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대중문화 - 일본 요괴 문화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본대중문화 - 일본 요괴 문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요괴의 정의 및 탄생원리
- 정의
- 탄생원리
2. 일본에 요괴가 많은 이유
3. 요괴의 시대별 변천 양상
- 중세시대
- 근세시대
- 근대
- 현대
4. 대표적인 일본요괴의 종류
5. 일본의 요괴에 관한 작품들
6. 한국의 도깨비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및 사이트

본문내용

선조로 여기며, 한국의 일부 야사에서는 한민족을 이루는 하나의 부족 또는 군주라 주장하기도 한다. 베트남의 묘족인 흐몽족도 자신들의 왕으로 여긴다
기반을 두어 외뿔괴물이나 외다리 요괴도 도깨비에 포함된다고 할 수도 있다. 또, 치우천황이 한국 도깨비의 전승적 조상이라고 볼 수 있다면, 이 역시 도깨비의 뿔에 대한 근거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중국과 한국에서 도깨비를 이매망량[魅]으로 적는데, 이는 '산속의 요괴와 물 속의 괴물'이라는 뜻으로 온갖 요괴와 괴물을 모두 지칭하는 말이고, 이 점은 도깨비가 하나의 정형화된 요괴만을 지칭하지는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물건 따위가 오래되면 스스로 변하여 도깨비가 된다. 스스로 자의식을 갖게 된다는 점에서 일본의 츠쿠모가미(付喪神) 부상신. 사람 손을 탄 물건이 100년이 지나면 요괴가 된다
와 동류로 볼 수도 있다. 다만 도깨비는 그 범주가 대단히 넓어서 빗자루나 부지깽이, 짚신, 체, 깨어진 그릇, 절굿공이 같은 인공물 뿐만 아니라 오래된 나무나 바위 따위의 자연물에서도 발생한다. 세종 때 벼슬을 한 장계이(張繼弛) 세종 때의 문신. 성리학에 정통했으며, "사람이 처음 죽었을 때에는 귀신이 있으나, 죽은지 오래되면 귀신은 사라진다. "라고 논한 적이 있다.
는 『해동잡록(海東雜錄)』에서 도깨비를 "산과 바다의 음령(陰靈)한 기운이며, 풀·나무·흙·돌의 정기가 변해서 된 것"이라 정의 하고 있다. 따라서 도깨비를 일종의 정령으로 볼 수도 있다.
도깨비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심술궂은 장난을 매우 즐긴다는 점이다. 예컨대, 장에 갔다 오는 사람에게 씨름을 청하여 하나뿐인 다리 때문에 자꾸 져도 끈질기게 덤비는 이야기라든지, 잔치가 벌어진 어느 집에 나타나 솥뚜껑을 솥 안에 집어넣어 거나 황소를 지붕 위에 올려놓았다는 이야기는 도깨비의 심술 됨을 나타내고 있다. 둘째, 꾀가 없고 미련하다는 것이다. 그래서 사람들은 도깨비의 미련함을 이용하여 재물을 얻거나 이득을 보기도 한다. 혹 때문에 노래를 잘 한다 하여 보물방망이를 혹과 바꾼 이야기, 도토리를 깨물어 나는 소리를 집 무너지는 소리인 줄 알고 도망친 도깨비 이야기, 한번 돈을 꾸어주었더니 매일 저녁 꾼 돈을 가져와 부자가 되었다는 이야기는 이러한 예화이다. 셋째, 꾼 돈 갚은 도깨비 이야기에서 알 수 있듯이, 비록 미련함과 건망증이 심한 도깨비이지만 빌린 돈을 갚을 줄 아는 윤리성이 있다는 특징이 있다. 도깨비가 실수를 깨닫고 화가 나서 사람이 싫어하는 일을 함으로써 심술을 부리려고 하였지만, 영악한 인간에게 또 속아 넘어가는 순진함을 지니고 있다. 넷째, 노래와 춤을 즐기고 놀이를 좋아한다는 점이다. ‘혹 떼러 갔다가 혹 붙인 영감 이야기’에서처럼 흥겨운 가무를 즐기며, 씨름과 놀이에 끈질기게 몰두한다. 이밖에도 제주도의 경우, 도깨비신인 영감은 돼지고기나 수수범벅, 그리고 소주 등을 즐겨 먹으며, 또한 해녀나 과부 등 미녀를 좋아하여 같이 살자고 따라붙어 병을 주거나 밤에 몰래 여자 방을 드나들기도 한다.
도깨비는 특수한 능력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소를 엎어 매는 괴력은 물론이고 도깨비불로 풍년과 흉년을 점칠 수도 있다. 진귀한 보물을 가지고 있는데, 금 나와라 뚝딱하는 도깨비 방망이를 비롯해서 모습을 감출 수 있는 도깨비감투나 등거리 등, 인간 세상에서는 볼 수 없는 진상품이다. 그러나 진귀한 보물과 무서운 능력의 소유자인 도깨비들이 벌여놓은 짓을 보면 산만하기 그지없다. 밭에다가 개똥을 뿌려 놓거나 길 가던 나그네에게 씨름을 하자고 조르는 모습하며, 밑도 끝도 없이 다짜고짜 혹을 팔아 달라는 유치함에 어떤 거짓말에도 순진하게 넘어가는 아둔함과 같은 친근함을 무기로 도깨비는 민중 사이로 파고들어 다른 요괴들보다도 자주 등장하는 것이다.
Ⅲ.결론
요괴는 본래 인간의 두려움과 공포와 관련된 상상력의 산물로 옛날에는 인간들 혹은 사회의적으로 퇴치의 대상이거나 혹은 외경의 대상이었다. 따라서 전통적인 요괴 이미지는 비교적 어둡고 공포스런 이미지가 강했다.
그러나 이 두려운 요괴들은 과학문명의 발달과 도시화로 점차 사라져가는 운명에 놓이게 되었다. 어둠의 존재인 요괴가 발붙일 곳이 하나 둘씩 사라져가고, 요괴의 존재감도, 요괴에 대한 사람들의 공포심마저도 점점 옅어져 갔다. 자연에서 어둠 속의 존재였던 ‘진짜’ 요괴는 이미 절멸의 위기에 처해 있는지도 모른다.
그러한 요괴가 원래의 어둠 속에서 밝은 곳으로 나와 다시금 현대의 일본인들 앞에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소설, 만화, 영화, 애니메이션,게임 등과 같은 형태로 등장했다.
이미 어둠 속에서 밝은 곳으로 나온 만큼, 현대 일본인들의 마음 속의 요괴 이미지는 무섭기만 한 것이 아니라 포켓몬이나 도라에몽처럼 캐릭터성이 있어 우스꽝스럽거나 친근하고 귀엽기까지 한다. 이제 요괴는 일본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상징이라고 할 수 있겠다.
Ⅳ. 참고문헌 및 사이트
-사이트
http://blog.naver.com/mediamore?Redirect=Log&logNo=100101419443&jumpingVid=8456387385142ABDC451F1F18713CF9F3A75
http://bbs2.ruliweb.daum.net/gaia/do/ruliweb/default/325/read?bbsId=G005&itemId=143&articleId=11720758
http://sealof.blog.me/70096460445
http://blog.naver.com/bjh2109?Redirect=Log&logNo=120083073562
일본위키백과
-논문
「요괴 캐릭터 연구 : 요괴 이미지의 생성원리를 중심으로」김윤아,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09
「한·일 전래동화의 요괴담 비교연구」 최지희,울산 : 울산대 교육대학원, 2004.8
-문헌
『일본의 요괴문화-그 생성원리와 문화산업적 기능』중앙대학교 한일문화연구원편,한누리미디어,2005.11
『일본의 요괴학 연구』 고마쓰 가즈히코 저, 박전역 역, 민속원, 2009.5
『일본민속학의 원향-도노 모노가타리』야나기타 구니오 저, 김용의 역, 전남대학교출판부,2009.2
  • 가격2,3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3.05.16
  • 저작시기2013.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64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