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Ⅰ. 서론
Ⅱ. 소프트파워의 개념
Ⅲ. 일본의 소프트 파워 전략 발전과정
1. 기존의 일본 문화 전략
2. 일본 문화의 영향력 확대_민간부문
3. 문화전략의 적극화
1) McGray 논의
2) 일본 정부의 문화정책
Ⅳ. 일본의 애니메이션 산업
1. 일본 애니메이션 세계화 현황
1) 헬로 키티
2) 포켓 몬스터
3) 드래곤볼
4) 도라에몽
5) 코스프레 문화
2. 일본 애니메이션 세계화의 성공요인
1) 내부적 성공요인
2) 외부적 성공요인
Ⅴ. 일본의 음식문화
1. 일본 음식의 세계화 현황
2. 일본 음식문화의 세계화 과정
Ⅵ. 한국의 문화전략 현황
1.한국의 정책 방향
2. 한국의 소프트파워와 공공외교
3. 한국의 전략적 수단으로서의 문화
4. 한국의 소프트파워에 대한 평가
5. 일본과의 문화외교정책 비교를 통해서 보는 한국의 소프트파워 전망
1) 사업
2) 문화외교활동체계
3) 예산
4) 원인 분석
Ⅶ. 결론
Ⅰ. 서론
Ⅱ. 소프트파워의 개념
Ⅲ. 일본의 소프트 파워 전략 발전과정
1. 기존의 일본 문화 전략
2. 일본 문화의 영향력 확대_민간부문
3. 문화전략의 적극화
1) McGray 논의
2) 일본 정부의 문화정책
Ⅳ. 일본의 애니메이션 산업
1. 일본 애니메이션 세계화 현황
1) 헬로 키티
2) 포켓 몬스터
3) 드래곤볼
4) 도라에몽
5) 코스프레 문화
2. 일본 애니메이션 세계화의 성공요인
1) 내부적 성공요인
2) 외부적 성공요인
Ⅴ. 일본의 음식문화
1. 일본 음식의 세계화 현황
2. 일본 음식문화의 세계화 과정
Ⅵ. 한국의 문화전략 현황
1.한국의 정책 방향
2. 한국의 소프트파워와 공공외교
3. 한국의 전략적 수단으로서의 문화
4. 한국의 소프트파워에 대한 평가
5. 일본과의 문화외교정책 비교를 통해서 보는 한국의 소프트파워 전망
1) 사업
2) 문화외교활동체계
3) 예산
4) 원인 분석
Ⅶ. 결론
본문내용
각종 단체들의 협력 하에 단기적인 것보다 장기적인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또한 소프트 파워의 중요성을 정부 차원에서 인식해 많은 예산을 투입해 일본의 문화를 알리기 위해 힘썼다. 이에 비해 한국은 '소프트파워 외교'의 주체를 단순히 정부 중심으로 한정지어 추진했다. 따라서 한국정부는 지방자치단체 및 각종 시민단체들이 주체가 되는 문화외교, 정책을 적극적으로 실행시켜야만 한다. 그러는 동시에 정부는 다양한 분야의 단체들을 총체적으로 연결하고 관리하는 선장의 역할을 해야 할 것이다. 한편 현재 한국정부의 문화외교 정책은 통일성이 없어 전략적인 면에서 미흡하다. 그렇기에 외교를 담당하는 각 부서에 통일성을 부여하고 총괄할 전담 기구를 만들어야 한다. 이에 더불어 정부는 소프트파워를 단순히 문화적인 힘으로 보는 시각에서 탈피해야 한다. 소프트파워는 단순히 문화적인 영향력뿐만 아니라 다양한 영역 속에서 보이지 않는 힘을 미치기 때문이다.
비록 한국은 하드파워적인 측면에서 주변국인 중국, 일본을 뛰어넘기 힘들지만, 소프트 파워 자체로서는 충분히 이를 상쇄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현재 돌풍을 일으키고 있는 싸이를 들 수 있다. 싸이는 한국이라는 작은 나라의 문화가 전 세계적으로 영향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하는 예이다. 싸이라는 '한국문화'로 인해 한국을 소개하는 수많은 기사와 긍정적인 이미지 창출은 소프트 파워의 힘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또한 이러한 현상은 한국의 하드파워적인 면에서 이끌어낼 수 없던 일이기에 더욱더 의의가 있다. 따라서 한국의 입장에서 소프트 파워란 국제사회에서 영향력을 키울 수 있는 수단이다.
지금 한국에게 이러한 소프트 파워를 구축하기 위한 노력이 시급한 것은 일본이라는 소프트파워 대국과 영토분쟁에 놓여있기 때문이다. 역사라는 사실관계를 명확히 파악하기 힘든 항목에서 독도문제가 IOC에 넘어간다면, 국가이미지라는 소프트파워는 큰 영향력을 행사할 수뿐이 없다. 따라서 소프트 파워라는 함의가 한국에게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며, 정부는 이를 증진시키기 위해 면밀히 노력해야 한다.
※참고 문헌※
김영한(2009), 『닌텐도 이야기』,서울 :한국경제 신문사
켈벨슨, 브라이언 비렘너(2006), 『감성마케팅 전략 (Hello Kitty)』윤희기 역, 서울:문이당
손열(2009), 소프트 파워 정치-일본의 서로 다른 정체성, 『일본연구논총』제 29호
유현석, “소프트파워를 통한 외교력 강화 전략”,「한국의 공공외교 활성화 방안」,제10차 코리아포
럼발표문(서울:한국학술연구원 2009a)
이규진(2007),미국 일간지의 한국음식 관련 기사 내용분석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미간행
이승미(2011)한국의 공공외교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미간행
이지원(2005), 소프트파워론과 일본의 문화전략, 『한림 일본학 』제 10집
정혜원(2003),한국과 일본의 문화외교정책에 관한 비교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미간행
한식과 한국 음식문화의 세계화 제4편. 각국의 세계화 성공 비결(2010), Agenda Research Group
<'국가이미지조사2010.04.20'>,≪매스타임스≫,2012.09.25 , HTTP://www.mest.kr/sub_read.html?uid=8490
국제통상론 7장 애니메이션산업, n.p, 2012.9.24, http://cafe.naver.com/ewhapolitics1/29
김혁, <네이버 케스트>,2012.9.24.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contents_id=3846
<무역적자日"소프트상품에눈돌려라"2012.2.27>,≪한국경제≫,2012.9.24.,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type=2&aid=2012022728551&nid=910&sid=00
<위키백과>,2012.9.24.,http://ko.wikipedia.org/wiki/%EB%93%9C%EB%9E%98%EA%B3%A4%EB%B3%BC.
<프랑스에 부는 한류열풍>,≪헤럴드경제≫,(2011.05.13.)
<쿨 재팬’, 세계시장서 韓流와 한판 붙나>, KOTRA , 2011, http://academic.naver.com/view.nhn?doc_id=47320767&dir_id=0&page=0&query=%E2%80%98%EC%BF%A8%20%EC%9E%AC%ED%8C%AC%E2%80%99%2C%20%EC%84%B8%EA%B3%84%EC%8B%9C%EC%9E%A5%EC%84%9C%20%E9%9F%93%E6%B5%81%EC%99%80%20%ED%95%9C%ED%8C%90%20%EB%B6%99%EB%82%98&ndsCategoryId=20300, (2012.09.24.)
<[Cover Story] 음식 세계화 성공비결 현지화가 ‘딱’ 2009/10/29>,≪세계일보≫,2012.9.18 http://www.segye.com/Articles/NEWS/ECONOMY/Article.asp?aid=20091029000681&subctg1=&subctg2=
<‘COOL JAPAN’ 현장을 가다 ① 일본 대중문화의 전령사 ‘가와이 대사’2009.9.28>,≪중앙일보≫,2012.9.24.,http://article.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3796929&cloc=
<日, 세계 곳곳에 `재팬 타운' 만든다 2012.05.31.>,≪연합뉴스≫,2012.09.24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05632684
<中은유럽구원투수?국가호감도급상승2012.05.15>,≪문화일보≫,2012.09.25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2051501070632256004
[2003년 결산] 해외시장<2>-일본 문화산업,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일본사무소,2012.9.24 , http://blog.naver.com/neopd/60000552704
비록 한국은 하드파워적인 측면에서 주변국인 중국, 일본을 뛰어넘기 힘들지만, 소프트 파워 자체로서는 충분히 이를 상쇄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현재 돌풍을 일으키고 있는 싸이를 들 수 있다. 싸이는 한국이라는 작은 나라의 문화가 전 세계적으로 영향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하는 예이다. 싸이라는 '한국문화'로 인해 한국을 소개하는 수많은 기사와 긍정적인 이미지 창출은 소프트 파워의 힘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또한 이러한 현상은 한국의 하드파워적인 면에서 이끌어낼 수 없던 일이기에 더욱더 의의가 있다. 따라서 한국의 입장에서 소프트 파워란 국제사회에서 영향력을 키울 수 있는 수단이다.
지금 한국에게 이러한 소프트 파워를 구축하기 위한 노력이 시급한 것은 일본이라는 소프트파워 대국과 영토분쟁에 놓여있기 때문이다. 역사라는 사실관계를 명확히 파악하기 힘든 항목에서 독도문제가 IOC에 넘어간다면, 국가이미지라는 소프트파워는 큰 영향력을 행사할 수뿐이 없다. 따라서 소프트 파워라는 함의가 한국에게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며, 정부는 이를 증진시키기 위해 면밀히 노력해야 한다.
※참고 문헌※
김영한(2009), 『닌텐도 이야기』,서울 :한국경제 신문사
켈벨슨, 브라이언 비렘너(2006), 『감성마케팅 전략 (Hello Kitty)』윤희기 역, 서울:문이당
손열(2009), 소프트 파워 정치-일본의 서로 다른 정체성, 『일본연구논총』제 29호
유현석, “소프트파워를 통한 외교력 강화 전략”,「한국의 공공외교 활성화 방안」,제10차 코리아포
럼발표문(서울:한국학술연구원 2009a)
이규진(2007),미국 일간지의 한국음식 관련 기사 내용분석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미간행
이승미(2011)한국의 공공외교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미간행
이지원(2005), 소프트파워론과 일본의 문화전략, 『한림 일본학 』제 10집
정혜원(2003),한국과 일본의 문화외교정책에 관한 비교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미간행
한식과 한국 음식문화의 세계화 제4편. 각국의 세계화 성공 비결(2010), Agenda Research Group
<'국가이미지조사2010.04.20'>,≪매스타임스≫,2012.09.25 , HTTP://www.mest.kr/sub_read.html?uid=8490
국제통상론 7장 애니메이션산업, n.p, 2012.9.24, http://cafe.naver.com/ewhapolitics1/29
김혁, <네이버 케스트>,2012.9.24.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contents_id=3846
<무역적자日"소프트상품에눈돌려라"2012.2.27>,≪한국경제≫,2012.9.24.,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type=2&aid=2012022728551&nid=910&sid=00
<위키백과>,2012.9.24.,http://ko.wikipedia.org/wiki/%EB%93%9C%EB%9E%98%EA%B3%A4%EB%B3%BC.
<프랑스에 부는 한류열풍>,≪헤럴드경제≫,(2011.05.13.)
<쿨 재팬’, 세계시장서 韓流와 한판 붙나>, KOTRA , 2011, http://academic.naver.com/view.nhn?doc_id=47320767&dir_id=0&page=0&query=%E2%80%98%EC%BF%A8%20%EC%9E%AC%ED%8C%AC%E2%80%99%2C%20%EC%84%B8%EA%B3%84%EC%8B%9C%EC%9E%A5%EC%84%9C%20%E9%9F%93%E6%B5%81%EC%99%80%20%ED%95%9C%ED%8C%90%20%EB%B6%99%EB%82%98&ndsCategoryId=20300, (2012.09.24.)
<[Cover Story] 음식 세계화 성공비결 현지화가 ‘딱’ 2009/10/29>,≪세계일보≫,2012.9.18 http://www.segye.com/Articles/NEWS/ECONOMY/Article.asp?aid=20091029000681&subctg1=&subctg2=
<‘COOL JAPAN’ 현장을 가다 ① 일본 대중문화의 전령사 ‘가와이 대사’2009.9.28>,≪중앙일보≫,2012.9.24.,http://article.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3796929&cloc=
<日, 세계 곳곳에 `재팬 타운' 만든다 2012.05.31.>,≪연합뉴스≫,2012.09.24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05632684
<中은유럽구원투수?국가호감도급상승2012.05.15>,≪문화일보≫,2012.09.25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2051501070632256004
[2003년 결산] 해외시장<2>-일본 문화산업,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일본사무소,2012.9.24 , http://blog.naver.com/neopd/60000552704
추천자료
한국은 금후 일본문화를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가 : 일본대중문화
21세기와 일본문화 -와쓰지 데쓰로(和 哲郞)의 일본문화론을 중심으로-
[일본문화의이해]일본의 음식과 문화
[일본문화의 이해] 일본의 역사와 문화
[일본문화] 드라마로본 일본문화
[일본문화]일본의 식문화
현대사회와 일본문화(일본의 장례문화)
우수독후감(일본문화,일본학,대중문화론)-(오타쿠 가상 세계의 아이들)을 읽고서
[일본문화] 일본의 다도문화의 형성, 발전, 진행 및 차의 종료 분석[2012년 평가우수자료★★★★★]
[일본문화] 일본의 다도문화의 형성, 발전, 진행 및 차의 종료 분석[2012년 평가우수자료★★★★★]
[일본문화 분석] 일본의 목욕문화에 대한 분석과 특징 및 주요 관광지[2012년 평가우수자료★★...
일본의역사와음식문화-가마쿠라시대,전국시대,일본의역사,예절문화
일본대중문화 - 일본 요괴 문화
2013년 2학기 일본대중문화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일본 대중문화에 관해 분석한 전공서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