가르드 : 대중예술의 기반 조성
2) 순수예술 vs 대중예술 : 대중예술의 모습에 대한 도식화
3) 대중예술 vs 문화산업으로서의 대중문화 : 대중예술의 시대 반영
3. 대중예술이 나아가야할 방향 그리고 예술가의 의무
4. 나오며
2. 대중예술이란?
1) 전통적 예술 vs 아방가르드 : 대중예술의 기반 조성
2) 순수예술 vs 대중예술 : 대중예술의 모습에 대한 도식화
3) 대중예술 vs 문화산업으로서의 대중문화 : 대중예술의 시대 반영
3. 대중예술이 나아가야할 방향 그리고 예술가의 의무
4. 나오며
본문내용
과의 명확한 구분도 어렵거니와 문화와의 구분도 쉽지 않다. 그렇기에 본 보고서에서는 기존 여러 예술들과 대중예술과의 비교, 대중예술이라고 불리는 예술작품들이 의미를 발로시킬 때 관계되는 요소 간의 관계, 대중문화와의 비교 등의 방법 등을 통해서 그것의 모습을 그것이 갖는 차별성과 독특성에 기인하여 희미하게나마 그것의 모습을 드러내보고자 노력하였다. 그리고 그러한 도출을 통해 진정한 대중예술이란 어떤 모습을 가지는 게 좋을지에 대해서도 나름대로 조심스럽게 방향을 제시해 보았다. 그리고 진정한 대중예술의 모습을 확립하기 위한 예술가의 의무에 대한 요청을 통해 본 보고서에서 도출된 대중예술의 완성에 대한 실천적인 면까지 언급해 보았다.
이러한 나름의 대중예술에 대한 논리 전개에도 불구하고 대중예술이 진정한 예술의 하나로서 스스로의 독특한 자리를 차지하며 진정한 자기 모습의 완성을 추구할 수 있을지는 여전히 의심스럽다. 아무리 그것을 향해 예술가의 의무를 충실히 행하는 예술가들이 있다고 하더라도 스스로 상실한 무엇에 대해 관심 없는 대중들에게는 그러한 노력들이 아무런 의미도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 영화감독 김기덕의 절규처럼 말이다.
그러나 아무런 의미 없어 보이고 진척 없어 보이는 이러한 노력들이 (아방가르드의 역사와 그것이 이끌어낸 포스트모더니즘이라는 두 경험적 사실들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쌓이고 쌓여 우리가 지금 대중예술이라고 파악할 수 있는 것들의 기초가 되고 대중예술이라고 부를 수 있는 것들을 만들어 냈다. 그러한 노력들은 당시에는 다수의 대중에게 있어 전혀 의미 없어 보였기에 대중에 대한 호소력 또한 갖지 못했고 그로 인하여 당시대의 예술가들에게 많은 좌절감을 주었을 것이기에 어쩌면 금방 포기되었을지도 모르는 것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들이 지금까지 이어져 오며 모아져 하나의 무엇을 만들어 내고, 대중적인 호소력을 갖게 해준 것은 예술가들이 당시대만이 아닌 다른 시대를 향한 의지 즉 시대 초월적인 의지의 관철을 추구하였기 때문이다. 과거 의미 없어 보이던 예술가들의 노력들은 당시대를 넘어선 다른 시대의 대중들에게 이르러 비로소 호소력을 갖게 된 것이다.
대중예술의 완성을 추구하는 예술가의 의무 또한 이러한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대중예술을 추구하고 완성하고자 하는 예술가들은 단숨에 그것의 완성된 관철을 이 시대에서 추구하고 말겠다는 의지가 아닌 언젠가의 시대에서 그것의 완성이 거의 이룩되기를 바라는 의지를 가져야 하는 것이다. 지금은 빈약해 보이고 너무도 작은 의미의 몸짓으로 보이는 스스로의 그러한 노력의 추구가 그 언젠가 커다란 의미로 꽃피는 날까지 예술가들은 항상 마주하게 될 스스로의 노력에 대한 회의마저도 스스로 극복해 나가는 쓸쓸한 길을 갈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러나 오늘날의 시대에 있어서 그러한 예술가들의 쓸쓸함마저도 이제는 대중 스스로가 예술가가 될 수 있다는 사실에 근거할 때 대중에 의해 공유 가능하기에 그 어느 때 보다 더 든든한 지원을 받으며 예술가의 의무를 실행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이러한 나름의 대중예술에 대한 논리 전개에도 불구하고 대중예술이 진정한 예술의 하나로서 스스로의 독특한 자리를 차지하며 진정한 자기 모습의 완성을 추구할 수 있을지는 여전히 의심스럽다. 아무리 그것을 향해 예술가의 의무를 충실히 행하는 예술가들이 있다고 하더라도 스스로 상실한 무엇에 대해 관심 없는 대중들에게는 그러한 노력들이 아무런 의미도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 영화감독 김기덕의 절규처럼 말이다.
그러나 아무런 의미 없어 보이고 진척 없어 보이는 이러한 노력들이 (아방가르드의 역사와 그것이 이끌어낸 포스트모더니즘이라는 두 경험적 사실들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쌓이고 쌓여 우리가 지금 대중예술이라고 파악할 수 있는 것들의 기초가 되고 대중예술이라고 부를 수 있는 것들을 만들어 냈다. 그러한 노력들은 당시에는 다수의 대중에게 있어 전혀 의미 없어 보였기에 대중에 대한 호소력 또한 갖지 못했고 그로 인하여 당시대의 예술가들에게 많은 좌절감을 주었을 것이기에 어쩌면 금방 포기되었을지도 모르는 것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들이 지금까지 이어져 오며 모아져 하나의 무엇을 만들어 내고, 대중적인 호소력을 갖게 해준 것은 예술가들이 당시대만이 아닌 다른 시대를 향한 의지 즉 시대 초월적인 의지의 관철을 추구하였기 때문이다. 과거 의미 없어 보이던 예술가들의 노력들은 당시대를 넘어선 다른 시대의 대중들에게 이르러 비로소 호소력을 갖게 된 것이다.
대중예술의 완성을 추구하는 예술가의 의무 또한 이러한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대중예술을 추구하고 완성하고자 하는 예술가들은 단숨에 그것의 완성된 관철을 이 시대에서 추구하고 말겠다는 의지가 아닌 언젠가의 시대에서 그것의 완성이 거의 이룩되기를 바라는 의지를 가져야 하는 것이다. 지금은 빈약해 보이고 너무도 작은 의미의 몸짓으로 보이는 스스로의 그러한 노력의 추구가 그 언젠가 커다란 의미로 꽃피는 날까지 예술가들은 항상 마주하게 될 스스로의 노력에 대한 회의마저도 스스로 극복해 나가는 쓸쓸한 길을 갈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러나 오늘날의 시대에 있어서 그러한 예술가들의 쓸쓸함마저도 이제는 대중 스스로가 예술가가 될 수 있다는 사실에 근거할 때 대중에 의해 공유 가능하기에 그 어느 때 보다 더 든든한 지원을 받으며 예술가의 의무를 실행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추천자료
[예술과 사회]사회의 원동력으로서의 예술 (이적의 음악)
[영화예술]영화예술의 이해
예술이란무엇인가-톨스토이 : 예술의 철학
[인간][예술][미술][음악][건축][건축물]인간의 의미, 인간과 예술, 인간과 미술, 인간과 음...
누가 문화예술을 소비하는가 & 누가 문화예술을 공급하는가
마르셀 뒤샹예술의 특성연구와 작품분석을 통한 현대예술의 고찰 - 다다이즘을 통한 의식전환...
[음악][미니멀음악][광고음악][구체음악][예술음악][표제음악][교회음악]미니멀음악, 광고음...
[남북교류, 문화예술교류]남북교류와 문화예술교류, 남북교류와 방송교류, 남북교류와 경제교...
마르크스주의_예술론과_민중예술
[공연예술의이해와감상4공통] 오페라는 서양의 대표적인 공연예술입니다. 오페라의 역사를 간...
[철학의이해C형] 기술복제시대의예술작품 본문발췌 독후감_철학의이해 본문발췌 및 독후감_기...
예술의 전당 사용 논쟁 (가수 인순이의 예술의 전당 공연)
예술의전당 사용 논란 (가수 인순이의 예술의 전당 논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