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제품개념 과 구매욕구 리스트
2. 표적시장 설정
3. 기존 소매형태와 문제점
4. 최적 소매형태 디자인
5. 최적 경로형태 디자인
6. 기존 경로형태
7. 점진적 실행방안
8. 참고자료
2. 표적시장 설정
3. 기존 소매형태와 문제점
4. 최적 소매형태 디자인
5. 최적 경로형태 디자인
6. 기존 경로형태
7. 점진적 실행방안
8. 참고자료
본문내용
1. 선정한 제품의 제품개념(product concept)을 설명하고 고객의 구매욕구를 확인하시오.
1) 캐릭터 상품 개념 정의
캐릭터 상품이란 '캐릭터를 부착 또는 활용하여 제공되는 상품을 지칭하는 것'을 말한다. 캐릭터 상품의 범주에는 인형, 완구류, 문구, 팬시류, 의류, 스포츠 용품류, 액세서리, 생활잡화류 등이 포함된다.
‘뽀로로’라는 만화 캐릭터 들을 활용하여 다방면으로 상품화 한다. 세계적으로 수출하기 위한 전략으로 인종, 문화적 배경이 드러날 수 있는 인물 캐릭터를 배제하고 이전 캐릭터와 차별화를 꾀하기 위해 비인기 동물의 캐릭터를 새롭게 모색하였다. TV용 애니메이션 캐릭터로 출발하여 출판, 완구, 통장, 케이크 등등 여러 방면에 걸쳐 약 600 여 종의 관련 상품을 제작하였다.
아기가 아장아장 걷는 모습과 가장 흡사한 모습의 ‘펭귄’을 모티브로 하여 고객에게 친근하고 사랑스런 모습으로 다가간다. 무엇이든 궁금한 건 참지 못하고 직접 해보고야 마는 성격의 주인공과 모험심 강한 캐릭터들을 통해 뽀로로 제품의 동적이고 사랑스러운 컨셉을 강조한다.
뽀로로는 만10세∼만49세에서 선호하는 캐릭터 중 9.1%로 5위를 차지하고(2008년), 만 9세 이하의 선호도는 25.2%로 1위이다(2008년).
뽀로로는 펭귄 뽀로로와 아기공룡 크롱, 비버 루피, 곰 포비, 여우 에디가 등장하는 약 5분짜리 TV용 애니메이션으로, 미취학 아동인 4~7세를 겨냥한다. 2003년 EBS에서 첫 방송했으며, 현재 시즌3을 방송하고 있다. 인기가 높아지면서 일본, 프랑스, 영국 등 세계 110국(2010년 말 기준)에 수출했고, 애니메이션 속 캐릭터를 활용한 완구, 출판, 가구, 문구 등의 캐릭터 산업도 성장세에 있다. 2009년까지 캐릭터 상품 판매 매출(누적액)만 약 8300억 원이다. 뽀로로는 유아를 겨냥한 애니메이션이 거의 없다는 시장 분석을 통해서 나온 전략 상품이며, 영유아 층의 눈높이에 맞추어 제작되었다.
1) 캐릭터 상품 개념 정의
캐릭터 상품이란 '캐릭터를 부착 또는 활용하여 제공되는 상품을 지칭하는 것'을 말한다. 캐릭터 상품의 범주에는 인형, 완구류, 문구, 팬시류, 의류, 스포츠 용품류, 액세서리, 생활잡화류 등이 포함된다.
‘뽀로로’라는 만화 캐릭터 들을 활용하여 다방면으로 상품화 한다. 세계적으로 수출하기 위한 전략으로 인종, 문화적 배경이 드러날 수 있는 인물 캐릭터를 배제하고 이전 캐릭터와 차별화를 꾀하기 위해 비인기 동물의 캐릭터를 새롭게 모색하였다. TV용 애니메이션 캐릭터로 출발하여 출판, 완구, 통장, 케이크 등등 여러 방면에 걸쳐 약 600 여 종의 관련 상품을 제작하였다.
아기가 아장아장 걷는 모습과 가장 흡사한 모습의 ‘펭귄’을 모티브로 하여 고객에게 친근하고 사랑스런 모습으로 다가간다. 무엇이든 궁금한 건 참지 못하고 직접 해보고야 마는 성격의 주인공과 모험심 강한 캐릭터들을 통해 뽀로로 제품의 동적이고 사랑스러운 컨셉을 강조한다.
뽀로로는 만10세∼만49세에서 선호하는 캐릭터 중 9.1%로 5위를 차지하고(2008년), 만 9세 이하의 선호도는 25.2%로 1위이다(2008년).
뽀로로는 펭귄 뽀로로와 아기공룡 크롱, 비버 루피, 곰 포비, 여우 에디가 등장하는 약 5분짜리 TV용 애니메이션으로, 미취학 아동인 4~7세를 겨냥한다. 2003년 EBS에서 첫 방송했으며, 현재 시즌3을 방송하고 있다. 인기가 높아지면서 일본, 프랑스, 영국 등 세계 110국(2010년 말 기준)에 수출했고, 애니메이션 속 캐릭터를 활용한 완구, 출판, 가구, 문구 등의 캐릭터 산업도 성장세에 있다. 2009년까지 캐릭터 상품 판매 매출(누적액)만 약 8300억 원이다. 뽀로로는 유아를 겨냥한 애니메이션이 거의 없다는 시장 분석을 통해서 나온 전략 상품이며, 영유아 층의 눈높이에 맞추어 제작되었다.
추천자료
문화산업
울티마 온라인에 대응하기 위한 리니지의 시장방어 전략
엔씨소프트(NCsoft)의 모든 것
인간존중 경영의 실제 사례를 문화경영 관점에서 분석
윤리경영의 실제 사례를 문화경영 관점에서 분석
게임아이템의 현금 거래
[유망직종][유망직업][직종][직업]21세기유망직종 Unix전문가와 생물공학기술자, 21세기유망...
닌텐도 Wii의 마케팅 전략 분석
현대자동차,마케팅사례,마케팅전략,현대자동차전략,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
국내외 콘텐츠산업의 현황 및 동향
「떡보의하루」 글로벌 마케팅전략 - 떡보의하루 기업분석과 SWOT분석 및 떡보의하루 중국진...
남성복 시장 흐름과 남성복 코디제안 - 남성복 시장 (MEN’s MARKET TREND & VISION, S/S ...
터닝메카드 완구시장 대박상품 & 완구 1위에 오른 ㈜손오공의 성공전략 - (주)손오공
일본의 소프트 파워,일본 문화 전략,일본 문화의 영향력,일본 정부의 문화정책,일본의 애니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