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조직론, 치킨시장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산업조직론, 치킨시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치킨시장 현황

Ⅱ. 치킨시장 특징

Ⅲ. 향후 전망
참고문헌

본문내용

주요 치킨업체들의 해외진출이 시도돼 왔지만 직영 혹은 현지합작 형태로 점포를 몇군데 더 늘리는데 그쳤다. 그러나 2006년에는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준비이후 해외시장 개척에 접근하는 모습이 돋보였다.
지난해 6월 BBQ는 중국, 일본 시장에 마스터프랜차이즈 계약을 순조롭게 체결했다. 이어 9월에는 미국에 진출한 멕시카나가 현지화 전략을 통해 '컨트리 뽀요'라는 미국 수출용 브랜드를 새롭게 개발하고, 미국 현지 스텝과의 논의를 통해 현지사정에 알맞은 매장 운영 매뉴얼까지 완벽하게 준비한 다음 미국에 1호 매장을 오픈했다. 멕시카나는 7호점을 우선 개점한 후에는 미국내 공식프랜차이즈로 등록할 것으로 밝혔다. 또 다년간 준비해온 교촌도 연내 미국을 시작으로한 해외시장 진출이 점쳐지고 있다. ‘전화 한 통화면 30분 이내에 바삭바삭하면서도 고소한 치킨을 집에서 편히 먹을 수 있다’는 광고를 지속적으로 해 소비자에게 친근감을 심어주는 전략을 사용하였다. 이것은 경험재의 특성을 잘 살린 것이었다.
파파이스의 경우 중국 북경의 명동이라 불리는 왕후징거리에 2백81평 규모의 치킨전문 패스트푸트 체인인 파파이스 1호점을 개설, 운영중에 있다. 중국이 연 5%의 빠른 경제성장률을 기록하고 있고 외식을 좋아하는 중국인들의 성향으로 볼 때 파파이스 중국진출은 성공적인 결과를 얻을 것으로 보인다. BBQ의 경우에는 경험재의 특성을 잘 살린 광고 전략을 구사 하였다. ‘전화 한 통화면 30분 이내에 바삭바삭하면서도 고소한 치킨을 집에서 편히 먹을 수 있다’라는 슬로건을 걸고 광고를 지속적으로 해 소비자에게 친근감을 심어주는데 큰 효과를 거두었게 되었다.
국내시장이 포화상태에 이르러 향후 전망이 어두은 가운데 해외시장을 황금알을 낳는 시장이 될 수도 있다. 현지인의 입맛을 사로 잡을수 있는 상품개발과 적절한 마케팅을 동반한다면 해외시장에서도 충분히 성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경험재는 탐색재와 달리 반복해서 지속적으로 광고를 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소비자에게 친근감을 심어주려 하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현상들이 수요와 공급의 균형이라는 측면에서 이런 현상이 부정적인 것만은 아니다. 그러나 경쟁우위로 시장점유율을 높이기 위해 가맹본부들이 제살깍기식 가맹점 확장이나, 창업자들에게 고통을 전가시킨다면 치킨은 더 이상 ‘영원한 유망아이템’이 아닐 수도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치킨시장은 거의 포화상태라고 보여진다. 수많은 업체들이 난무하고, 점포의 숫자도 매우 많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는 차별화와 새로운 시장진출이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한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치킨 같은 경우에는 그 소비층이 매우 다양하다. 즉 특화하여 공략할 수 있는 연령층이 많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미 많은 업체들이 이러한 전략을 사용하고 있다. 그렇다면 어떠한 전략을 수립해 경쟁에서 살아남아야 할 것인가?
첫 번째로는 신제품을 개발하는 방법이 있을 것이다. 신제품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초기 개발비용이 들어간다. 그리고 한계비용이 상승하게 되어 위험을 부담하게 된다. 하지만 퓨전 치킨, 올리브유로 튀긴 치킨 등 소비자의 기호를 맞춰 소비를 증가시킨다면 오히려 매출액을 더욱 늘 것이다.
두 번째로는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일 것 같다.
1인당 닭고기 소비량 단위 : (kg)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한국
11.0
10.7
9.6
12.2
12.9
13.3
미국
42.7
43.2
44.6
45.4
46.3
46.2
중국
7.4
7.7
7.6
7.7
7.9
8.0
일본
14.4
14.5
13.5
14.8
15.0
15.0
자료 : 한국계육협회
위의 표를 보면 미국이나 일본 시장이 우리나라 보다 더 그 규모가 큰 것으로 나타난다. 물론 기존의 시장을 점유하고 있는 업체들이 있어서 초기 경쟁에서는 비용도 많이 소비되고 어려움이 많이 나타날 것이다. 마치 과점 시장의 스타켈 버그 경쟁과 같은 양태를 보이겠지만 그 시장의 특성만 잘 파악해서 점유율을 높인다면 리더의 위치로 올라갈 수 있게 될 것이다.
치킨시장의 경우 큰규모의 기업이 시장점유율을 늘이기 위해 약탈적 가격인하를 실시하더라도 그 효과가 미미하고 단기에 그치는 특징을 보인다. 시장의 수요를 결정하는 요인이 가격보다 제품의 품질(맛)이라고 할 수 있다.
앞으로 치킨시장은 소비자들의 다양한 기호를 고려, 한층 높아진 맛과 고급화의 제품개발, 다양한 서비스의 제공 그리고 체계적이고 독창적인 시스템이 밑바탕이 되어 나아갈 것이고 또 국내 닭고기 소비를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올릴 수 있는 날이 꼭 올 것으로 생각한다.

참고문헌
치킨 업체 홈페이지(BBQ, 둘둘치킨, 파파이스, KFC 교촌치킨 등 )
(주)한국계육협회(http://www.chicken.or.kr/chicken/data/data1.htm)
엠파스 랭킹 검색 사이트
한국 관광. 외식 산업 업계의 종합정보지
식품 외식 경제 신문
네이버 블러그(참조)
랭키닷컴
인터넷 사이트
http://bizplace.co.kr/content/content_view.html?seq_no=2251&code=content12&page=1fkey=mag&fword=%C4%A1%C5%B2%BD%C3%C0%E5
http://news.sarangbang.com/contents/Contents.html?link2=%2Fcontents%2Flist.html%3Fsec_code%3D04%26article%3D1&SEARCH_COUNT=&sec_code=04&code=040201&no=184571&page=1&link=/contents/list.html&oder=recordno&article=1&listview=&citylife=&searchMethod=&searchWord=
http://www.popeyes.co.kr/default.htm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097&article_id=0000008846§ion_id=101&menu_id=101(데이터뉴스 2006-04-20 11:00)
기타 사이트 및 각종 신문들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2,3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7.07.02
  • 저작시기2007.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86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